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leisure industr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4초

해양레저산업을 통한 청장년층 귀어·귀촌 활성화 방안 (Plan for Revitalizing the Return-to-Farming / Fishing Villages of Young and Older Adults Through the Marine Leisure Industry)

  • 김남규;이근모;이재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7-487
    • /
    • 2022
  • 본 연구는 해양레저 분야로 귀어·귀촌한 청장년층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양레저산업을 통한 귀어·귀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양레저 귀촌인이 겪는 문제점과 해양레저 귀어·귀촌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사례연구를 통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면담 대상자는 해양레저 귀촌인과 관련 분야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의 배타적 문화로 발생하는 어려움. 둘째, 초기 투자비용 마련의 어려움. 셋째, 해양레저 귀어·귀촌 교육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레저산업을 통한 귀어·귀촌 활성화를 위해 제시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센티브제도 도입을 통한 어촌 진입장벽 완화. 둘째, 귀어·귀촌 종합센터의 매칭 시스템 구축. 셋째, 어촌의 유휴부지를 활용한 귀어·귀촌 촉진. 넷째, 어촌계의 선 투자 후 위탁운영 시스템 도입. 다섯째, 수산 분야 교육이 포함된 해양레저 귀어·귀촌 교육프로그램 구축. 여섯째, 해양레저 귀어·귀촌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해양레저스포츠산업 환경요인의 국가간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환경요인과 산업활성화 지표간의 관련성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Nation in the Field of Marine Leisure Sport Industry - Focusing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romotion Index -)

  • 이진모;강정구;박영수;박진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17-323
    • /
    • 2008
  • 주5일 근무제가 확대되어 국민의 여가시간이 증가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지자체들도 전시회, 국제요트대회 등을 경쟁적으로 개최하고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달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 그동안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하여 스포츠관점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산업적 관점에서 산업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레저스포츠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 등 환경요인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해양레저스포츠산업을 둘러싸고 있는 산업환경 요인을 해양레저스포츠산업의 주요성장 지표인 인구 천명당 레저보트(요트 모타보트) 보유척수와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진국과의 해양레저스포츠산업 환경요인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해양레저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the Marine Leisure Sector Following the Designation of Haeundae as 'Convention, Movie, Marine Leisure Special Zone

  • Hwang, Young-Woo;Ryu, Tae-Chang;Yhang, Wii-J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3-308
    • /
    • 2006
  •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production, employment, value added and income impacts tha, in the event of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Haeundae as 'Convention, Movie, Marine Leisure Special Zone', its marine sector would have on the local economy. The realization of marine leisure special zone of Haeundae in Busan is expected to lead to a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of approx. \13.6 billion, resulting in \68.0 billion in production impact, 850 jobs in employment impact, \28.0 billion in value added impact and \14.5 billion in income impact. This is expected to give a boost to a stagnant local economy, offering opportunities for the revival of Busan's tourist industry.

서남권 다도해 해역의 해양레저 기반여건분석 (Analysis of Marine Leisure base condition for the Archipelago at the Southwest Sea Area)

  • 박성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3-25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진 서남권 다도해 해역의 해양레저 기반여건 분석에 관하여 논의한다. 먼저 국내 해양 레저와 요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환경 친화형의 마리나 시설을 서남권 다도해 해역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분석한다.

국내 마리나항만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Marina and Marine Leisure Service)

  • 홍장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19
  • 국내 마리나항만은 해양레저의 대중화와 더불어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하여 2010년 마리나항만법 제정 및 제1차 마리나항만기본계획 수립으로 전국에 34개 이상의 시설들이 조성 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해양레저 트렌드 변화와 함께 레저선박 수요증가에 대응한 국내 마리나항만의 운영 여건을 분석하고 마리나항만의 유형 및 기능에 따른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마리나항만이 해양레저활성화의 기반시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마리나항만의 규모와 입지적 특성에 맞는 서비스기능 제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마리나항만내 레저선박의 환경관리와 관광객 편의제공을 위한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 PDF

해양 레저선박의 디지털 감성 디자인 프로세스 (Digital Design Process of Marine Leisure Boat Using Human Sensibility Evaluation)

  • 최출헌;장필식;서문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93-699
    • /
    • 2010
  • Korea has been took the top ranking in the global shipbuilding industry in terms of new orders, order backlogs and the volume of vessels for several years. However, the domestic small- and medium-scale shipbuilders currently face imminent threat from China and new challenge to focus on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ships. So far, the marine leisure industry of Korea has been showed weak global competitiveness and there were few attempts to design and develop leisure boats and yachts. We describe the digital design process of leisure boat exterior that could reflect user's sensibilities and feelings of entire forms of the products. This design process contains stepwise sensibility evaluation via web and provides designers with various and fast feedbacks about their design outputs in each design stage.

마리나항만정책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Marina development policy)

  • 홍장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2
    • /
    • 2019
  •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2009년 마리나항만법 제정 및 제1차 마리나항만기본계획이 수립되면서 현재 전국적으로 마리나항만 시설 34개소가 조성·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해양관광 트렌드 변화와 레저선박 수요 증가에 대응한 국내 마리나항만 운영여건을 분석하고 마리나항만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마리나항만이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마리나항만의 규모와 입지적 특성에 맞는 서비스 기능 제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Vitalizations of Marine Leisure Sports; Analyses on the recognitions for the Marine Leisure Sports and their Current State-of-the- Art)

  • 이진모;신용존;박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45-652
    • /
    • 2008
  • 주 5일 근무제가 확대되어 국민의 여가시간이 증가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자체들도 해양레저스포츠 관련 전시회, 국제요트대회 등을 개최하고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달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사용자들의 이용실태를 통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고 저해요인을 고찰하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반인들의 인식을 개선하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며 기술개발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정책과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관련 정책과 사업자들의 사업계획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