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casualty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연안역의 기후특성 및 해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astal Area and Marine Casualties)

  • 윤종휘;이덕수;김세원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30
    • /
    • 1994
  • By use of the Climatological Report(1982~1991) and the Marine Casualty Report(1982`1992), marine casualties caused by meteorological factors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along Korean coast were analysed. Marine casualty by meteorological facto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kinds such as collision, aground and sinking. On the whole collision was mainly caused by dense fog and heavy precipitation, and aground and sinking was caused by strong wind and high sea. As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wind, fog and precipitation at major ports in Korea, climatic characteristics along Korean coast are as follows. in the eastern coast, wind was relatively weak and fog was not so frequently formed, while strong wind blew all the year round and fog appeared from April to August in Ulleung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the wind was strong in both winter and summer, fog formed frequently in late spring through mid-summer and heavy precipitation was in summer. Typhoon affecting Korea was usually passing this area to the East Sea. In the western coast, strong wind was prevailing in winter at southern region and fog was formed very frequently throughout the year.

  • PDF

소형어선의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 (Reduction plan of marine casualty for small fishing vessels)

  • 박태건;김석재;추영수;박태선;류경진;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73-180
    • /
    • 2018
  • Marine casualties of small fishing vessels (SFV) of less than 20 tons are frequent in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 and then prepared reduction plan using the marine casualty statistics of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to reduce the marine casualties of SFV.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ype of whole vessels occurring marine casualty, fishing vessels accounted for an average 68.0 %; moreover, except for 2014 when M/V SEWOL ferry capsizing occurred, the rate of death and missing due to marine casualties occurred from 68.3 % to 91.2 % in fishing vessels, and an average 79.5 % was found to be urgent need of a measure. Marine casualties occurrence depending on the gross tonnage of fishing vessel was found that the most occurred at less than 5 tons, followed by the order of 5 to 10 tons or less. However, crews who boarded on SFV do not have any training program for them, except for the fishing safety training of fisher who carry out fishing for shipowners and crew of the coastal and offshore fishing vessel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regulations for fishing vessels in the Fisheries Cooperative Assoc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training program so as to improve the preventive action and then emergency response including the fishing safety compliance with each fishery, safe navigation, machinery insp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Also, an SFV of less than 5 tons of 56,000 vessels is boarded by unqualified fishers.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consider subdividing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It is expected that marine casualties of SFV will be reduced if active efforts are made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isher and shipowners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fishing safety training and the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system.

S-100 표준 기반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 설계 (A Design of Data Model for Marine casualty based on S-100)

  • 김효승;문창호;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69-775
    • /
    • 2017
  • 국제해사기구의 이내비게이션 전략은 선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편하고 안전한 항해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내비게이션 전략에 맞춰 선박에는 다양한 장비가 도입되고 육상의 시스템과 연계한 시스템 구조를 가지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간의 공통 데이터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국제수로기구가 개발한 S-100 표준이 선정되었다. 본 논문은 이내비게이션 전략의 공통 해사 데이터 구조인 S-100 표준을 기반으로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S-100 표준의 데이터 모델은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설계되며 최종 인코딩은 GML/XML의 형태를 따른다. S-100 표준과 현재 개발 중인 제품 사양에 대해 살펴보고 해양 사고 데이터의 S-100 표준 기반 데이터 설계와 포트레이얼 정의를 기술하였다.

해양사고 예보 시스템 개발 (III): 3차원 통계 가시화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Marine Casualty Forecasting System (III): Imple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 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해양사고 통계예측 결과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3차원 가시화 시스템의 구현에 관해서 기술했다. 이 시스템 개발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GUI)과 웹(Web) 기반 가상현실(VR) 기술을 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매일의 상황을 예보하기 위하여 시간기반 해양사고 예측모델과 위험수준 지표를 개발하였다. 시스템 작동실험 결과, 3차원 가상공간에 단순한 색으로 복잡한 통계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매일의 위험수준을 막대 그래프에 나타낼 수 있었다.

