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power policy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32초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y: Focusing on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its Action Plans

  • Seongsoo Kim;Changyul Lee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1호
    • /
    • pp.001-026
    • /
    • 2023
  • This paper dealt with the Korean manpower policy in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ools of the Special Act and its Master Plans. After briefly introduc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manpower policy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it discussed and analyzed the Special Act and Plans from the framework of personnel development, distribution, utilization and infrastructure.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y has focused on fostering and supplying manpower in line with the country's industrial growth strategy.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 development during the 1960s and 1980s,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were direct and effective tools for nurturing S&T manpower. Since the 1990s,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research has increased. The government fostered graduate research manpower through the research-oriented university policy of the BK21 program.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tendency of students to avoid care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led to enacting the Special Act (2004) governing the field of S&T human resources. The Special Act has contributed to leveling up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sophisticated the policy to include entrepreneurship training, spin-off startup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offering degree programs. The Special Act and the regularly revised Master Plans have been essential tools in systematically manag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SW정책변수간 구조분석을 통한 SW기술인력 대우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Improving Treatment of Technical Manpower in Software Industry based on the Structure Analysis between Variables about Software Industry Policy)

  • 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35-46
    • /
    • 2010
  • SW산업의 생산요소는 인적자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SW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는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IT 산업 현장에서의 SW인력에 대한 경제적 대우나 사회적 가지는 제대로 인정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SW산업 육성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러나 정부의 SW산업 육성정책은 대부분 기업의 국내 시장조성, 국제 경쟁력 제고, 중소벤처의 경쟁기반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핵심요소인 인력에 대한 정책은 소외되어 온 게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SW기술인력에 대한 정책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현 SW산업정책의 분석과 이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중점은 SW산업 정책 관련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관계분석에 있으며, 이 구조관계분석을 통해 증명된 내용을 토대로 SW인력의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의사인력의 지역간 분포양상 및 공중보건의사의 영향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under the Influence of Public Health Physician)

  • 서용덕;차병준;박재용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9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hysicians and dentists and the degree of maldistribution of the physician. Data were obtained form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s report on physicians registry and census for 1990. To assess the degree of disparity in the rural-urban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and to identify changes in the distribution pattern, the Gini index of concentration was us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Urban-rural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exists in all categories of manpower, i.e. physician, dentist, oriental medical doctor, general practitioner, medical specialist, practitioner, public health physician and public health dentist. Urban area which had 74.4% of nation's population, accounted for over 90% of all physician manpower. 2. In terms of the ration of physician manpower per 10, 000 population, in urban area, they were 8.2 physicians, 2.7 general practitioners, 5.5 specialists, 3.0 practitioners, 1.8 dentists and 1.3 oriental medical doctors. In rural area, the ratios were 1.4 physicians, 0.6 general practitioners, 0.9 specialists, 1.0 practitioners, 0.4 dentists and 0.4 oriental medical doctors. 3. Gini indicies computed to measure inequality of physician manpower distribution were 0. 3675 for physicians, 0.3372 for general practitioners, 0.3338 for specialists, 0.2263 for practitioners, 0.3132 for dentists and 0.3293 for oriental medical doctors. 4. Inspite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physician manpower, urban concentration of physician manpower intensified from 1980 to 1990. However, the Gini index for all physician manpower fell by 18.3~36.7% from 1980 to 1990, indicating more even distribution. 5. In rural area, the public health physicians and dentists had increased the ratios of physicians, general practitioners, practitioners and dentists per 10, 000 population remarkebly, and had decreased the Gini indicies of physicians, general practitioners, practitioners and dentists. Thus, public health physicians and dentists contributed to improve the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in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ong-term and rational manpower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as well as short-term policy for inducing physicians to the rural areas.

  • PDF

정보보호인력 양성정책 분석 (Analysis on the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Policy)

  • 김태성;전효정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3년도 창립학술대회
    • /
    • pp.241-250
    • /
    • 2003
  • With an increasing awar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the market demand for better information security goods and services causes shortage in well trained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This study analyzes the priorities of the options available to the qualitative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training policy. The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four hierarchies: goals, criteria, sub-criteria and alternatives for each of which priorities are developed through the rating approach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3 criteria and 8 sub-criteria are involved in the four hierarchies. The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is the most desirable.

  • PDF

System Dynamics Modeling Approach for Manpower Planning and Policy Analysis

  • Ro, Kong-Kyun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90
    • /
    • 197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how System Dynamics Approach may be used to develop new ways of analyzing and projecting manpower requirements and resources. For this purpose, a System Dynamics Model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 examination of the model will show that a System Dynamics modeling approach is an innovative and useful tool for manpower policy analysis and planning. Second, with minor modifications, the model may be used for manpower policy analysis and planning for any skilled personnel in Korea. For example, a similar model nay be built for engineers to analyze the effects of alternative policies about engineering education, sur as the number of available places in the various institutions of training, scholarships and loans, and the duration of training. An engineer's model may also be used to make the projections of the supply and requirements of engineers in the future according to various alternative assumptions where each assumption represents a policy option.

