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propamid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2초

시설재배 엇갈이배추 중 살균제 Mandipropamid의 수확시기별 잔류 특성 (Dissipation Pattern of a Fungicide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 at Different Harvest Tim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정명근;안경근;김기쁨;황영선;권찬혁;강인규;이영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44-654
    • /
    • 2016
  •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mandelamide계 살균제인 mandipropamid를 수확 10일전 1회 살포한 후 각각 0(2시간 이내), 1, 3, 5, 7, 및 10일 후에 엇갈이배추 시료를 채취하여 mandipropamid 잔류량을 분석, 통계학적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Mandipropamid의 평균 회수율은 0.4 및 $2.0mg{\cdot}kg^{-1}$의 두 수준에서 각각 $88.2{\pm}3.2%$$92.2{\pm}2.0%$이었으며, 분석정량한계는 $0.04mg{\cdot}kg^{-1}$이었다. Mandipropamid를 기준량으로 1회 살포 시 엇갈이배추 중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포장 1 및 2에서 각각 3.9일과 4.0일 이었고, 생체중 증가가 mandipropamid의 잔류량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m andipropamid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의 경우 $11.07-12.19mg{\cdot}kg^{-1}$ 수준, 수확 5일전의 경우 $5.76-6.05mg{\cdot}kg^{-1}$ 수준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농산물 중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 확립 (Determination of mandipropamid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ry)

  • 권찬혁;장문익;임무혁;최훈;정다이;이수찬;유진영;이영득;이종옥;홍무기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18-525
    • /
    • 2008
  • 포도, 고추, 배추, 토마토 및 감자 등 5종 농산물에 대하여 mandelamide계 신규 살균제인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각 농산물을 세절한 시료에 methanol을 가하고 고속마쇄하여 잔류분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와 증류수로 희석하고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여 극성분순물을 제거하였으며,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가 정제하였다. Mandipropamid의 HPLC/UV 검출기상 최소검출량은 2 ng (S/N>10, 0.01 AUFS)이었고 시료추출물 중 불순물에 의한 간섭은 관찰되지 않았다. 무처리 포도, 토마토, 고추, 배추 및 감자에 대하여 2수준 3반복으로 회수율을 산출한 결과 각각 $99.8{\pm}1.7$ (n=6), $89.3{\pm}5.3$(n=6), $98.7{\pm}2.2$ (n=6), $99.7{\pm}6.8$ (n=6) 및 $91.1{\pm}3.1$ (n=6)이었으며,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0.02~0.04 mg/kg이었다. 아울러 검출된 잔류분은 재확인을 위하여 selected-ion monitoring (SIM)을 이용한 LC/MS법을 추가로 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은 검출감도 및 재현성을 고려할 때 공정분석법으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Baseline Sensitivity to Mandipropamid Among Isolates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hytophthora Blight on Pepper

  • Jang, Ho-Sun;Lee, Soo-Min;Kim, Sun-Bo;Kim, Joo-Hyung;Knight, Susan;Park, Kwee-Doo;McKenzie, Duncan;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17-321
    • /
    • 2009
  • Sensitivity to the new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 mandipropamid,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was determined on 187 isolates collected in Korea over 3 years, from 2005 to 2007. All isolates were sensitive to mandipropamid, with $EC_{30}$ values for growth of mycelia ranging from 0.001 to $0.037\;{\mu}g/ml$. Among the isolates, 147 (79.0%) isolates were sensitive to metalaxyl, whereas others were resistant to this fungicide. Mandipropamid had the same effect on mycelium growth of both metalaxyl-sensitive and metalaxyl-resistant isolates, indicating an absence of cross-resistance between these two fungicides. Comparison of the sensitivities of P. capsici isolat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to mandipropamid and dimethomorph ($r^2$=0.853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evidence for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mandipropamid in this population of P. capsici isolates collected in Korea.

상추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농약 Mandipropamid 및 Thiamethoxam의 잔류소실특성 연구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mandipropamid and thiamethoxam for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in lettuce)

