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made struct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현행 LRFD 설계식 검정 (Calibration of Current LRFD Formats for R.C. Structure Design)

  • 김상효;배규웅;박흥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40
    • /
    • 1990
  • Because of the inherent random nature of most manmade and environmental loadings and materials as well as the emperfect structural analysis, the reliability-based structural design has been recognized as a rational approach and the probability-based design criteria has been successfully developed for many standard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arget reliability levels, for which the reliability levels inherent in present design practice will be used as a rational guide.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levels implied in current practices, therefore, are investigated using the load and resistance models developed for domestic uses.

  • PDF

라멘교 및 상자형 암거의 자동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grams for Rahmen Bridge and Box Culvert)

  • 노동오;이경훈;정진환;김충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1-218
    • /
    • 2001
  • There are numerous factors in designing the civil-structure even for simple ones. So the designer has to be decide for such conditions and this makes him difficult. Recently, some design programs are used for the design of civil-structure. But even for using the existing design programs, another program is necessary, such as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Moreover a few errors may be made in the drafts which must be coincided with the structural calculations. In this study, the design programs for rahmen bridge with single span and box culvert were developed to reduce the design efforts and the manmade errors. These two design programs perform structural analysis, calculations, and making report and draft at a time. In addition, These programs suggest manuals according to standard specifications and references for design. When these programs are used for design, it will be able to reduce the efforts and time of civil engineers.

  • PDF

선태식물을 이용한 인공구조물 녹화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Bryophyte in Greening Man-made Structures)

  • 김용규;장혜숙;김용
    • KIEAE Journal
    • /
    • 제7권3호
    • /
    • pp.21-30
    • /
    • 2007
  • This research focuses primarily on the feasibility of applying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in modern urban environment. The study is based both on the role of bryophyte known in the process of the naturalization that life has come on the land and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yophyte.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lie in its desiccation-tolerance and poikilohydry that supports its enduring survival even under the despe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onitoring of applying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has shown us that bryophyte could control microclimate conditions, help to mitigate flood by reducing runoff, and lessen thermal conductivity, etc. The application of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has just started since 2002. Even though efforts to use bryophyte in greening man-made structures in Japan and Korea have resulted in both successes and failures, it is noticeable that there has been quite much technical progress in using this unique plant species.

비탈면 조기수림화를 위한 녹화용 식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Seeding of the Woody Plants for the Quick-coverage of the Slopes)

  • 김남춘;윤중서;배선우;손원주;정성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2-8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rates and ground coverage rates of the 16 native wild flower, herbaceous, shrub and woody plant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seeding timing for the reveget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roadside slopes.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design criteria to select revegetation plants and to decide proper seed mix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manmade slopes as a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plants germinated after 10~14 days. Woody plants germinated more slowly than wild flowers and herbaceous plants because of the hard seed. 2. Most of the pl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germination rates under $15/25^{\circ}C$ temperature. The next was in order of under the $20/30^{\circ}C$ temperature, normal temperature(October) and $25/35^{\circ}C$ temperature. 3. At the chamber experiment, the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Most of the native wild flowers germinated well and showed high germination rates under the various temperature. 4. As the field germination experiments, the seeding at August shows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that of the seeding at September, but showed lower surviving percentage of the germinated seedlings and lower ground coverage percentage than those of the seeding at September. After one year, Chionanthus retusus, Acer palmatum, Albizzia julibrissin are germinated and showed 10% coverage rates. So, they can be used as revegetation plants for the restoration works. 5. As seed mixture experiment, it was not effective onl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ratio of the tree seeds, relatively high price, for making woody vegetation. It would be more successful to make vegetation structure by natural competition among wild flowers, shrubs and trees. 6. The excessive dominance of trees in revegetation works may destroy the lower layer of vegetation and it will be undesirable on the species diversity. It is more important to recover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plant community by seed mixture with the considering the germinati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effect among revegetation plants. 7. To recover the manmade slopes quickl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wild flower was recommended.

백제와 아스카(飛鳥)의 원지구성(園池構成) (The Garden Ponds of Baekje and Asuka)

  • 백지성;김진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3
    • /
    • 2018
  • The historical exchang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have broadly occurred, in terms of both political and cultural aspect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Regarding ancient gardening culture, in particular, Asuka developed gardens with the gardening techniques passed down by the Baekje people.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form of a garden pond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established through such exchanges, is suggested by investigating its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f data from the gardens of Baekje and Asuka. In terms of the garden pond structure, homogeneity was confirmed between Baekje and Asuka, with a linear rectangular form as the basic design. In addition, the vertical construction technique was used by both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the types of stone used in building the shore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diverse types such as natural stone, crushed stone, and cut stone. In contrast, rounded river stone was used by Asuka. Regarding the floor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soil, which enabled the planting of lotus flowers. In contrast, Asuka used stones to pave pond floors, which made the growth of plants impossible. In terms of layout, Baekje used ornamental stones for pond landscaping, while Asuka used manmade island and water intake facilities in their pond construction. The effects of Baekje's garden culture on Asuka's garden building can be seen from its influence on the form of the garden pond and shore construction styl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arden pond's shore with the same stones and the stone flooring, the garden ponds of the Asuka Kingdom reveal technically unified and refined aspects.

