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ive virtual user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공간의 의미를 연산하는 가상 사용자 모델이 건축설계 전공학생들의 인간행동 시뮬레이션 운용과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 Virtual-Users Model Computing the Semantics of Spaces for the 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Simulation of Architecture-Major Students)

  • 홍승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34-41
    • /
    • 2016
  • The previous studies argue that using the semantic properties of BIM objects is efficient for simulating the behaviors of autonomous, computer agents, called virtual-users, but such assumption is not proven via evidence-based research approaches. Hence, this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effects of a human behavior simulation model equipped the semantics of spaces on the architecture-major students' 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imulation system, compared to a typical path-finding model.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collected in the authentic design project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1) using a simulation model equipped the semantics of spaces helps the students' operation of the simulation, and (2) it also aid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spaces and virtual-users (${\alpha}=0.74$).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inform that the advantages of the simulation model that computes the semantics of spaces stem in the automatic behavioral changes of massive numbers of virtual-users, and efficient detection and activation on the what-if situations. The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 simulation model has shortcomings in orchestrating the complex data structure between the semantics properties of spaces and virtual-users under multi-sequential scenar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develop a future design system combining BIM with human behavior simulation.

LBSNS를 위한 Virtual Grid 및 필터링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Grid and Filtering Technique for LBSNS)

  • 이은식;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4
    • /
    • 2011
  • 기존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서비스에 LBS(Location-Based Service)서비스가 부가된 LBSNS(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서비스들이 상용화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트위터는 그러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트위터의 현재 위치기반서비스는 자신이 원하는 지역정보와 상관없는 정보를 구독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팔로잉한 사용자는 단순히 개인적인 선호도에 의해 지역정보가 추가된 메시지를 트윗하지만 구독하는 입장의 팔로워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지역정보를 받아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조인을 이용한 필터링 기법이 제안되었다. 필터링 기법을 위한 우선적인 작업은 바로 각각의 사용자와 트윗들에 위치정보가 추가되어져야 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로 표현된다. 위치정보는 동적속성 또는 정적속성으로 나누어진다. 동적인 경우를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이 때 발생되는 대량의 연속질의는 사용자가 많은 SNS의 특성상 서버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 맵 상에서 Virtual Grid를 생성하여 문제를 해결 하였고 성능 평가 결과 Virtual Grid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질의 발생 빈도수가 줄어들었다.

  • PDF

가상현실에서의 컨템포러리아트 전시 구축 방법론 연구 -세컨드라이프 내 가상미술 전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Building a virtual art exhibition including various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in Second Life)

  • 박주희;김정화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46-1251
    • /
    • 2009
  • 세컨드라이프는 온라인 멀티유저 가상공간으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는 목소리와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간의 대화를 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고, 새로운 형식의 가상물건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회화, 퍼포먼스, 설치 예술,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가상미술전시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세 컨드라이프에서 컨템포러리아트 전시를 만들 때의 기술적인 한계와 가상화된 작품과 인간과의 인식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 PDF

Blackbox and Scenario-Based Testing of Online Games Using Game Description Language

  • Cho, Chang-Sik;Lee, Dong-Chun;Sohn, Kang-Min;Park, Chang-Joon;Kang, Ji-Hoon
    • ETRI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470-473
    • /
    • 2011
  • In this letter, we propose blackbox and scenario-based testing of multiplayer online games as well as simple load testing. Game testing is done from outside the source code, and the access to the source code is not required to testers because the game logic is described with a game description language and virtual game map. Instead of using a subset of the main game client for the test client, only game packet protocols and the sequence of packets are analyzed for new game testing. In addition, complex and various scenarios can be tested through combining defined actions. Scenario-based testing helps testers mimic real testing environments instead of doing simple load testing and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game testing.

가상환경에서 효율적인 협업을 위한 다중계층 공유모델 (Multi-Layer Sharing Model for Efficient Collaboration in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 유석종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88-398
    • /
    • 2004
  • 본 논문은 인터넷 상의 다수의 참여자가 분산가상환경에서 협업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전송 메시지트래픽을 조절하는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상환경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상태 갱신메시지 필터링 기법이라고 부르며 이는 가상환경의 확장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처리과정이다.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인 공간분할 기법은 전체 환경에서 작은 관심영역으로 분할하여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메시지 트래픽을 줄인다. 기존의 공간분할 기법은 시뮬레이션 이전에 관심영역에 대한 정보가 결정되어 사용되므로 동적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성과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심영역 관리방법을 시스템 수행중에 재구성함으로써 적응성을 높인 동적 관심 영역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환경변화요소를 반영하기 위하여 제안된 모델은 관심영역의 다중분할과 다중 일관성 유지 알고리즘의 사용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자원 소비를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가상으로 아바타의 행위를 발생시키고 갱신 메시지 트래픽을 측정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모델은 다수의 참여자의 수용이 요구되는 MMORPG나 가상커뮤니티 시스템의 관심 영역 관리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MMORPG 서버를 위한 게임 사용자 중심의 부하 분산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Game User Oriented Load Balancing Scheme on MMORPG)

