• 제목/요약/키워드: matching number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5초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Rotation-Invariant 패턴인식과 Pattern간의 Angle 추측 (Rotation-Invariant Pattern Recognition and Estimating a Rotation Angle using Genetic Algorithm)

  • 김용훈;김진정;최윤호;정덕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2821-2823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gorithm for rotation-invariant pattern recognition and rotated angle estimation between two patterns by employing selective template matching. Generally template matching has been used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pattern but template matching requires a number of calculating correl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correlation we used steady-state genetic algorithm which is effective in optimization problem. We apply this method to distinguish specific pattern from similar coin patterns and estimate rotated angle between patterns. Our result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proposed method performed faster than classical template matching

  • PDF

상호 대칭적 만족성을 고려한 온라인 데이트시스템 (A Match-Making System Considering Symmetrical Preferences of Matching Partners)

  • 박윤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177-192
    • /
    • 2012
  • 최근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하는 것에서 진일보하여, 고객이 선호할만한 친구나 배우자를 추천해주는 인맥 연결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인맥 연결의 주요한 분야로 미혼남녀를 소개시키는 온라인 데이트시스템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데이트 상대를 추천해주는 온라인 매칭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상품추천 시스템과는 다르게, 추천 받는 고객뿐만 아니라, 추천 되는 상대방의 호감도를 함께 고려하여, 양자가 상호 대칭적인 만족도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인기인에게 추천이 편중되거나, 비인기인들이 추천에서 소외되지 않고, 시스템 참여자들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추천 만족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매칭 시스템은 Mutually Beneficial Matching(MBM) 시스템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를 다른 두 일반적인 매칭 기법인 Preference-Based Matching(PBM) 기법 및 Arithmetic Mean-Based Matching(AMM) 기법과 비교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즉, 위의 세 가지 기법을 Java를 사용하여 prototype으로 구현한 후, 가상의 미혼남녀 200명의 데이터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MBM 기법이 PBM 및 AMM 기법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상호호감도(Mutual Preference)를 보임을 알 수 있었고, 호감도의 대칭성(Symmetric Ratio)도 대부분의 경우 높게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MBM 기법은 PBM 기법보다 추천에서 소외된 고객 수(Number of Outsiders)가 적어서, 매칭 pool안의 사용자들에게 전체적으로 호혜적이고 일관된 추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선된 이진 블록 매칭 방법을 사용한 제한된 1비트 변환 알고리듬 기반 움직임 추정 (Enhanced Binary Block Matching Method for Constrained One-bit Transform based Motion Estimation)

  • 김형도;정제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57-26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이진 블록 매칭 방법을 사용한 제한된 1비트 변환 (Constrained One-bit Transform : C1BT)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진 영상 기반의 움직임 예측은 기존의 정합 오차 기준인 SAD (Sum of Absolute Difference)를 사용한 움직임 예측의 방대한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정합오차 기준을 이진 논리 연산을 사용하는 NNMP (Number of Non-Matching Points)를 사용하여 움직임 예측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하드웨어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다. C1BT 알고리듬은 기존의 1BT알고리듬이 원본의 픽셀값을 1개의 비트만으로 표현하며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이진 영상 기반의 움직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알고리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진 블록 기반의 움직임 예측이 작은 크기의 정합블록을 사용할 때 더욱 정확한 정확도를 갖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1BT기반의 움직임 예측의 결과와 제안하는 알고리듬의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PSNR측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부분 해밍 거리의 순차적 분석을 통한 이진 특징 기술자의 고속 정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t Matching of Binary Feature Descriptors through Sequential Analysis of Partial Hamming Distances)

  • 박한훈;문광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17-221
    • /
    • 2013
  • 최근, 이진 특징 기술자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진 특징 기술자의 정합은 비트 연산에 기반한 해밍거리를 이용하므로 실수 연산에 기반한 유클리디안 거리를 이용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특징 기술자의 정합보다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징 수의 증가는 정합 속도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객체 추적과 같은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는 이진 특징 기술자의 정합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의 이진 특징 기술자를 여러 저차원의 이진 특징 기술자로 나누어 부분 해밍거리를 계산하고 순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합 속도는 크게 개선하면서도 정확도는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정합 방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안된 고속화 방법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진 특징 기술자 생성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몇가지 생성 방법에 대한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고속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정합 움직임 추정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Using Fast Search Algorithm)

  • 오태명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3호
    • /
    • pp.32-4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SEA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 기반의 고속 블록정합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블록 움직임 벡터가 탐색영역의 중앙에 편향되어 분포한다는 특성에 기반 하여 기존의 SEA보다 탐색영역에서 탐색점의 수를 줄임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또한 더 많은 연산량을 즐기기 위하여 제안된 기법은 블록정합에서 화소를 비교하는 연산량을 줄이는 RBMAD (reduced bits mean absolute difference) 정합기준과 블록정합에서 사용되는 화소의 수를 줄이는 부표본화 기법과 결합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완전탐색 (full-search, FS) 블록정합 알고리즘과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고속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온-오프 형태의 DNA 마이크로어레이 영상 분석을 위한 비선형 정합도 (Nonlinear matching measure for the analysis of on-off type microarray image)

