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5·18민주화운동이 지역경제에 미친 경제적 영향 분석: 통제집단합성법(SCM)을 이용한 접근

The Economic Impact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n the Regional Economy: A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approach

  • 투고 : 2022.06.10
  • 심사 : 2022.07.11
  • 발행 : 2022.07.31

초록

본 연구는 통제집단 합성법(Synthetic Control Method, SCM)을 사용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지역에 미친 부정적 충격을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제집단 합성법은 미시계량경제학의 이중차분법과 유사한 방법론으로 국가, 지역 등의 거시집계변수들에 적용하여 특정 사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건 이후의 성과차이를 계량하는 데이터 중심 추계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 기준 광역 지방자치 단체의 지방세수 자료를 지역의 경제력에 대한 대리변수로 하고 여러 사회 경제적 지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 지역의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실증 분석 결과 1980년을 기준으로 최대 17%까지 광주/전남 지역의 지방세수가 정상 경로와 비교하면 덜 걷혔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통제집단 합성법의 강건성 분석 방법인 시점이동 위약효과 분석과 공간이동 위약효과 분석을 통해서도 이러한 분석의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conometrically analyze the negative impact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n the Gwangju/Jeonnam regionional economy using the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The SCM SCM is a methodology similar to the difference-in-difference(DID) method of microeconometrics. It is applied to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country, region, etc. to estim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eve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as of 1980, local tax revenue data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used as a proxy variable for the economy of the region, and the impact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n the economy of Gwangju/Jeonnam region was analyzed through various socio-economic indicators. In this study, data were used to analyze from 1971 to 2000, an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local tax revenues in Gwangju/Jeonnam area were less collected than normal routes up to 17%.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analysis was confirmed through in-time placebo effect analysis and in-space placebo effect analysis, which are methods of analyzing the robustness of the control group synthesis metho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년도 중앙대학교 연구장학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참고문헌

  1. 류덕현. (2018). 재정개혁과 경제성장: 통제집단합성법 (SCM)을 이용한 접근. 재정학연구, 11(3): 143-175.
  2. 배재창. (2017). 광주.전남 출신 대학생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지니는 암묵적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문제 및 사회문제, 23(4): 497-525.
  3. 안종철. (2001). 광주민주화운동과 무장투쟁. 한국동북아논총, (20): 275-299.
  4. 이희성. (2007). 5.18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의 보상에 대한 사회법적 고찰. 법학연구, 27: 399-432.
  5. 통계청. (2019). 「지역소득」 통계정보보고서, 통계청.
  6. 최정기. (2006). 과거청산에서의 기억 전쟁과 이행기 정의의 난점들: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과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4(2): 3-22.
  7. 주상영.현준석. (2020). 인구구조 변화가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안, 4(2): 71-102. https://doi.org/10.22931/AANDA.2020.4.2.003
  8. 서동규. (2020). 통제 집단 합성법을 활용한 사회적 이벤트의 경제적 충격에 대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동규.류덕현. (2019). 광주 민주화 운동의 경제적 충격에 대한 분석.한국재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0. Abadie, A., Diamond, A., and Hainmueller, J. (2010). Synthetic control methods for comparative case studies: Estimating the effect of California's tobacco control pr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5(490): 493-505. https://doi.org/10.1198/jasa.2009.ap08746
  11. Abadie, A., Diamond, A., & Hainmueller, J. (2015). Comparative politics and the synthetic control method.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9(2): 495-510. https://doi.org/10.1111/ajps.12116
  12. Han, H. (2022). Structural Change as a Source of Growth: An Empirical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Analyses & Alternatives, 6(1): 195-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