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cclusion

검색결과 973건 처리시간 0.022초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9-529
    • /
    • 1992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ype to treat and stabilize. For a child with develop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treatment objective would be to stimulate maxillary growth, particulary one who has markedly deficient maxilla, and to restrain excessive mandibular growth. In order to stimulate the maxillary grow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is the one of the effe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skeletal Class II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evaluation of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xillary deficiency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between the group with RPE and labiolingual intraoral appliances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related to the ages of the patients :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about 1 year after reten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4 who were diagnosed as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were treated with Face Mask (Delaire Type) from the Dept. of Orthodontics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48 children wore the RPE and 12 children wore Labiolingual Applianc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each patient at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anterior cross-bite in 60 children, and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10 to 14 months in 19 children. X and Y coordinate of 10 landmarks were analyzed using a horizontal line through sella and rotated $6^{\circ}$ down anteriorly as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and a perpendicular verticual line through sella as the vertical reference axis. Each of the 31 measurents (10 verticals, 10 horizontals, 2 angles and 9 oth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while the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 rotated downward and backward. 2. Maxillary protraction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labiolingual appliance. 3. More downward movement of the posterior palatal plane obserb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doing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than with protraction after finishing the palatal expansion 4. The clinical effects of protraction and changes of the retention peri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age groups. 5. During the retention period, maxilla and maxillary teeth, and mandible and mandibular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however the mandibular changes were larger than the maxillary changes.

  • PDF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치료 예후 예측를 위한 두부방사선 계측 변수의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8
    • /
    • 2004
  • III급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했을 때, 치료 후 retention 기간 중에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재발되어 성장 완료시기에 악교정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어린 년생부터 장기간에 걸쳐 교정치료를 했음에도 재발되어 악교정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와 보호자는 소모된 시간과 경비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보정기간 중에 있는 30증례를 조사했다. 치료 완료된 교합상태를 교합안정 정도에 따라 good, fair, relapse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골격형태를 관찰한 결과, AB-MP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조기에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우에, 치료 후 안정에 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AB-MP를 활용할 수 있다. AB-MP이 65이상인 경우에 조기치료가 권장되고, 60이하인 경우에는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연기할 수 있다.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편도 절제술 전 후의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head post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AND HEAD POSTURE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IN FUNCTION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원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1-243
    • /
    • 1997
  • 본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대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nlarged tonsil을 보이는 기능성 3급 부정교합자는 1급 부정교합자보다 혀는 전방에 위치하고 설골은 하방에 위치한다. 2. Tonsillectomy 후에 편도 절제술전과 비교하여 혀는 후방에 위치하고, nasopharynx은 증가 양상을 보이며, 설골은상, 후방에 위치하며 counterclockwise rotation 양상을 보인다. 3. Tonsillectomy 후에 nasopharynx depth변화와 하악 전치 경사도, 혀의 수직적 변화와 cranial base에 대한 hyoid axis, hyoid의 수직적, 수평적 변화와 두경부 경사도, 두경부 경사도와 하악 전치간에 95% 유의수준으로 상관성을 보인다. 4. Tonsillectomy 후에 설골 장축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시 hya-NL의 감소와 nasopharyx의 증가를 보이고, 혀의 거상시 hya-NL의 감소를 보이며, 혀의 후방위치시 h-h1의 증가와 hya-ba-n의 감소를 보인다.

  • PDF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기도 공간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with nasal obstruction)

  • 정호림;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에서,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며, 비폐쇄 소견을 보여 이비인후과로 의뢰된 환아 100명의 초진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에서 상 인두기도 공간(upper PAS), 하 인두기도 공간(lower PAS), 편도의 크기, 구개-혀 공간을 측정하여 기도 공간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통상적인 계측점을 사용하여 안면 골격 분석을 시행하여 기도 공간 형태 계측항목과 안면 골격분성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Upper PAS는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facial plane angle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SN-GoGn, Y-axis to SN, FMA 항목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Lower PAS는 genial angle, FM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FHR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도의 크기는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개-혀 공간은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enial angle의 합, facial length, AFH, FMA, L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MPA, overbite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 modified C-palatal plate and cervical pull headgear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s

  • Park, Chong Ook;Sa'aed, Noor Laith;Bayome, Mohamed;Park, Jae Hyun;Kook, Yoon-Ah;Park, Young-Seok;Han, Seong 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75-383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ntal and skeletal effects of the modified C-palatal plate (MCPP)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of cervical pull headgear.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the lateral cephalograms of 44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including 22 who received treatment with MCPP (age, $24.7{\pm}7.7years$) and 22 who received treatment with cervical pull headgear (age, $23.0{\pm}7.7years$). Pre- (T1) and post-treatment (T2) cephalograms were analyzed for 24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and differences in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ean amount of distalization at the crown and root levels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amount of distal tipping was 4.2 mm, 3.5 mm, and $3.9^{\circ}$ in the MCPP group, and 2.3 mm, 0.6 mm, and $8.6^{\circ}$ in the headgear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intrusion by 2.5 mm was observed in the MCPP group. In both groups, the distal movement of the upper lip and the increase in the nasolabial ang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However, none of the skele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CPP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s.