  • 최종관;김혜영;우원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9-76
    • /
    • 2012
  • 동일한 가상공간에서 대규모 게임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에서는 많은 부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지연현상 및 자원부족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개발자들이 분산서버 연구에 노력하고 있지만 주로 정적, 동적 맵 분할에 의한 분산 서버 연구개발에 편중되어있다. 본 논문은 MMORPG에서 서버의 부하 균등화를 위한 게임 사용자 중심의 분산 처리 기법을 제안하고, 4장에서의 구현을 통한 성능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의 제안 기법이 심리스 (seamless) 서버 모델과 존 서버 모델에서 생기는 핫스팟 (hot-spot) 및 특정 서버에 대한 게임 사용자 몰림 현상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보였다.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실시간 무선 영상 음성 전송 기술 (Real-time wireless Audio/video Transmission Technique for Handheld Devices)

  • 윤경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1-117
    • /
    • 2009
  • 무선 인터넷의 속도 향상과 휴대용 단말기의 컴퓨팅 파워 향상으로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서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비가 요구되고, 해당 장비에서는 동적으로 가상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간의 직접 통신이 요구되는 서비스 즉, 1:1 음성 또는 화상 통화 및 메신저 서비스 등은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에서도, 중앙에 중계 서버를 두어 단말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수집, 반대편 단말로 중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서비스에서는 중계 서버의 전송량과 이를 감당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TCP/UDP Hole Punching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나 가상 개인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장비들 간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직접 전송이 가능한 P2P서비스를 구현하였다.

MMOG의 확장성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P2P 시스템 (P2P Systems based on Cloud Computing for Scalability of MMOG)

  • 김진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8
    • /
    • 2021
  • 전세계 수많은 사용자들이 특정 실시간 가상 환경을 공유하는 MMOG(Massive Multi-player On-line Game)를 지원하고자 본 논문에서 P2P(Peer-to-Peer)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술적 장점을 결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P2P 시스템은 사용자 수가 급증할 경우에도 사용자 자원을 기반 구조에 추가함으로써 준수한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처리 능력을 활용함으로써 클라우드에 있는 서버의 부하 즉 상당한 컴퓨팅 능력과 통신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MMOG의 확장성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P2P 시스템의 개념과 기본적 구조가 기술된다. 대규모 사용자 집단에 대한 경제적 비용과 서비스 품질의 규모를 고려하는 이 구조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자원의 공급과 부하의 배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시된 P2P 시스템은 동시에 실행되는 사용자들의 수가 증가할 때 클라우드와 사용자 제공 자원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충분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반면 서버의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M Scheduling for Efficient Dynamically Migrated Virtual Machines (VMS-EDMVM)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Supreeth, S.;Patil, Kirankumar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1892-1912
    • /
    • 2022
  • With the massive demand and growth of cloud computing, virtual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ervices to end-users efficiently.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services over Cloud Computing, it is becoming more challenging to manage and run multiple Virtual Machines (VMs) in Cloud Computing because of excessive power consumption. It is thus importan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by adopting an efficient technique to manage and monitor the status of VMs in a cloud environment. Reduction of power/energy consumption can be done by managing VMs more effectively in the datacenters of the cloud environment by switching between the active and inactive states of a VM. As a result, energy consumption reduces carbon emissions, leading to green cloud computing. The proposed Efficient Dynamic VM Scheduling approach minimizes Service Level Agreement (SLA) violations and manages VM migration by lowering the energy consumption effectively along with the balanced load. In the proposed work, VM Scheduling for Efficient Dynamically Migrated VM (VMS-EDMVM) approach first detects the over-utilized host using the Modified Weighted Linear Regression (MWLR) algorithm and along with the dynamic utilization model for an underutilized host. Maximum Power Reduction and Reduced Time (MPRRT) approach has been developed for the VM selection followed by a two-phase Best-Fit CPU, BW (BFCB) VM Scheduling mechanism which is simulated in CloudSim based on the adaptive utilization threshold base. The proposed work achieved a Power consumption of 108.45 kWh, and the total SLA violation was 0.1%. The VM migration count was reduced to 2,202 times, revealing better performance as compared to other methods mentioned in this paper.

OpenAirInterface를 통한 모바일 코어네트워크 보안위협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on the Mobile Core Network using OpenAirInterface)

  • 오인수;박준용;정은선;임강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3호
    • /
    • pp.71-79
    • /
    • 2020
  • 이동통신망은 통화, 메시지, 데이터 전송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이다. 이동통신망은 긴급재난망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공공자산이며 이동통신망에서 사이버 공격이나 통신 방해를 이용한 서비스거부공격이 발생할 경우 다양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동통신망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나 정해진 몇몇 이동통신사업자들이 망을 구축하여 폐쇄적으로 서비스하고 있고 망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테스트 망이 따로 존재하지 않아 실제로 이동통신망의 코어네트워크를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GPP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하여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OpenAirInterface를 이용하여 가상의 이동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어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을 분석한다. 특히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코어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지국인 eNodeB와 단말기를 관리하는 MME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S1-MME에서의 S1AP 프로토콜 메시지를 분석하여 보안 위협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