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ched field processing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Correlated Noise와 수신센서 배열 특성에 따른 Multitone matched Field Processing (Multitone Matched Field Processing in Correlated Noise Conditions and Receiving Array Characteristics)

  • 박정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487-49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천해 환경에서 multitone MFP를 하기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여러 관점에서 multitone MFP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실 해상 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정합장 처리에서의 특성치 추출 기법 분석 (Matched Field Processing: Ocean Experimental Data Analysis Using Feature Extraction Method)

  • Kim Kyung Seop;Seong Woo Jae;Song Hee Ch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4권1E호
    • /
    • pp.21-27
    • /
    • 2005
  • Environmental mismatch has been one of important issues discussed in matched field processing for underwater source detection problem. To overcome this mismatch many algorithms professing robustness have been suggested. Feature extraction method (FEM) [Seong and Byun,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 27(3), 642-652 (2002)] is one of robust matched field processing algorithms, which is based on the eigenvector estimation. Excluding eigenvectors of replica covariance matrix corresponding to large eigenvalues and forming an incoherent subspace of the replica field, the processor is formulated similarly to MUSIC algorithm. In this paper, by using the ocean experimental data, processing results of FEM and MVDR with white noise constraint (WNC) are presented for two levels of multi-tone source. Analysis of eigen-space of CSDM and FEM performance are also presented.

Doppler effect on Matched Field Processing in Ocean Acoustics

  • Song, Hee-Ch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1E호
    • /
    • pp.39-44
    • /
    • 1996
  • Matched field localization schemes often show a high sensitivity to acoustic variabilities due to mismatch between assumed and actu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effect of source motion or Doppler on matched field processing (MEP). to accomplish this, MFP is extended to treat a moving source problem with normal mode description of the sound field. the extension involves both the temporally nonstationary and spatially inhomogeneous nature of the sound field generated by a time-harmonic point source moving uniformly in a stratified oceanic waveguid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impact of source motion can be significant to MEP although the velocity of a moving source is much smaller than the sound velocity of the oceanic waveguide. In addition, a criteria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Doppler on MFP is discussed.

  • PDF

수중 음원 위치 추정을 위한 개선된 최소 분산 정합장 처리 기법 (Improved Minimum Variance Matched field Processing Technique for Underwater Acoustic Source Localization)

  • 양인식;김준환;김기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8-72
    • /
    • 2000
  • 수중 음원을 탐지할 때 사용되는 정합장 처리 기법은 복잡한 수중 환경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특히, 최소 분산 처리기를 적용할 경우 행렬의 고유치 문제로 인해 그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최소 분산 정합장 처리기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이 변환 행렬은 입력 신호의 공분산 행렬이 역행렬을 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하는 음원 신호 성분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은 가상 데이터와 NATO 산하 SACLANT 센터에서 수집된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수중 음원 위치 추정을 위한 개선된 최소 분산 정합장 처리 기법 (Improved Minimum Variance Matched field Processing Technique for Underwater Acoustic Source Localization)

  • 양인식;김준환;김기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69-172
    • /
    • 1999
  • 수중 음원을 탐지할 때 사용되는 정합장 처리 기법은 복잡한 수중 환경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특히, 최소 분산 처리기를 적용할 경우 행렬의 고유치 문제로 인해 그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최소 분산 정합장 처리기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이 변환 행렬은 입력 신호의 공분산 행렬이 역행렬을 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하는 음원 신호 성분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은 NATO 산하 SACLANT 센터에서 수집된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해양 정합장처리에서 매개변수 오정합과 바이어스 (Parameter Mismatches and its Biases in Ocean Matched Field Processing)

  • 박재은;김재수;신기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7-96
    • /
    • 2005
  • 해양환경에서 정합장처리를 통해 음원위치를 추정할 경우 실측신호의 음장과 복제음장 사이에 각종 매개변수의 오정합이 발생하여 상관값의 저하와 함께 음원 위치추정 결과에 바이어스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정합장처리를 이용한 음원 위치추정에서 해양환경 및 시스템 오정합 매개변수로 인한 바이어스와 상관값의 변화 그리고 민감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Pekeris 해양 도파관에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매개변수 오정합이 음원 위치에서의 바이어스와 상관값의 감소를 발생시켰다. 또한 매개변수 민감도 평가를 통해 배열의 경사와 수심, 해저면 수심과 해저층의 음속이 민감도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중 DSP 프로세서 기반의 병렬 수중정합장처리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Parallel Algorithms for Conventional Matched-Field Processing over Array of DSP Processors)

