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por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8초

광릉 산림 소유역에서의 대공극흐름율과 유효대공극부피분율의 공간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pore Flow Percentage and Macroporosities in the Gwangneung Forest Catchment)

  • 곽용석;김수진;김준;임종환;김상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4-246
    • /
    • 2007
  • 대공극은 불포화대에서 토양으로의 침투와 유출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릉 슈퍼사이트 내 산림 소유역을 대상으로 사면에서의 대공극의 공간적 발달에 대해 알아보았다. 장력 침투계를 이용하여 침투과정 중 대공극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대공극흐름율과 유효 대공극부피분율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체계적인 공간적 분석을 하기위해 대상사면의 수치지형도를 구하여 등지형지수지도를 기준으로 실험 지점을 선정하였다.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공간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지만 흐름선이 원두부로 접근하고, 기여사면 면적이 증가할수록 대공극흐름율과 유효대공극부피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대공극형성요인 중에 지중침식, 생물학적 활동, 수리적 환경, 토양층의 발달 및 기반암의 구조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릉 산림과 같은 복잡 경관에서 강우사상에 따른 토양수분의 공간분포 및 이송, 유출과정이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자료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산용 레디믹스트 재료를 사용한 숏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공극구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 Pore Structure of Shotcrete using for Mine Ready-mixed Materials)

  • 이흥수;김동민;최승경;이주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517-1521
    • /
    • 2009
  • A variation of pore structure of shotcrete matrix was experimented by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and the relation with compressive strength was also examined. As a result of the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MIP) test, RM-P1 Batch the macropore diameter of the RM-BFS2 and RM-BFS3 Batch than to have a relatively macropore can see a lot of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degradation. Also, K and N Batch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mine if the factors on shotcret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macropore volume of the entire appears to be a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in the fall.

  • PDF

산지 사면에서 토양체와 대공극을 통해 발생하는 지표하 호우류의 수문학적 특성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surface Stormflow through Soil Matrix and Macropores on forested Hillslopes)

  • 김경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777-785
    • /
    • 1997
  • 이 연구는 강우시 산지사면의토양체와 대공극에서 발생하는 지표하 호우류를 구분하여 측정한 후 이들의 수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측정 시설은 미국 Georgia 주에 위치한 지질국 산하 Panola 시험유역의 상류 산지사면에 약 20m 길이의 조사구를 암반 깊이까지 파고 2m 간격으로 집수구를 설치하였다. 대공극류는 조사구 토양단면에 있는 13개의 대공극 중 유출이 발생한 6개의 대공극에 집수통을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1996년 3월 6일부터 7일까지 95.5mm의 강우가 내렸으며 이 때 발생한 대공극류와 기질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대공국류는 기질류보다 약 10시간 앞서 첨두유출이 발생하므로 유역의 첨두유출을 형성하는데 보다 큰 영향을 미쳤다. 강우가 종료된 후 대공극류는 약 12시간 이내에 멈춘 반면 기질류는 약 3일 이상 지속되어 감수부를 형성하는데 보다 큰 영향을 미쳤다. 기질루와 대공극류의유출량은 집수구에 따라 최대 8,655.3$\ell$에서 최초 17.8$\ell$로 공간적 변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 변이는 지표 지형보다 기반암 표면의 지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건조조건 변화에 따른 미세기공층 내의 기공분포 변화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e size distribution in micro porous layer using pore forming agents under various dying conditions on PEMFC performance)

  • 전정환;조동현;박기태;김성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1.1-71.1
    • /
    • 2010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내의 기체확산층(GDL)은 셀 내의 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기제(GDBL) 위에 미세기공층(MPL)을 코팅한 2층 구조의 기체확산층이 사용되는데, 이 미세기공층은 카본파우더와 테프론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촉매층에서 발생한 물을 셀 밖으로 빠르게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공분포를 갖는 미세기공층을 제조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세기공층 슬러리내에 암모늄염 계열의 기공형성제를 혼합하여 다공성 기제 위에 코팅한 후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건조함에 따라 기공분포가 다른 미세기공층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미세기공층의 물성은 수은기공도계, FE-SEM, 자체적으로 제조한 기체투과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 전지 성능 측정은 두 개의 가습조건(RH100%, RH50%)에서 실시하였다. 기공분포 측정결과 건조온도가 높은 미세기공층은 건조온도가 낮은 미세기공층에 비해 직경이 1,000 - 20,000 nm 인 대공극(macropore)의 수가 많지만, 직경이 100 nm 이하의 미세공 (micropore)의 수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지성능 측정 결과 고가습 조건 (RH100%)에서는 미세공 (micropore)이 발달한 미세기공층을 포함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고, 저가습 조건 (RH50%)에서는 대공극 (macropore)이 발달한 미세기공층을 포함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물배출에 유리한 미세공 (micropore)의 성질과 원료 기체의 이동에 유리한 대공극(macropore)의 성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셀 운전 가습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기공구조를 갖는 미세기공층을 사용함으로써 셀 운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수정 TOPMODEL에 의한 유출해석과 일반화 (설마천 유역을 중심으로) (Generalization of Modified TOPMODEL for Rainfall-Runoff Analysis of Sulmachun Watershed)