  • 양승현;이재인;최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67-274
    • /
    • 2020
  • 상추 중 살균제 mandipropamid 및 살충제 thiamethoxam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s)를 추정하기 위해 3곳의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두 약제의 경시적 잔류량 감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상추 중 농약 잔류량은 HPLC-PDA 또는 UV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수한 회수율 및 변이값을 보여 분석의 유효성을 확보하였다.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살포 권고량을 살포한 후 살포 후 수확일(PHI)을 포함한 10일 동안 출하시기에 적합한 개체를 채취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포장별 초기 평균 잔류량은 mandipropamid 6.68-17.87 mg/kg, thiamethoxam 4.96-8.31 mg/kg이었고 10일 경과 후 각각 초기잔류량의 16-54 및 14-4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Thiamethoxam의 대사산물인 clothianidin은 <0.02-0.37 mg/kg으로 검출되었다. 상추 중 두 약제의 잔류량은 단순 1차 감쇄반응처럼 감소하였으며 포장구분없이 일자별 잔류량 회귀식을 산출한 결과, 평균 감소상수 및 생물학적 반감기는 mandipropamid의 경우 -0.1060 및 6.5일이었고 thiamethoxam은 -0.1236 및 5.6일이었다. 상추 잔류량 감소상수의 95% 신뢰구간 상한치는 mandipropamid -0.0746 및 thiamethoxam -0.1091이었으며, 출하 10일 및 5일 전 PHRLs은 mandipropamid의 경우 63.24 및 43.56 mg/kg, thiamethoxam은 44.66 및 25.88 mg/kg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농가에서 농작물 출하시기를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농가의 소득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고추 역병균의 metalaxyl 저항성 변화 및 metalaxyl 저항성과 고추에 대한 병원성과의 상관 관계 (The Change of Resistance of Phytophthora infestans to Metalaxyl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hogenicity on Pepper Plants)

  • 연초롱;이수민;김선보;민지영;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0-276
    • /
    • 2008
  • 전국 고추재배 포장에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분리한 151개의 고추 역병균을 가지고 연도별 metalaxyl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metalaxyl의 평균 $EC_{50}$ 값은 역병균을 채집한 3년 동안 2005, 2006, 2007년의 균주들이 1.454, 0.830, $0.323{\mu}g\;mL^{-1}$로 그 값이 감소하고 있었으며, 2007년에 채집한 균주에서는 저항성 병원균을 전혀 분리하지 못하였다. Metalaxyl에 저항성인 고추 역병균이 mandiproramid와 dimethomorph에 대해서 교차 저항성을 보이는 지를 조사한 결과, metalaxyl과 다른 두 약제 mandipropamid와 diinethomorph의 사이에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metalaxyl에 대한 저항성은, 역병균의 균사 생장 속도와 고추에 대한 병원성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Carboxylic acid amide계 살균제에 대한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감수성 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Baseline Sensitivity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to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s)

  • 신진호;김주형;이경희;노창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6-462
    • /
    • 2010
  • 고추 주요 재배지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에 걸쳐 채집한 180개의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을 대상으로 carboxylic acid arnide(CAA)계열의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dimethomorph에 대한 감수성/저항성 반응을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3가지 살균제에 대한 $EC_{50}$값(병원균의 균사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은 benthiavalicarb가 0.033(0.015-0.049) ${\mu}g\;mL^{-1}$, iprovalicarb가 0.411(0.197-0.556) ${\mu}g\;mL^{-1}$, dimethomorph가 0.271(0.101-0.798) ${\mu}g\;mL^{-1}$로 나타났다.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는 포장에서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2007년부터의 $EC_{50}$값과 사용하기 전의 $EC_{50}$값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병원균의 $EC_{50}$값에 의한 분포에서도 저항성균의 발현은 찾아볼 수 없었다. Dimethomorph 역시 포장에서 저항성균이 발현하지는 않았지만, 연도별도 병원균의 $EC_{50}$값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다른 작용기작을 갖는 metalaxyl과의 교차저항성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R^2$값을 조사하였는데,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imethomorph 각각과 metalaxyl과의 $R^2$값은 0.001, 0.009, 0.069로 매우 낮아 전혀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같은 계열에 속하는 mandipropamid와 실험에 사용한 세 종류의 살균제 각각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지니는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 그리고 dimethomorph와 mandipropamid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동일한 CAA계열의 다른 살균제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토마토재배에 사용하는 농약과 친환경농자재가 곤충 병원성 곰팡이 Beauveria bassiana의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sticid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used in Tomato Cultivation on the Pathogenicity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이민호;김민정;김정준;김용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7-364
    • /
    • 2012
  • 토마토 재배에 사용되는 농자재를 이용하여 곤충 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의 병원성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hlorothalonil 등 13종의 살균제 첨가 배지에서는 B. bassiana 균사가 전혀 생장하지 못하였고 chlorothalonil 등 12종의 살균제 첨가 배지에서 균총이 형성되지 않았다. 살충제와 친환경자재를 첨가한 모든 배지에서 균사가 생장하고 포자가 형성되었지만 대부분 배지에서 무처리와 비교했을 때 유의차를 보였다. 온실가루이에 대한 살충력은 B. bassiana 단독처리일 때보다 화학살균제(polyoxin B, mandipropamid)와 친환경농자재(sulfur) 혼합시 떨어졌으며 화학살충제(pyridaben, dinotefuran)와 식물추출물 유래 친환경농자재(pyrethrum) 혼합시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온실에서 살균제인 polyoxin B의 혼합으로 온실가루이에 대한 B. bassiana의 감염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해성평가에 근거한 농산물 중 22종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22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Risk Assessment)