기적음관련 해양사고 분석.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Analysis and Evaluation Simulation System for Whistle Sound Related Marine Casualty)

  • 임정빈;김창경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7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인간(해기사)의 두 귀에 주목한 머리전달함수(HRTF)를 이용하여, 기적음과 관련된 해양사고를 분석-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3D-LSS)을 개발하였다. 해양사고당시 상황을 분석해서 가청화 모델을 구축하고, 3차원음 생성방법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CUI 방식의 그래픽과 3차원 음향으로 해양사고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D-LSS을 이용하여, 해양사고 중에서 기적음 청취여부를 판단하지 못했던 6가지 사건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명의 평가자에 의한 심리음향평가결과, 6가지 사건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었기 때문에 3D-LSS의 해양사고 심판보조 장치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기적음관련 해양사고 분석·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Simulation System for Whistle Sound Related Marine Casualty)

  • 임정빈;김창경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659-66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인간(해기사)의 두 귀에 주목한 머리전달함수(HRTF)를 이용하여, 기적음과 관련된 해양사고를 분석-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3D-LSS)을 개발하였다. 해양사고당시 상황을 분석해서 가청화 모델을 구축하고, 3차원음 생성방법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GUI 방식의 그래픽과 3차원 음향으로 해양사고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D-LSS을 이용하여, 해양사고 중에서 기적음 청취여부를 판단하지 못했던 6가지 사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5명의 평가자에 의한 심리음향 평가결과, 6가지 사건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었기 때문에 3D-LSS의 해양사고 심판보조 장치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nd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 임채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3
    • /
    • 2010
  • 해양사고조사는 해양에서 발생한 사고 및 준사고에 대해 조사하여 원인을 규명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사고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사안전관련 협약 및 관련 국내 법규를 채택하고 개정한다. 특히,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해양사고의 조사에 있어 각국이 협조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보고하며, 동 보고에 근거하여 새로운 국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사고의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규정한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안전성심판제도를 통해 해양에서의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분석하고 해양안전심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코드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사고조사제도인 해양안전심판제도에 있어서 반영되고 개정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향후 제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이에는 특히, 조사기관의 독립과 조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국선심판변론제도 몇 선원인권보장 등이 포함된다.

24m미만 소형어선의 저항.복원성을 고려한 선형결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Hull form Decision Program Considering Resistance and Stability of Small Fishing Vessels Under 24m)

  • 박제웅;허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3-46
    • /
    • 2000
  • As far as fishing vessels are concerned, there are two aspects to be noted: One is the stability which is the greatest concern for the safety of fishing vessels, as the corresponding number of casualty is overwhelming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types of vessels. To flake it worse, the feature of casualty is rather catastrophic, accompanying major fatalities. The other aspect is related to the needs of improvement of resistance performance along with the hull form development. In particular, small fishing vessels, such as under 24m in length, which is dominant size in the type, need further scrutiny to enhance the qualities mentioned above, as relevant standards/criteria on the issues are not shown clearly and, therefore, implemented for the design or assessment.

  • PDF

어선의 업종별 해양사고의 원인과 대책 (The causes and counterplan for marine casualties of fishing boats according to the fishing types)

  • 김수형;김형석;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3호
    • /
    • pp.246-257
    • /
    • 2020
  •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MST (2010~2019), 68.5% of marine casualties have been occurred in fishing boats in the last 10 years. Although the incidence rate of annual average per ship is 10.4% for merchant ships and 2.3% for fishing boats, it is necessary to first reduce the marine casualties of fishing boats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whole marine casualty,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fishing boats are 86.5% of the total. In this study, the top 10 fishing types with high occurring marine casualties in the past 10 years were selected using the statistics of KMST. Then, the causes of the marine casualties, focusing on the collision, were analyzed and counterplan were suggested. The biggest marine casualty that the top 10 fishing types have caused in the past 10 years was a collision, accounting for 71.7% of the total, and the rest were less than 10.0% each. Also, it was found that the biggest environment and cause of the collision were due to human factors such as poor look out or negligence of duty. Eventually, it was concluded that a reduction in the human factors for the causes basically, could lower the incidence of the marine casualties. Therefore, if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correcting education of the attitude toward the ship operating of seafarers could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main human factors, the whole marine casualties will be expected to decrease grad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