  • PDF

디지털 융합시대 중소 SW기업 기술인력의 안정적 확보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of the technical manpower of Small and medium SW compani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 노규성;양창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9-99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원격 수업, 원격 근무, 원격 의료 등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사회로의 정착의 일등 공신은 SW중소기업과 SW인력이다. 그러나 최근 대형 플랫폼 업체 및 해외 빅테크 기업들이 수천명의 SW인력을 채용함으로 인해 SW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 SW기업들이 SW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지속적인 사업 영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SW산업 및 인력 현황을 살펴 본 후, 산업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전문가 집중 인터뷰) 등을 통해 SW기업기술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SW인력확보의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정책들은 내일채움공제제도, 청년주택조합 구성 등과 같은 인력 유지 지원 인센티브 강화, 병역특례제도, 채용조건형 계약학기제 등에 의한 인력 채용, SW인력 양성 바우처 제도 보완 등을 통한 맞춤형 교육 강화, SW 분야 Skill 표준화, SW 인력 양성 거버넌스 체계 구축, 대기업 등으로의 인력 유출에 대한 대응책 마련 및 대·중소 SW 인력 상생협력 프로그램 등이다.

한국 원자력 인력의 고령화와 인력정책의 함의: 원자력 관련기관 인력통계 분석 (Aging of Korean Nuclear Manpower and Implications of Manpower Policy: Statistical Analysis on Nuclear Organizations)

  • 정범진;고경민
    • 에너지공학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12
  • 원자력 인력 고령화는 원전 수출에 따른 새로운 인력 수요 증가에 못지 않는 중요한 인력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령화된 숙련 전문인력의 대거 퇴직에 따른 고급 인력난과 원자력 기술능력 약화는 한국 원자력의 경쟁력을 크게 약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원자력 관련 기관 및 업체들에 대해 2001년과 2010년 국내원자력 기관의 인력 현황에 대한 통계조사에 근거하여 약 10년의 기간 동안 원자력 인력 변동 추이 등의 인력 현황 통계자료를 활용했다. 이를 토대로 조사대상 기관별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원자력 인력의 고령화 수준을 검토한다. 그리고 원자력 인력 고령화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인력 충원의 방향과 한국 원자력 인력 수급의 문제점을 해소해 나가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생산성 비교분석을 통한 SW기술인력의 가치제고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Improving Value of Technical Manpower in Software Industr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ivity)

  • 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1-12
    • /
    • 2010
  • 근래들어 정보기술이 한국의 경제성장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소프트웨어는 대부분의 제품과 서비스의 핵심부품으로서 역할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소프트웨어기술인력에 대한 경제적 대우와 사회적 지위는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와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인력의 생산성에 관한 토론과 연구,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인력의 가치제고에 관한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인력의 가치제고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이 논문은 소프트웨어인력의 실태 조사 및, 소프트웨어기술인력의 생산성 분석을 토대로 소프트웨어 분야 기술인력의 가치제고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한의학 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수급전망 및 정책제안 (Current and Future R&D Manpower Requiremen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in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Area)

  • 서창진;장동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
    • /
    • 2009
  • To strengthen the R&D capability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industry, an adequate supply of qualified R&D personnel including medical doctor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is an important precondition. This study analyze current and future R&D manpower requirements including medical doctors in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area. Our analyses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government R&D manpower planning including the adequate supply of medical doctors for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For the study, we conducted and analyzed a delphi survey of the experts, the principal investigators, with expertise in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2007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R&D personnel is currently under-supplied as many as 302 people including 111 medical doctor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e rate of under-supplied is 28.2%. Second, in 2017 the forecast shows that the R&D personnel in this area will be more severely under-supplied as many as 539 people including 185 medical doctor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e rate of under-supplied will be 32.6%. As a result, the confrontation of demand and supply forecasts shows that, in general, severe shortages of R&D manpower in the area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will result if there are not adequate manpower policy adjustment.

  • PDF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이용한 정보보호인력 수급체계 분석 (System Dynamics Approach, to Demand and Supply of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 김태성;전효정;박상현;장석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2B호
    • /
    • pp.228-239
    • /
    • 2004
  • 정보보호산업 성장의 가장 큰 애로요인 중 하나로 시장의 미성숙,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부족 등과 함께 전문 인력의 부족 등이 꼽히고 있는 가운데, 정보보호인력은 공급부족으로 인한 수급 불일치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산업에 대한 수요는 필연적으로 인력에 대한 수요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정보보호산업이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시기 적절한 정보보호인력의 양성 및 공급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정보보호인력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정보보호인력의 수급체계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데에 초점을 두고,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System Dynamics)을 이용하여 정보보호인력의 수급체계 분석을 위한 모형을 작성하였다. 모형 구현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보보호인력의 수급체계가 갖고 있는 행태를 분석해 보고자하는 것이며, 이 때 주요정책변수를 조절하여 구현한 결과를 통해 정보보호인력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정책마련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