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k dan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양주별산대놀이 무대복식 연구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Yangju-Byeolsandae-Nori)

  • 박민재;조우현
    • 복식
    • /
    • 제67권1호
    • /
    • pp.1-21
    • /
    • 2017
  • The Korean folk drama is one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Korean folklore, and it is usually characterized by mask dances. An investigation on the costume of Korean folk drama is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because they present the variety of typical costume according to the characters. The Sandae-Nori drama of Seoul Gyeong-gi province which was designated as im- portant culture property, has the closest form to general Korean folk costume. The usual characters have their typical costume and reflect the costume of the latter Choson Dynasty period. The costumes are used as a tool of the drama to indicate the character, and the impression of the dance. The costume of the Korean folk drama is made to indicate the character because it is for the play. What is more, the costume of the Sandae-Nori drama of Seoul Gyeong-gi province shows the general aspect of folk costume of the world, which remains as the symbol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hows more decoration and visibility.

제의적 마을 탈춤의 분석 -제의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llage-Centered Masked Dance based on Rituals -On the Rituals Transitions-)

  • 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5-185
    • /
    • 2010
  • 본 연구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회의 별신굿은 하회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보호해 준다고 믿었던 신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탈 제작에 있어 제의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춤사위에는 제의적 요소는 없었다. 그리고 극 전체를 통해 볼 때 공연 방식이나 내용이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동제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의적 요소로 볼 수 있는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강릉관노가면극의 탈은 등장인물의 배역에서부터 제의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장자마리 등 모두가 제의적 벽사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춤사위의 대부분이 강릉지방 민속에 맞게 안무한 것으로 보아 춤사위에는 제의의 본질적 요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릉관노가면극의 특징적인 면으로 볼 때 강릉관노가면극의 경우는 단오제라는 행사와 같이 하나의 놀이로써 지방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고, 지방수호신에게 제사하는 의식과 깊은 연관을 가진 서낭제 가면극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탈에서 찾아 본 얼굴비대칭: 얼굴비대칭 환자들은 사회로부터 어떤 대우를 받았을까? (Facial Asymmetry Found in Facial Masks)

  • 황건;황필중;김연수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72
    • /
    • 2010
  • Purpose: All masks are created by craftspeople. Accordingly, most masks are generally predictable in dimensions, and the portraitures usually depict the faces and heads of humans. The authors found some masks representing the features of facial asymmetry, such as hemifacial microsomia and rerely lateral facial cleft. Methods: Reviewing the legends of wearing masks with a medley of grotesque features, the authors could deduce the tone of society in those days. Results: A mask, 'crooked mouth', of Native Americans shows typical lineament of hemifacial microsomia. The deformity of the face was legendarily regarded as resulting from trauma caused by either 'one's fault' or a 'curse of God'. 'Grandmother' mask, used in the Korean masque dance of the Kosung province and Sooyoung province also shows the typical features of hemifacial microsomia which represent the old, deserted wife. 'Kori sanni yakka' mask in Sri Lanka, shows the facial asymmetry. In the legend, the child who became demon captured humans and caused illness through wind, phlegm, and bile to revenge on his father who killed his mother by deception of her maid. Conclusion: The authors presume that the victims of severe facial asymmetry were treated contemptuously at that time.

휴먼포즈 인식을 적용한 무형문화재 탈춤 동작 디지털전환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ask dance movement in intangible cultural asset based on human pose recognition)

  • 강수형;박성건;박광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78-680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탈춤 동작을 디지털화하여 후속 세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수집은 국가무형문화제로 지정된 탈춤 단체 13개, 시도무형문화재 단체 5개에 소속된 무형문화재, 전승자 39명이 관성식 모션 캡처 장비를 착용하고, 8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데이터 가공은 바운딩박스를 수행하였고, 탈춤동작 추정은 YOLO v8을 사용하였고 탈춤 동작 분류는 YOLO v8에 CNN모델을 결합하여 130개의 탈춤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mAP-50은 0.953, mAP50-95는 0.596, Accuracy 70%를 달성하였다. 향후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량이 늘어나고, 데이터 품질이 개선된다면 탈춤 분류 성능은 더욱 개선될 것이라 기대한다.