시간성과 모더니티 -윌리암스의 『봄과 모든 것』을 중심으로 (Temporality and Modernity: A Reading of William Carlos Williams's Spring and All)

  • 손혜숙
    • 영어영문학
    • /
    • 제55권1호
    • /
    • pp.83-105
    • /
    • 2009
  • Modern poetry begins as criticism of modernity and, by so doing, rejects its idea of time. Modernity emphasizes sequential, linear, and irreversible time and progress. Williams rejects the modern view of time, and attempts to substitute literature for history assuming that literature can take us into the immediacy of time. His poetry asserts the true moment of experience as an immediacy, of words co-existent with things. He suggests that modernity and its idea of time already led to World War I and could clearly lead to an actual, manmade apocalypse with continued technological progress. Already in the 1920s, Williams sensed that he was living in a world where such an end could come all true, which is why Spring and All, his greatest early achievement, begins with a parody of the modern apocalypse. Throughout the work, Williams criticizes "crude symbolism" and expresses his longing to annihilate "strained associations," for he believes that the metaphoric or symbolic association is related to order, the center,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itself. The metonymic model of Spring and All substitutes a self-reflexive, open-ended, and indeterminate structure of time for the linear and closed one. Instead of supplying an end, Williams only asserts the rebirth of time and attempts to arrive at immediacy while attacking the mediacy of traditional art. His characteristic use of fragmentation and abrupt juxtapositions disrupts the reader's generic, conceptual, syntactic, and grammatical expectations. His radical poetic experiments, such as the isolation of words and the disruption of syntax, produce a sense of immediacy and force the reader to confront the presence of the poem. His destruction of traditional forms, of the tyrannous designs of history and time, opens up rather than closes the possibility of signification, and takes us into a moment of beginning while disallowing temporal distancing. Spring and All, as a criticism of the modern idea of time, asks us to view Williams's work not as an ahistorical text but as a cultural subversion of modernity.

사장교 케이블 손상 사나리오에 따른 구조 안전 수준 평가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Cable Stayed Bridge based on Cable Damage Scenarios)

  • 김가영;서동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05-111
    • /
    • 2018
  • 본 연구는 케이블 시스템의 손상으로 인한 케이블지지 교량의 안전 수준을 평가하여 재난 관리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지지 교량(현수교 및 사장교)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교량은 복잡한 구조 요소와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케이블지지 교량은 종종 인적 또는 자연 재난에 따른 위험을 직면하기도 한다. 2015년 국내 공용중인 사장교에서 번개에 의한 케이블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케이블이 파단이 발생하였고, 교량 붕괴의 위험까지도 고려되었다. 또한 이 사고로 인해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요구되었다. 이 사건 이후로 이러한 대형 인프라 시설물에 대한 리스크 기반의 유지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잠재적 인 케이블 피해로 인한 교량의 안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고, 국내의 사장교 1개소를 선정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을 목표로 케이블 시스템의 손상 시나리오에 따른 교량 안전 수준을 평가하였다. 사장교의 케이블 손상 시나리오에 따른 안전 수준은 FEM 해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현수교 케이블 송기시스템 효율화를 위한 지역별 상대습도 환경 분석 (Analysis of Regional Relative Humidity Environment for Dehumidification System Efficiency of Suspension Bridge Cable)

  • 서동우;김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88-94
    • /
    • 2018
  • 국내외 현수교량 주케이블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송기시스템을 통하여 주케이블 내부 상대습도를 보통 $40%{\pm}5%$ 이하로 유지하고 있다. 국내 주케이블 송기시스템이 설치된 현수교량의 위치는 모두 지리적으로 온난다습한 기후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해안지역이며, 특히나 우리나라의 해안지역은 각 계절의 온도차 및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강재 부식에 더욱 열악한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환경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송기시스템의 가동기준 40%가 아닌 좀 더 효율적인 지역별 송기시스템 가동 기준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최근 국내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태풍 BOLAVEN(2012)과 CHABA(2016) 기간의 상대습도 분포, 분석 기간(2012~2016) 중 내습한 모든 태풍의 기간을 제외한 여름철과 겨울철의 상대습도 분포, 기온과 연계한 겨울철 상대습도 분포 분석을 통해 지역별로 송기시스템 가동기준을 차별화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 상승 및 강수량 증가의 영향을 고려할 때 더욱더 객관적인 지역별 송기시스템 가동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추후 현수교 주케이블의 송기시스템 가동에 대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립공원(國立公園) 자연경관(自然景觀)의 계량적(計量的) 분석(分析)을 통(通)한 경관관리(景觀管理)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關)한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Landscape Management Improvement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ational Parks)

