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Sword Dancing Costumes  

Yoon, Ji-Won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7, no.7, 2007 , pp. 84-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ancing with weapons existed spontaneously when war and hunting were common, and sword dancing, as a dance for banquets, developed and changed in various forms. In Korea, sword dancing was performed from the Three Dynasty Period, and in Joseon Dynasty, it was performed as court ceremony. The origin of the sword dancing, that has been performed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and costumes for sword dancing isn't accu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rd dancing costume of China, Korea's neighboring country, and that of Korea in the same period, and to find out the process of wearing military uniform: Jun-mo, Jeo-go-ri, Chi-ma, Gwae-ja, and Jun-dae, being settled as the sword dancing costumes of Korea in late Joseon Dynasty. In China, sword dancing became famous in Han Dynasty, and in Tang Dynasty, it was the meridian of sword dancing with the most magnificent form. After the Song Dynasty, the sword dancing fades away. In Korea, the sword dancing started as a mask dancing of children that Hwa-rang(bravery youth) in Shilla Dynasty started. After the Unified Shiila Perio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spread to Korea, with active inter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Corea Dynasty, the mask dancing of children faded an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changes into Korean form.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court ceremony after the mid-period of Joseon Dynasty, and the costumes were settled as the military uniform, which are Gwae-ja, and Jun-dae on top of Chi-ma, and Jeo-go-ri, and Jun-moon the head.
Keywords
sword dancing; dancing costume; military costu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王克芬 저, 고승길 역 (1991). 중국무용사. 교보문고, pp. 13-14
2 남후선 (1997). 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3)
3 윤광봉 (1982). 杜詩에 나타난 劍器舞考. 동악어문논집 16, pp. 9-31
4 조혁상 (2004). 朝鮮朝 劍舞詩의 一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민수 역 (2003). 孔子家語. 을유문화사, p. 117
6 劉芹 (1993). 中國古代舞蹈. 臺灣商務印書館: 臺灣, p. 75
7 신채호 저, 박기봉 옮김 (2006).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p. 230
8 閔周冕 저, 이석호 역 (1972). 東京雜記. 대양서적: 서울, pp. 318-319
9 三國史記 卷六 新羅本紀六 文武王 四年 五月
10 三國遺事 卷四 義解五 慈藏定律
11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162-166
12 김말애 (1996). 韓.中.日 궁중 무용의 변천사.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pp. 46-66
13 三國史記 卷6, 新羅本紀 第6, 문무왕4년
14 김영숙 편저 (1985). 韓國服飾史資料選集-上古.高麗篇. 東洋服飾硏究院, pp. 92-95
15 한국학중앙연구원-박성실 (2005).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 권2. 민속원: 서울, p. 303
16 王寧寧 外 2人 (2001). 圖說 中國舞蹈史. 杭州: 浙江敎育出版社, p. 57
17 土居淑子 (1986). 古代中國の畵象石. 同朋舍
18 Zhou Xun, Gao Chunming (1988).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China Books & Periodicals, Inc. : Hong Kong, p. 71
19 (1986). 高句麗古墳壁畵. 조선일보사, 도판215
20 국립국악원 (2004). 조선시대 음악풍속도II, 민속원
21 신명숙 (1988). 新羅 假面舞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王克芬 저, 차순자 역 (2002). 중국무용사-수.당.오대. 경춘사
23 윤지원 (2006). 中國 胡舞服飾에 관한 연구. 服飾, 56(3)   과학기술학회마을
24 華梅 著, 박성실.이수웅 譯 (1992). 中國服飾史. 경춘사
25 박은영 (2002). 시대별로 보는 한국의 검무. 민족무용 2, pp. 119-136
26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 風俗畵.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p. 162
27 신경섭 (2000). 한국의 鳥羽冠과 중국의 鶡冠 비교 연구. 服飾, 50(4), pp. 90-92
28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 風俗畵. 한국박물관회
29 돈황연구원 저, 최혜원.이유진 역 (2001). 敦煌, 범우사
30 윤지원 (2005). 中國 市舞 服飾에 나타난 이국적 취향에 대한 연구. 服飾, 55(8)
31 王克芬 저, 차순자 역 (2002). 중국무용사. 동남기획: 부산, p. 49
32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사회상에 나타난 궁중 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18
33 김말애 (1996). 韓.中.日 궁중 무용의 변천사.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pp.34-35
34 김영희, 김매자 (1995). 한국무용사, 삼신각, pp. 174-175
35 Zhou Xun, Gao Chunming (1988).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China Books & Periodicals, Inc. : Hong Kong, p. 100
36 국립국악원 (2000). 조선시대 진연진찬진하병풍. 태학사, p. 105
37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사회상에 나타난 궁중 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4
38 김영희, 김매자 (1995). 한국무용사, 삼신각, p. 48
39 林巳奈夫 저, 김민수.윤창숙 역 (1996). 돌에 새겨진 동양의 생활과 사상. 두남, p. 108
40 劉芹 (1993). 中國古代舞蹈. 臺灣商務印書館: 臺灣, pp. 75-76
41 국립국악원 편 (1981). 韓國音樂學叢書 三 進饌儀軌. 傳統音樂硏究會
42 신경섭 (2000). 한국의 鳥羽冠과 중국의 鶡冠 비교 연구. 服飾, 50(4), pp. 90-95
43 이병옥 (1993). 고대 한국무용사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00
44 (1986). 한국복식도감II. 한국방송사업단, p. 59
45 채진영 (1985). 한국전통무용복의 문헌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董錫玖 外 (1997). 中國舞蹈藝術史圖鑑. 湖南敎育出版社: 湖南省
47 王克芬 (1991). 中國舞蹈發展史. 南天書局有限公司: 台北
48 윤지원 (2007). 중국 무용복식 문화사. 한국학술정보: 파주
49 남미화 (2002). 조선후기 기록화에 나타난 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사회상에 나타난 궁중 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51 국립국악원 (2002).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I. 민속원, p. 184
52 김운태 (1998). 한국 검무사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王寧寧 外 2人 (2001). 圖說 中國舞蹈史. 杭州: 浙江敎育出版社, p. 51
54 남후선 (1997). 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3), p. 443
55 黃能馥.陳娟娟 (1994). 中華服飾藝術源流. 高等敎育出版社, p. 203
56 박두이 (1997). 반비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
57 王寧寧 外 2人 (2001). 圖說 中國舞蹈史. 杭州: 浙江敎育出版社, p. 82
58 김혜림 (1998). 한국 검무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三國史記 卷三十三 雜誌二 色服
60 歐陽予倩 (1980). 唐代舞蹈. 上海文藝出版社: 上海
61 影松 于平 (1991). 中國古代舞蹈史綱. 浙江美術學院出版社: 浙江省, p. 69
62 三國史記 卷五 新羅本紀五 眞德王 二年
63 박두이 (1997). 반비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8
64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1),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95
65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사회상에 나타난 궁중 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1986). 국역 中國正史 朝解傳. 국사편찬위원회, p. 18
67 국립국악원 편 (1981). 韓國音樂學叢書 三 進饌儀軌. 傳統音樂硏究會
68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사회상에 나타난 궁중 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3
69 정병호 (1996). 한국의 전통춤. 서울시스템주식회사(DB자료)
70 Roderick Whitfield (1995). 敦煌. 예경, p. 69
71 정병호 (1996). 한국의 전통춤. 서울시스템주식회사(DB자료)
72 국립국악원 (2000). 조선시대 진연진찬진하병풍. 태학사, p.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