<송파산대놀이> 문화재 지정 전후 연희자 연구 ( Research on performers of Songpa Sandae-nori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as cutural heritage)

  • 이효녕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783-837
    • /
    • 2018
  • 본고는 문화재 지정을 전후로 한 송파산대놀이 연희자들의 삶과 연행을 살펴보면서, 그 속에서 나타나는 송파산대놀이의 변화 및 전승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2장에서는 송파산대놀이의 유래설과 을축년 대홍수 이전 연희자들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면서, 이를 통해 발견되는 연희자들의 인식과 특징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을축년 이후 송파산대놀이를 주도 했던 돌마리 연희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재 지정 전까지의 전승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그동안 부족했던 돌마리 연희자들의 연행과 삶의 행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됐으며, 특히 이범만, 여태산, 엄준근 등에 대한 실상은 기존 연구와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3장에서는 허호영을 중심으로 문화재 지정과 그 이후의 전승양상을 고찰했다. 이제까지의 논의에서는 허호영이 문화재 지정에 큰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졌는지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또한 허호영 자체에 대해서도 밀도 있게 논의되지 않아, 마치 수수께끼의 인물과 같은 인상을 갖고 있었다. 여러 문헌과 기록을 재검토하고 제자들, 현지인들의 증언을 종합한 결과, 허호영이 송파산대놀이는 물론, 다양한 전통예술의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허호영이 남긴 재담, 춤사위, 탈 등은 그의 연행을 새롭게 평가할만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와 같은 사실들은 송파산대놀이를 떠나 현재 그 실체가 선명하지 못한 본산대놀이의 연행양상을 고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동래야류의 무대적 수용에 의한 연극 콘텐츠 창출 (Creating Theatrical Contents Out of Stage Adaptation of Dongrae-yaru)

  • 이기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65-175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연희에 대한 공연인류학적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연극 콘텐츠 창출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전통연희는 역사적으로 악 희 극의 갈래로 변천, 발전되어 온 전통공연예술이다. 그 중에서도 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인 동래야류는 부산시 동래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는 전통 탈놀음으로 악 희 극의 공연특성이 통합된 형태로 연희되고 있다. 21세기의 한국연극은 포스터 모더니즘 문화현상을 거친 후 다시 리얼리즘으로 회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반면 대안연극에 대한 관심도 더욱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 대안으로 새로운 연극형식 창조의 영감을 전통연희의 공연성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전통연희 중에서도 전통공연미학인 악 희 극의 특징이 잘 조화되어 전승되고 있는 동래야류로부터 원초적인 공연성의 본질과 원리를 밝혀내어 새로운 연극형식 및 연극 텍스트를 창출하는 모티프로 활용하고자 한다. 동래야류에서 나타나고 있는 신명풀이에 바탕을 둔 악 희 극의 요소들, 즉 향토적인 음악과 세련된 춤사위, 해학과 풍자와 기지, 양식화되고 약호화된 연극형식의 무대적 수용으로 새로운 연극 콘텐츠의 창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검무(劍舞) 복식(服飾)의 연원과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Sword Dancing Costumes)

  • 윤지원
    • 복식
    • /
    • 제57권7호
    • /
    • pp.84-97
    • /
    • 2007
  • Dancing with weapons existed spontaneously when war and hunting were common, and sword dancing, as a dance for banquets, developed and changed in various forms. In Korea, sword dancing was performed from the Three Dynasty Period, and in Joseon Dynasty, it was performed as court ceremony. The origin of the sword dancing, that has been performed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and costumes for sword dancing isn't accu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rd dancing costume of China, Korea's neighboring country, and that of Korea in the same period, and to find out the process of wearing military uniform: Jun-mo, Jeo-go-ri, Chi-ma, Gwae-ja, and Jun-dae, being settled as the sword dancing costumes of Korea in late Joseon Dynasty. In China, sword dancing became famous in Han Dynasty, and in Tang Dynasty, it was the meridian of sword dancing with the most magnificent form. After the Song Dynasty, the sword dancing fades away. In Korea, the sword dancing started as a mask dancing of children that Hwa-rang(bravery youth) in Shilla Dynasty started. After the Unified Shiila Perio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spread to Korea, with active inter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Corea Dynasty, the mask dancing of children faded an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changes into Korean form.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court ceremony after the mid-period of Joseon Dynasty, and the costumes were settled as the military uniform, which are Gwae-ja, and Jun-dae on top of Chi-ma, and Jeo-go-ri, and Jun-moon the head.

