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economic variabl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DI, ICT, Trade Openness,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BRICS Countries

  • SOOMRO, Ahmed Nawaz;KUMAR, Jai;KUMARI, Jo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295-303
    • /
    • 2022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one of the primary zones that stimulates economic development in today's globalized world. It promotes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worldwide communication and manufacturing systems, as well as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Many economic activitie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rely heavily on contempo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DI).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DI, ICT, trade openness, and economic growth in the context of BRICS countries from 2000 to 2018, with Gross Domestic Produc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elephone subscriptions, Mobile subscriptions, Broadband subscriptions, Internet subscribers, Secure internet servers,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Two variables are used as proxies to manage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while five variables are used as proxies for ICT infrastructur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nalyzed using Generalized Methods of Movements (GMM). According to this study, IC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growth of a few countries. Trade opennes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have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s growing countries, the BRICS must participate in economic reform and liberalization measures. This report suggests policy proposals for improving ICT standards, focusing especially on economic growth, trade openness, and increasing foreign investment in the BRICS countries.

Legal Stability and Determinants of Insurance Development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egion (MENA)

  • BEN DHIAB, Lassad;DKHILI, Hiche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141-149
    • /
    • 2022
  •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insurance business for finan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few studies have looked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s growth. This research adds to the body of knowledg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impact of numerous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the insurance business in 15 Middle East and North African (MENA) countries from 2000 to 2017. The study looks at macroeconomic,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potential drivers of the insurance industry's growth, with the insurance premium as a percentage of GDP as the dependent variable. All variables are stationary at the firs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PS panel unit root test. The Pedroni residual cointegration test, Kao residual cointegration test, and Johansen-Fisher panel cointegration tests are then used to look for long-run associations. The cointegration tests strongly suggest that the insurance premium and the various variables have long-run correlations. Findings from the Fully-Modified OLS imply that GDP per capita, gross capital formation, and the KOF economic globalization index have a positive long-term impact on the insurance business. The insurance business is also driven by combating corruption and the rule of law. The population and regulatory quality, on the other hand, have no significant impact.

화폐모형에 의한 환율 결정 이론의 비선형 문턱 공적분 검정: 100년간 자료를 중심으로 (Testing for Nonlinear Threshold Cointegration in the Monetary Model of Exchange Rates with a Century of Data)

  • 이준수;마크 스트래지시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2호
    • /
    • pp.1-13
    • /
    • 2009
  • 환율 결정 모형의 근간이 되는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온 화폐모형은 두 국가 간의 환율이 각국의 통화량과 소득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성립하려면 이 모형에 내포된 변수 간에 공적분이 성립해야 하는데, Rapach and Wohar(2002)의 논문은 10개 국가의 자료 중 대 여섯개의 자료에만 (선형) 공적분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그들이 사용한 100년간에 걸친 자료를 사용하되, 환율 결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적 조정과정을 감안하여 비선형 공적분이 성립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가 불안정적이 아닐 경우에는 공적분 관계를 설정하기 곤란하다는 이유로 누락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공적분 검정 결과에 비해 더 많은 경우에 있어서 비선형 공적분 관계가 있다는 검정 결과가 산출되었다.

  • PDF

한국기업의 대(對)중국 M&A 및 신설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Factors Determining the M&A and Greenfield of Korean Firms in China)

  • 최백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247-273
    • /
    • 2011
  • 한국기업의 대중국 M&A투자는 1990년 초반 시작되었으나 신설투자에 비해 매우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2000년대에 이르러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2007년 최고정점으로 이후 감소세를 돌아 섰다. 그동안 한국기업의 대중국 M&A 투자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 중국 M&A 투자의 결정요인 및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업의 대중국 진입방식에 있어서 M&A와 신설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투자본국과 현지국의 거시경제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환율변수의 경우 한국의 원화가치가 하락하는 경우 M&A나 신설투자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자본조달비용 변수로서 한국의 실질이자율은 M&A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현지국의 주가지수의 경우 중소기업과 경공업의 분석결과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지만, 대기업이나 중화학공업의 분석결과는 예상과 달리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현지국의 시장개방도 변수의 경우 신설투자나 M&A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지국의 시장규모변수인 중국의 GDP의 경우 M&A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신설투자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VECM모형을 활용한 거시경제변수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acroeconomic Variables on the Economic Growth by VECM Model)

  • 조우성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27-47
    • /
    • 2012
  • 2006년의 미국의 금융위기 및 현재 유럽의 재정위기로 인하여 세계경제는 침체의 위기에 서 있으며 저성장 고실업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성장에 원인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되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및 해외직접투자 등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들간 상호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과 IMF를 전후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경제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변수들 간에 영향을 어떻게 미친 것인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낼 수가 있었다. 1997년을 중심으로 변수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다. IMF기간이전에서는 보이지 않던 GDP와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 직접투자의 인과관계가 확인됨으로서, IMF 구제금융 이후 한국의 자본시장의 개방이 외국인직접투자 및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외국인직접투자와 해외직접투자의 연관성 역시 한국의 자본시장 개방과 관련성으로 판단지어 볼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수출입 등의 실물시장보다는 급증하고 있는 자본시장의 영향이 거시경제변수들간에 인과관계를 좀 더 잘 설명하고 있는 예가 아닐까 생각된다.