  • 류문호;김종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C호
    • /
    • pp.112-1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교잡반응된 스팟을 템플릿 정합법으로 감지하는 온-오프 형태의 DNA 마이크로어레이 영상의 자동분석을 위한 새로운 비선형 정합도를 제안한다. HPV DNA 칩의 목표 스팟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의 종을 알아내기 위해서 설계된다. 제안하는 척도는 전체 템플릿 영역을 이진 문턱값으로 양극화하여 스팟 영역 내의 밝은 화소의 개수를 취해서 얻는다. 이 척도를 추정된 마커 위치의 정확도 관점에서 평가하여 정규화된 상관도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비부합 절점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합성과 재해석 (On a Substructure Synthesis Having Non-Matching Nodes)

  • 정의일;박윤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
    • /
    • pp.155-160
    • /
    • 2001
  • Actual engineering structure is frequently very complex, and parts of structure are designed independently by different engineers. Also each structure contains so many degree of freedom. For these reas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which permits the structure to be divided into components or substructures, with analysis being done on a small substructure in order to obtain a full structural system. In such case, because of different mesh size among finite element model (FEM) or different matching points among FEM models and experimentally obtained models, their interfacing points may be non-matching. Solving this non-matching problem is useful to other application such as structural dynamic modification or model updating. In this work, virtual node concept is introduced. Lagrange multipliers are used to enforce the interface compatibility constraint, and interface displacement is approximated by polynomial presentation. The governing equation of whole structure is derived using hybrid variational principle. The eigenvalue of whole structure are calculated using the determinant search method. The number of degree of freedom in the eigenvalue problem can be drastically reduced to just the number of interface degree of freedom. Some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to show usefulness of synthesis method.

  • PDF

비부합 결합을 이용한 구조물 변경법 (Structural dynamics modification using non-matching substructure synthesis.)

  • 정의일;박윤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66-671
    • /
    • 2002
  • For a large structure, substructure based SDM(structural dynamics modification) method is very effective to raise its dynamic characteristics. Dividing into smaller substructures has a major advantage in the aspect of computation especially for getting sensitivities, which are in the core of SDM process. But quite often, non-matching nodes problem occurs in the process of synthesizing substructures. The reason is that, in general, each substructure is modelled separately, then later combined together to form a entire structure model under interface constraint conditions. Without solving the non-matching nodes problem, the substructure based SDM can not be processed. In this work, virtual node concept is introduced. Lagrange multipliers are used to enforce the interface compatibility constraint. The governing equation of whole structure is derived using hybrid variational principle. The eigenvalues of whole structure are calculated using determinant search method. Th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of the eigenvalue problem can be drastically reduced to just the number of interface degree of freedom. Thus, the eigenvalue sensitivities can be easily calculated, and further SDM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Some numerical problems are tes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handling non-matching nodes.

  • PDF

CLIQUE-TRANSVERSAL SETS IN LINE GRAPHS OF CUBIC GRAPHS AND TRIANGLE-FREE GRAPHS

  • KANG, LIYING;SHAN, ERFA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5호
    • /
    • pp.1423-1431
    • /
    • 2015
  • A clique-transversal set D of a graph G is a set of vertices of G such that D meets all cliques of G.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is the minimum cardinality of a clique-transversal set in G. For every cubic graph with at most two bridges, we first show that it has a perfect matching which contains exactly one edge of each triangle of it; by the result, we determine the exact value of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it. Also, we present a sharp upper bound on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a cubic graph. Furthermore, we prove that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a triangle-free graph is at most the chromatic number of complement of the triangle-free graph.

RICCI CURVATURE, CIRCULANTS, AND EXTENDED MATCHING CONDITIONS

  • Dagli, Mehmet;Olmez, Oktay;Smith, Jonathan D.H.
    • 대한수학회보
    • /
    • 제56권1호
    • /
    • pp.201-217
    • /
    • 2019
  • Ricci curvature for locally finite graphs, as proposed by Lin, Lu and Yau, provides a useful isomorphism invariant. A Matching Condition was introduced as a key tool for computation of this Ricci curvature. The scope of the Matching Condition is quite broad, but it does not cover all cases. Thus the current paper introduces extended versions of the Matching Condition, and applies them to the computation of the Ricci curvature of a class of circulants determined by certain number-theoretic data. The classical Matching Condition is also applied to determine the Ricci curvature for other families of circulants, along with Cayley graphs of abelian groups that are generated by the complements of (unions of) sub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