한국 전통연희극의 서사구조 연구 - 강릉관노가면극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Gwanno Mask Dramas -)

  • 표원섭;이돈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7-77
    • /
    • 2019
  • 한국의 전통연희극을 저급한 것, 체계화되지 않은 것, 극이라고 할 수 없는 것 등으로 인식하는 시선이 많다. 그러나 연희극 중에는 완벽한 서사구조를 갖는 이야기로써 풀어내는 극이 분명히 존재한다. 서양의 비극 이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미얄과장에서부터 코미디의 원형인 러브스토리를 담아내고 있는 강릉관노가면극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희극들이 그 내용은 매우 간략하더라도 서사의 요소들을 담백하게 담아내고 있다.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연희극 중 완벽한 서사구조를 지닌 개체가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것들을 발굴해내고 복원하는 것은 연구자들의 몫이며, 동시대 철학에 맞게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은 창작예술인들의 과제다. 이 두 분야가 원활하게 소통을 한다면 우리 전통 연희극의 미래를 지금보다 더 밝게 내다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한국 전통 연희를 세계 시장에 과감히 스며들도록 하는 것 또한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자리 잡을 것이다.

고려시대 팔관회에 나타난 연희복식 (The Performing Arts' Costume Shown in Palgwanhoe Ceremony(八關會) in Goryeo Period)

  • 임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481-490
    • /
    • 2017
  • This study considered the performing arts culture with a focus on Palgwanhoe Ceremony and various stunt-songs and dance (Baekhee-Gamoo) from the Goryeo period as well 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stume for Baekhee-Gamoo shown in Palgwanhoe Ceremony. The Baekhee-Gamoo shown in the Palgwanhoe Ceremony included acrobatics, traditions from comic dramas, puppet shows, mask plays, and four musical troupe flowers of youth in the Silla Dynasty, who excelled in beauty, bravery and the military arts (Sasun-Akboo). These were performed on a wagon ship with dragon, phoenix, and elephant animal masks (Yong-Bong-Sang-Mageosun).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stume for each performing ar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ostume of the time was used for performing arts' costume. There were no special costumes for performing arts and it was just transformed or added for the efficiency of acrobatics. Second, the reality was improved by focusing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costume suitable for characters and background of events in the performing arts to clearly deliver the purpose of the ceremony and quickly arouse audience's curiosity towards the performing arts' costume for the tradition of comic dramas and puppet shos in the Palgwanhoe Ceremony. Third, magical powers and symbolism were expressed through masks and performing arts' costumes. Palgwanhoe Ceremony aimed for magical powers that could protect weak human beings from threats and repel everything unfair while also symbolically showing the deified being through the performing arts' costume.

봉산 탈춤의 언어 사용 연구 (Language Use in Bongsan Talchum(mask dance))

  • 이석규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265-291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used as a major communication means within the Korean community in Chenguoz District of Harbin, Heirungjiang Province, China, in terms of its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The study focuses on how a variety of languages and dialects including Chinese, the Standard Chinese Korean adopted as a means of teaching in Korean schools, and Kyongsang Dialect of Korean have influenced the language of the community. It also deals as background information with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attitude of the community members toward Korean and Chinese, and their proficiencies of Korean and Chinese, to obtain the general picture of the bilingualism of this community. This specific region was studied since this region and most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Heirungjiang province were formed by descendents of the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all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anguage used today and the language their ancestors used before moving to this area.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innovation brought about by the opening of the Chinese society, the fast outward flow of youths to urban areas, and greater assimilation threats from the embedding Chinese culture, we are not too sure if the Korean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used in the future. Given these circumstances, we consider this research most opportune in that it provides a look into the Korean community that developed its distinctive culture and language within an isolated cultural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