  • PDF

The Effect of Macroeconomic Factors on Income Inequality: Evidence from Indonesia

  • SESSU, Andi;SAMIHA, Yulia Tri;LAISILA, Maya;CHAMIDAH, Nurul;MURDIFIN, Imaduddin;PUTRA, Aditya Halim Perdana Kusu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55-6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of variabl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e.g., investment (INV), government expenditure (GE), unemployment rate (UR), economic growth (EG), and income inequality). The analytical phases consist, first, to transform the data using the Log Natural (Ln) method. Second, to check normality and multicollinearity of data. Third, to test direct effects of variables (government expenditure and investment effect on the unemployment rate and economic growth; investment on government expenditure; economic growth on unemployment rate; economic growth and unemployment rate on income inequality). Fourth, to test indirect effects using Sobel test, which involves UR and EG as intervening variable. Fifth, to test hypotheses with p-value < 0.05.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of the 12 relationships, statistics show that 11 variations of the associ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eoretically, the different characters and goals of GE and INV in each country will have a different impact on EG and UR goals. The study provides an input, especially for the government. To create optimal EG through GE and INV, it is necessary to allocate budgets to industrial sectors that can absorb a massive labor force and to new economic growth sectors.

해상운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cean Freight Rate)

  • 김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5-39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요 및 공급요인 외 해상운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을 발굴하고자 다변량 시계열분석을 수행해 보았다. 우선 종속변수에는 해상운임을 대용할 변수로 Shipping Intelligence에서 제공하고 있는 종합운임지수(ClarkSea Index), 벌크선운임(Clarksons Average Bulker Earnings), 탱커선운임(Clarksons Average Tanker Earnings) 등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해상운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해상물동량(World Seaborne Trade), 세계 선복량(World Fleet), 유가(Brent Crude Oil Price), 세계 GDP성장률(GDP World), OECD 산업생산성장률(Industrial Production OECD), 금리(US$ LIBOR 6 Months), OECD 인플레이션(CPI OECD)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해 보았다. 데이터는 시계열자료로 1992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데이터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종합운임지수에는 해상물동량과 유가가, 벌크선운임에는 해상물동량만이, 탱커선운임에는 해상물동량, 유가, 산업생산성장률, 인플레이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민간소비 예측 (Real-time private consumption prediction using big data)

  • 신승준;서범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1호
    • /
    • pp.13-38
    • /
    • 2024
  •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상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민간소비 동향을 신속히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거시경제지표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민간소비를 실시간으로 추정(nowcasting)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초고차원 빅데이터의 적합을 위해 활용 가능한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론을 비교분석하여 민간소비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빅데이터를 비롯한 가용 공변량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변수를 미리 선별하여 모형적합에 활용하는 것이 민간소비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빅데이터의 반영이 민간소비 예측 성능을 더욱 크게 향상시킴에 따라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일수록 새로운 정보를 적시에 반영할 수 있는 고빈도 빅데이터의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경제변수를 고려한 산업용지 수요예측 방법 연구 (A Study on Forecasting Industrial Land Considering Leading Economic Variable Using ARIMA-X)

  • 변태근;장철순;김석윤;최성환;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14-2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경제요인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용지 수요예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모형은 외생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ARIMA-X를 이용하였다. 외생변수는 경제 및 산업구조를 반영할 수 있도록 거시경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 및 경기종합지수 변수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측은 외생변수 중 산업용지 공급보다 선행하는 변수만을 사용한다. 산업용지 공급에 선행성을 갖는 변수는 수입액, 민간·정부소비지출, 총자본형성,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경기종합선행지수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ARIMA-X 모형을 추정한 결과, 수입액 변수만 포함된 ARIMA-X(1,1,0)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지 수요예측은 수입액의 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산업용지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장래 산업용지 수요는 연평균 1.91% 증가한 1,030.79 km2로 예측되었다. 이 결과를 기존 지수평활법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결과가 기존 모형보다 예측오차가 더 적게 나타났다. 새로운 산업용지 예측모형으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5·18민주화운동이 지역경제에 미친 경제적 영향 분석: 통제집단합성법(SCM)을 이용한 접근 (The Economic Impact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n the Regional Economy: A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approach)

  • 류덕현;서동규
    • 분석과 대안
    • /
    • 제6권2호
    • /
    • pp.155-183
    • /
    • 2022
  • 본 연구는 통제집단 합성법(Synthetic Control Method, SCM)을 사용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지역에 미친 부정적 충격을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제집단 합성법은 미시계량경제학의 이중차분법과 유사한 방법론으로 국가, 지역 등의 거시집계변수들에 적용하여 특정 사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건 이후의 성과차이를 계량하는 데이터 중심 추계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 기준 광역 지방자치 단체의 지방세수 자료를 지역의 경제력에 대한 대리변수로 하고 여러 사회 경제적 지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 지역의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실증 분석 결과 1980년을 기준으로 최대 17%까지 광주/전남 지역의 지방세수가 정상 경로와 비교하면 덜 걷혔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통제집단 합성법의 강건성 분석 방법인 시점이동 위약효과 분석과 공간이동 위약효과 분석을 통해서도 이러한 분석의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