CAD/CAM을 이용한 다운 증후군 환자의 구강 재건 (APPLICATION OF CAD/CAM FOR ORAL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DOWN SYNDROME)

  • 정현진;심준성;최병재;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5-98
    • /
    • 2017
  • 본 증례는 다운 증후군이 있는 환자의 구강 재건 시 CAD/CAM 시스템 사용의 이점을 모색해보았다. 다운 증후군 환자들의 경우, 보철물 파절의 위험성이 크며 불가피하게 보철물을 재제작할 경우, CAD/CAM 시스템의 기존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기공 과정만 진행하여 보철물을 빠른 시일 내에 재제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심미적 및 기능적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보철물 제작 시 환자의 불편감과 치과의사의 노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양산시 거주 청소년의 치과치료 필요도에 대한 조사연구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Dental Treatment Needs of Adolescents in Yangsan)

  • 권민석;신종현;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4-364
    • /
    • 2016
  • 청소년기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치과치료 필요도를 평가할 목적으로, 양산시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4-17세 청소년 2,062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의 치료필요도는 66.7%, 치아침식증의 치료필요도는 27.8%,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MIH)의 치료필요도는 14.7%였다. 부정교합은 양호한 교합 군 67.8, 치료 불필요 군 19.7%, 약간의 치료가 필요한 군 6.8%,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군 4.5%, 가장 심한 부정교합 군 1.1%로 나타났고, 치료필요도는 12.5%였다. 치주질환은 71.2%의 유병률을 보였고, 치료 필요도도 이와 동일한 71.2%였다. 측두하악장애는 무증상 군 67.1%, 경미한 증상 군 13.4%, 심한 증상 군 19.5%의 분포를 보였으며, 치료필요도는 20.6%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치료 필요도를 보인 질환은 치주질환이었고, 뒤를 이어 치아우식증, 치아침식증, MIH, 측두하악장애, 부정교합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전반적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필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되는 바이다.

상악 전방 견인 치료에 양호하게 반응하는 안모형태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Profile Having Favorable Response to Face Mask)

  • 황충주;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6
    • /
    • 1999
  • 동양권 특히 한국인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과성장, 상악열성장 또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대부분이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하고 있으며, face mask는 상악골 열성장을 나타내는 성장기 아동에서 주로 쓰이는 악정형 장치이다. face mask는 전치부 반대교합과 상악골의 위치를 개선하여 대부분 적절한 교합관계를 이루어 양호한 안모를 얻을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상하순이 전방으로 돌출된 듯한 바람직하지 않은 안모를 얻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치료 전 어떠한 환자의 조건이 치료 후 바람직한 교합관계와 안모를 얻을 수 있는지를 술자가 알 수 있다면 face mask 치료의 결과 예측과 한계에 대하여 보다 잘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장기 제 III 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료 후 양호한 안모를 얻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후 양호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1, n=12)과 양호하지 못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2, n=14)으로 나누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측방 두경부 방사선 계측 항목을 이용한 후향적인 연구로 통계처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부조화로 인해 상악전치가 이미 순측경사되어 전돌되어있을 수록 치료 후 안모는 좋지 않았으며, 상악전치와 관련된 전방 치조골(prosthion)의 전돌 또한 안모에 영향을 주었다. 2. 치료 전 상악골과 하악골이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NL-ML) 좋은 안모를 나타내었다. 3. 치료 전 하순의 돌출도가 클수록 치료 후 bialveolar protrusion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치료 후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정도가 클 수록 좋지 못한 안모를 보였다.

  • PDF

골격성 II급 성인 부정교합자에서 혀와 두개안면골격 및 악간공간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tongue with skeletal pattern and intermaxillary space in Class II malocclusion adult patients)

  • 강현희;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5-587
    • /
    • 1999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 중 성장이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는 만 18세 이상의 여자 37명, 만 20세 이상의 남자 23명을 선정하여 정상 성인의 안면비를 기준으로 hyperdivergent group(n=30)과 hypodivergent group(n=30)으로 나누어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였으며 두개안면골격 및 혀의 크기, 높이 그리고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을 계측하였고, 두 군간의 차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혀와 두개안면골격 그리고 악간공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군의 혀와 악간공간의 계측항목 비교시 악간공간에 대한 혀의 면적비(TS/IS)는 hyper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PIH(posterior intermaxillary height)와 IS(intermaxillary space)는 hypo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혀의 높이와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혀와 두개안면골격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에서 혀의 면적(TS), 길이(TGL) 그리고 높이(TH)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이 전안모고경 (AFH)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hypodivergent group에서는 후안모고경(PFH)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3. 혀와 악간공간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 혀에 관한 대부분의 항목(H-P제외)이 악간공간(IS)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혀의 높이 (TGH)와 면적 (TS)을 나타내는 항목은 악간공간의 AIH 및 PI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