  • 김건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101-108
    • /
    • 2007
  • 고성능 네트워크와 분산처리구조가 병렬처리와 함께 결합되면, 전체적인 디지털 신호처리 시스템의 계산능력, 신뢰도, 다양성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된 형태의 수중레이더 (sonar) 알고리즘인 수중정합장처리 (Matched-Field Processing MFP)를 위한 병렬처리 알고리즘을 디자인하고 다중 DSP 프로세서 기반의 병렬처리 시스템 상에서 성능분석과 함께 최적의 병렬처리 솔루션을 제안한다. 각각의 병렬 알고리즘은 특정한 도메인에서 주어진 계산량을 분산시키며 이를 통한 속도향상을 추구한다. 필요한 연산량과 형태에 따라서 병렬 알고리즘은 각기 다른 성능향상을 보여준다. 또한, 알고리즘의 계산량 분산방식 프로세서간의 통신방식, 알고리즘의 복잡도, 프로세서의 속도, 목적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성능지표를 보여준다. 제안하는 주파수와 출력값 기반의 병렬 알고리즘은 상당한 계산량을 요구하는 수중정합처리 알고리즘을 적절히 다중 프로세서에 균형 있게 분산시켜 프로세서의 개수와 비례하는 성능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동해 환경에서 차주파수 곱 및 수평선배열을 이용한 음원 위치추정 특성 (Characteristics of source localization with horizontal line array using frequency-difference autoproduct in the East Sea environment)

  • 박정수;박중용;손수욱;배호석;이근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9-38
    • /
    • 2024
  • 정합장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 MFP)는 음파전달 예측을 기반으로 음원의 거리와 심도를 추정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주파수가 높아지면 음파전달 예측의 부정확성이 증가하여 음원위치 추정이 어렵다. 최근에 제안된 차주파수 정합장처리(Frequency-difference Matched Field Processing, FD-MFP)는 고주파 신호의 자기상관으로부터 추출한 차주파수 곱을 적용함으로써 음속의 오정합 등이 있어도 강인하다고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수평선배열센서에서 차주파수 정합장처리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해의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장거리 탐지가 가능한 해저면반사(Bottom Bounce, BB)와 수렴구역(Convergence Zone, CZ)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위치추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평선배열센서의 차주파수 정합장처리의 위치추정 정확도는 회절음장과 음속의 오정합에 의해 기존의 정합장처리에 비해 유사하거나 낮아졌다.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차주파수 정합장처리가 기존의 정합장처리보다 오정합에 강인하다는 명확한 결과는 볼 수 없었다.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ameter Sensitivity on Matched Field Processing

  • Park, Cheolsoo;Woojae Seong;Park, Hang-Soon;Lee, Kyu-Yeu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1E호
    • /
    • pp.31-37
    • /
    • 2001
  •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is a successive process of correcting mismatches between true and assumed parameters by matching the measured acoustic field data with numerically simulated data which we call replica. The MFP is widely used both in geo-acoustic parameter inversions and in source localizations. Whether a certain parameter can be inverted effectively or whether a source can be localized correctly depends on the amount of the influence that a parameter has on the acoustic field during the matching process. Sensitive parameters can be better estimated than the less sensitive ones in MFP. On the contrary, the sensitive parameters affect adversely on the source localization results when they have uncertainties. In this paper, a sensitivity index is defined based upon the field variation resulting from the perturbed parameters. Numerical test results show that the index behave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source localization under a mismatched environment and also with the inversion solutions.

  • PDF

적응 정합장처리에서 도파관 공간간섭 필터링 (Waveguide Spatial Interference Filtering in Adaptive Matched Field Processing)

  • 김재수;김성일;신기철;김영규;박정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8-295
    • /
    • 2004
  • 천해는 속도가 빠르고 강한 간섭표적으로 인하여 신호단편 (snapshot) 수가 제한되어 인접한 느리고 약한 표적을 탐지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천해환경에서 적응정합장처리에 적용하여 고소음의 간섭표적의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도파관 공간의 간섭표적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NDC (null direction constraint)를 적용한 MCM (multiple constraint method) 기법을 새로운 공간간섭 필터로 제안하였다. NDC는 복제음장을 이용하여 CSDM (cross-spectral density matrix)에 포함되어있는 강한 소음원 성분을 강제적으로 걸러줌으로서, 부엽 준위가 낮아지고 저소음표적 신호의 이득을 복원시킨다. 이 기법을 Pekeris 도파관에서의 시뮬레이션 및 동해에서 수행한 정합장처리 실험인 HAPLE03 (matched acoustic properties and localization experiment)의 수직선배열 자료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인접한 저소음 표적의 SBNR (signal-to-background-and-noise ratio)이 MVDR (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과 NSP (null space projection) 보다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