  • 이학수;김남원;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95-306
    • /
    • 2002
  • 지표하부에 이중 저류체계를 고려해주는 수정 TOPMODEL을 일반화된 지표하 투수량계수 감소함수와 연결시켰으며, 대공극으로의 수직배수 효과, 지표저류 효과, 토양층 내에서의 상대 저류 부족량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세가지 형태의 지하수 충전함수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사면 수문학에 대한 30가지 형태의 모형구조를 제공한다. 개발된 모형들은 설마천 유역의 여러 강우사상에 적용되었다. Monte-carlo 모의를 통한 수행결과는 지수함수적 투수량계수 감소형태가 설마천 유역의 물리적인 수문모의에 적절함을 제시하였고, 대공극 흐름을 표현해 주는 재충전 함수가 일반화시킨 수정 TOPMODEL의 예측적 향상에 기여하였다.

Highly Ordered Porous Silica Adsorbent with Dual Pore Size Regime for Bulky VOC Gas Sensing

  • Yun, Ji Sun;Jeong, Young Hun;Nam, Joong-Hee;Cho, Jeong-Ho;Paik, Jong-Hoo
    • 센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1-184
    • /
    • 2013
  • Highly ordered porous materials having mesopores in the walls of macropores showed improved adsorption dynamics results for VOC molecules, especially bulky molecules. These meso/macroporous mataerials were synthesized by the dual templating method, and mesopore and macropore size wer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templates for each pore size regime. In the case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mall VOC molecules (toluene), although meso/macroporous MCM-41 with smaller mesopore size showed improved results, meso/macroporous SBA-15 with larger mesopore size was not improve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macropores, since there was no limitation of movement through the larger mesopore. However, the adsorption dynamics of bulky VOC molecules (p-xylene) over meso/macroporous SBA-15 were drastically improved by increasing the macropore size.

석탄회의 재활용을 통한 다공질 뮬라이트 복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Porous Mullite Composites through Recycling of Coal Fly Ash)

  • 김원영;지형빈;양태영;윤석영;박홍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1-156
    • /
    • 2010
  • Porous mullite/alumina composites have been fabricated by a freeze casting technique using TBA-based coal fly ash/alumina slurry. After sintering, unidirectional macropore channels aligned regularly along the TBA ice growth direction were developed; simultaneously, small sized micropores fromed in the outer walls of the pore channels.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e.g.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intered porous composites were roughly dependant of processing condition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m. However, with increasing solid loading and sintering temperature, the compressive strength generally increased and the porosity decreased. After sintering $1500^{\circ}C$ for 2 h, the porous specimen (porosity: 52.1%) showed a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of 70.0 MPa.

유기 다공성 소재의 흡유 효과 (Oil Absorption Effects of Organic Porous Materials)

  • 강영구;한상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6-91
    • /
    • 2006
  • Oil spills caused by the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from house and factory waste, grounded tanker, the rupture of storage tank and oil pipelines, the deterioration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etc. Many oil spills result in contamination of shorelines and workplace. Fire and explosion may happen from these spills. There are several technologies used for clean-up application, which include use of oil dispersing agents, absorbents, solidifiers, booms and skimmers by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Methods for oil spill clean-up operation are classified into the absorption type, gel type and self-swelling type. Porous materials with oil absorptive properties are classified into micropore, mesopore, and macropore depending on their pore sizes. Recently, new porous materials with smaller size have been developed, but the selective oil absorption in water-in-oil interface demonstrates the macro pore size. In this study oil absorption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organic porous materials with a complex function of gel type and swelling type. Samples were subjected to analysis by FT-IR spectroscopy and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gel formation and morphologies. Oil sorption capacity, pressure retention force and gel strength were also measured. From these results, the physicochemical reactivity before and after gelation was verified and the industrial applications of clean-up operation were suggested.

에어로졸공정에 의한 다공성 TiO2분말의 제조 및 공극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TiO2 Powder by Aerosol Process)

  • 장한권;장희동;박진호;조국;길대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79-485
    • /
    • 2008
  • Aerosol templating 법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출발물질 용액($TiO_2$ 나노분말/PS 콜로이드 혼합용액 및 TTIP/PS 혼합용액)으로부터 mesopore 및 macropore를 동시에 가지는 다공성 $TiO_2$ 나노구조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TiO_2$에 대한 PS 분말의 혼합비 및 반응기 온도가 다공성 나노구조체 분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iO_2$ 나노분말을 출발 물질로 사용한 경우, $PS/TiO_2$ 무게 혼합비를 0.79에서 1.31로 증가시킴에 따라 macropore의 증가가 SEM을 통하여 관찰되었으며 비표면적과 mesopore volume은 각각 $31.6m^2/g$에서 $39.1m^2/g$으로, $0.068cm^3/g$에서 $0.89cm^3/g$으로 증가하였다. TTIP 전구체를 사용한 경우, 동일조건에서 제조한 분말의 비표면적 및 mesopore volume이 각각 67% 및 75%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