  • 김세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1호
    • /
    • pp.32-41
    • /
    • 1991
  • 우리나라 대표적(代表的)인 산악형국립공원(山岳型國立公園)이라 할 수 있는 지리산(智異山) 산림(山林)의 시각자원(視覺資源)을 대상(對象)으로 시각자원관리(視覺資源管理)를 위한 객관화(客觀化)된 정량적(定量的)인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提示)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설정(設定)된 가설(假設)과 실험(實驗)에 의한 검증과정(檢證過程)을 실시(實施)하였다. 심리량분석(心理量分析)을 위해 S.D Scale 측정(測定)에 의한 공간(空間)의 이미지구조(構造)를 인자분석(因子分析) Algorithm을 통(通)하여 밝혔으며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 측정(測定)을 실시(實施)하여 결정인자추출(決定因子抽出)과 각(各) 인자(因子) 상호간(相互間) 상대적(相對的) 중요성(重要性)을 구명(究明)하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의 자연경관(自然景觀)과 융화(融和)를 전제(前提)로 한 수림(樹林), 하늘, 수면(水面), 기암괴석(奇岩怪石) 등(等)의 자연요소(自然要素)와 사찰건물(寺刹建物) 등(等)의 요소(要素)를 지닌 시각요소(視覺要素)가 긍정적(肯定的)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도록 대상지향성(對象志向性)과 형수성(亨受性)을 높일 수 있는 체험(體驗)의 장(場)을 이루게 하여 경관적(景觀的) 가치(價値)를 높이며, 인공구조물(人工構造物) 요소(要素)에 대(對)한 보다 계획적(計劃的)이고 체계적(體系的)인 설치(設置) 등(等)의 시각자원관리(視覺資源管理) 기법(技法)이 필요(必要)하다 하겠다. 자연경관내(自然景觀內) 인위적(人爲的) 이질요소(異質要素)가 보완적(補完的), 융합적(融合的)으로 작용(作用)하는 공간(空間)에서는 시각적(視覺的) 표현(表現)의 다양성(多樣性)과 양감적(量感的) 요소(要素) 및 주변경관(周邊景觀)과 일관(一貫)된 맥락(脈絡)을 유지(維持)하는 분배(分配)와 연결(連結)의 상호(相互) 관계(關係)를 고려(考慮)하여 도입(導入)한다. 또한 자연(自然)과 인공(人工)의 균형(均衡)이 고려(考慮)되는 시각적(視覺的) 연속성(連續性), 구조물(構造物)의 형태적(形態的) 간결성(簡潔性), 동화성(同化性), 강조성(强調性), 이질요소(異質要素)의 통일성(統一性) 및 비례(比例) 등의 배열미(配列美)에 대(對)한 종합적(綜合的)인 기준설정(基準設定)이 요구(要求)된다 하겠다.

  • PDF

김포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Growth Condi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Kimpo)

  • 두철언;이종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4
    • /
    • 2012
  • 본 연구는 보호수 입지지반별로 각 개체의 생육실태를 분석하여 수세종합판단을 하였고 이 결과와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비율을 교차분석하여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김포시 보호수 대장에 등재된 68개소를 대상으로 생육실태분석은 자연성, 수목활력도, 수세종합판단을 실시하였으며, 수관면적은 가지가 뻗고 있는 동서남북 방향을 중심으로 실측하여 면적을 산출하였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인공지장물인 포장(아스콘, 콘크리트, 블록 등), 건물, 옹벽과 자연지장물인 토사(복토), 석축, 자갈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연성 분석에 있어 보호수가 위치한 입지지반은 인공과 인공+준 자연지반이 전체의 72.05%로 나타났으며, 수관면적은 심우경과 신세균(1992)이 보호수 생육에 필요한 수관면적을 제시한 것에 비해 대부분 부족한 것이 많았으며,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김포시 보호수 주변이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높아지고, 수형변형과 수세쇠약으로 이어지고 있어 보호수의 생육 공간 확보와 지장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수관면적에 지장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20% 이하인 것이 수세판단 1-2등급, 21-50% 이하는 2-3등급, 50% 이상은 3-5등급으로 나타났다. 지장물이 많이 차지할수록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어, 보호수의 근계관리에 있어서 그 면적비율이 20% 이하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함을 입증하였다.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20% 이하로 제한하되 수관면적 밖이 인공지장물이 아닌 경우에는 지장물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다소 상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보호수 생육 공간 확보를 수관면적만큼 유지 확보하고, 지장물은 수관면적 밖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수 이식에 있어 생육 공간 확보 시 입지지반 여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택지개발 시 보호수 주변을 공원으로 활용하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의 설치 면적은 제한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제시된 노거수, 보호수 주변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토지소유자의 세제해택과 보호수 주변 토지매입 등이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자체의 예산 확보와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보호수 주변의 지장물 종류별, 두께 등이 수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후속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