  • 정형욱;하용근;임무혁;신지은;도정아;오재호;조재호;권기성;박선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6-172
    • /
    • 2011
  • 본 연구를 통해 신규농약인 isotianil의 쌀에 대한 잔류허용기준과, 기준이 확대되는 21종 농약에 대해 26개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시하였다. Iisotianil의 쌀에 대한 MRL은 0.1 mg/kg으로 설정하였고, ADI대비 TMDI의 비율 1.54%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기준이 확대되는 21종의 농약의 경우 dinotefuran, idoxacarb, trifumizole을 제외한 나머지 농약은 ADI대비 TMDI의 비율이 50% 미만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Trifumizole은 재평가를 통해 미등록된 작물의 기준을 폐지하면, 현재의 ADI대비 TMDI 비율 절반 수준인 30%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고추 역병에 대한 Carboxylic Acid Amide계 살균제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s against Pepper Phytophthora Blight Causing Phytophthora capsici)

  • 신진호;김주형;김형조;최영기;김아형;이경희;노창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3-472
    • /
    • 2010
  •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dimethomorph, mandiproparnid 등과 같은 carboxylic acid amide(CAA)계 살균제가 고추 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의 생육 단계에 미치는 영향과 온실에서의 작용특성 그리고 포장에서의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CAA계 살균제는 병원균의 균사 생장과 포자낭의 직접 발o]를 크게 억제하였으나, 포자낭으로부터 유주포자의 나출은 전혀 억제하지 못하였다. 온실에서 실시한 고추 유묘 검정에서도 모든 살균제는 병원균의 접종 농도와 조사 시기를 등에 따라서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병원균을 접종하기 1일 전과 1일 후에 처리한 예방과 치료처리에서 모두 우수한 효과를 보여 주었다. Benthiavalicarb는 병원균을 접종하기 7일 전에 처리하였을 때도 100%의 효과를 보였다. 이 효과는 P. capsici를 $5{\times}10^3$$mL^{-1}$의 낮은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와 $1{\times}10^5$$mL^{-1}$의 높은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 모두에서 나타났다. 포장 실험에서도 dimethomorph를 제외한 모든 살균제는 효과적으로 고추 역병을 방제하였다. 하지만 dimethomorph는 2009년의 실험에서 $250{\mu}g\;mL^{-1}$에서 27.2%의 저조한 효과를 보였지만, 2010년에는 $125\;250{\mu}g\;mL^{-1}$에서도 89.5%의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서 CAA계 살균제는 고추 역병에 대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병원균과 병 방제에 대한 다양한 효과는 포장에서 역병을 종합적으로 방제하는 처리 체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울산지역 유통 발효주의 잔류농약 및 중금속 실태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Heavy Metals in Fermented Liquor in Ulsan)

  • 김희정;김경진;김민경;김금비;김수희;조영경;박주은;정소연;서원덕;최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0-259
    • /
    • 2024
  • 발효주의 잔류물질 실태조사를 위해 울산지역에서 유통되는 발효주 150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400종과 중금속 납, 카드뮴, 수은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 분석 결과, 102건(68%)의 검출을 나타냈으며 검출된 농약 종류는 35종으로 그 중 원료 농산물의 기준이 없는 농약은 4종이 검출되었다. 발효주 종류별로 비교하면 와인이 60건의 검사 중 54건(90%)으로 가장 많은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맥주는 60건 중 37건(61.7%), 막걸리는 30건 중 11건(36.7%)이 검출되었다. 발효주에 대한 중금속 분석 결과는 납 73건(48.7%), 카드뮴은 9건(6.0%), 수은은 36건(24.0%)을 나타내었다. 납은 73건의 검출 중 와인이 57건(78.1%)을 차지해 가장 높은 검출을 나타내었고 카드뮴과 수은은 검출된 9건, 36건 중 막걸리가 7건(77.8%), 13건(36.1%)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각 품목에서 검출된 잔류농약 및 중금속 항목에 대해 인체노출량 평가결과는 모두 1%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