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81건 처리시간 0.022초

가시오가피가 함유된 성장촉진용 조성물의 골성장효과 연구 (A Study on the Longitudinal Bone Growth of Growth-stimulating Material with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양동식;차민호;강봉주;오세욱;김영언;윤유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02-707
    • /
    • 2003
  • 본 연구는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성장촉진용 조성물인 GSM의 성장촉진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족경골 말단의 성장판 증식과 골성장인자 IGF-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골세포와 간세포에서 골성장인자 IGF-1 유전자 발현, 그리고 족경골의 생육 효과를 관찰하였다. GSM은 세포실험을 통하여 주요 성장 인자인 IGF-1을 간에서 합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골에서도 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간과 골에서 합성이 촉진된 IGF-1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장골 길이 성장의 중요한 척도가 되는 성장판 말단부의 증식층 및 비대층의 연골세포 활력을 증대시켜 성장판 두께를 증가시켰고, 또한 골무기질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SM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성장기 어린이에게 성장촉진 및 골강화에 응용할 수 있는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지구성 운동이 본태성 고혈압 쥐 심장근의 eNOS, ET-1 mRNA와 골격근 eN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Cardiac eNOS, ET-1 mRNA and Skeletal Muscle eNOS Protein Level in SHR)

  • 송은영;조인호;조준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17-1722
    • /
    • 2007
  • 12주간의 저강도 트레드밀 운동은 본태성 고혈압 쥐의 안정시 심박수와 혈압, LPOA와 호모시스테인 수준의 개선과 함께 심장근의 eNOS mRNA 및 골격근의 sNOS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킨 반면 심근의 ET-1 mRNA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국 운동이 혈압조절 뿐만 아니라 고혈압에 의한 심근비대현상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개선을 가져와 고혈압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핵균 H37Rv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서 면역 반응에 대항하는 Mtb 유전자의 발현 변화 (Change of Gene Expression Patter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Against Host Immune Response in Infected Mouse Lung)

  • 이효지;조정현;강수진;정유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4-139
    • /
    • 2010
  • 전 세계 인구의 1/3을 감염시키고 있는 결핵균은 21세기에도 인류를 위협하는 병원균이다. 결핵균에 대항하는 Th1 면역 반응은 결핵균의 세포 내 성장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결핵균 감염을 자연 치유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마우스에 병원성 결핵균인 H37Rv를 감염시켰을 때 숙주의 면역 반응에 대항하여 결핵균이 자신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기 위하여, 결핵균 유전자 중 16S rRNA, acr, fbpA, aceA, ahpC 등의 발현을 real-time RT-PC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6S rRNA의 copy number는 감염 후 30일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CFU 측정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결핵균 유전자 중 주된 항원으로 작용하는 유전자인 fbpA의 copy number를 CFU로 나눈 값으로 표현한 발현 양상은 감염 후 10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되었다. Heat shock protein인 ${\alpha}$-crystallin을 coding하는 acr은 감염 후 지속적으로 높아졌으나,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 발현되는 효소들인 ahpC와 aceA의 발현은 감염 후 20일 동안 높아졌다가 3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결핵균이 숙주의 면역 반응이 개시되면 결핵균의 주된 항원 중 하나인 Ag85A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fbpA의 발현 수준을 낮춰 숙주의 Th1 먼역 반응이 낮아지도록 유도한다는 증거로 볼 수 있으며, 면역 반응이 활발해 짐에 따라 큰포식세포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균을 보호하기 위하여 ahpC와 aceA의 발현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핵균이 유전자 발현을 숙주의 면역 반응에 대항하여 스스로 변화시켜 적대적인 숙주 세포 내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생존 전략을 구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테스토스테론생성 레이디히세포(Leydig)에서의 메탈로치오닌 유전자 발현특성연구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 mRNA in Cadmium Treated Leydig Cells)

  • 박광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3호
    • /
    • pp.261-269
    • /
    • 2004
  • Although the biological functions of metallothioneins (MTs) are still being investigated, they have been suggested to be involved in detoxification of heavy metals, scavenging of free radicals, and protection against alkylating agents. MTs have been reported to be induced in most of animal tissues by heavy metals such as zinc, copper, mercury and cadmium, and the proteins have binding affinities to the metals. However, the presence or induction of MTs was reported not to be clear in leydig cells, which produce testosterone for the maturation of spermatozoa in male tes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ducibility of metallothionein isomers by cadmium in cultured mouse leydig cell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near confluent grown leydig cells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which were synthesized on the basis of MT-1, 2, 3 and 4 cDNA from GenBank database. As results, MT-1 and MT-2 mRNA were found to be expressed in cadmium non-treated control cells and MT 1 mRNA expression was dose-dependent when leydig cells were treated with cadmium chloride. But MT-3 which is known to be brain specific and MT-4 which is another isoform of metallothionein, were not expressed. Other genes induced or depressed in cadmium treated leydig cells were also identified by microarray techniques.

참당귀 추출분말의 골관절염 흰쥐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류의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gigas extract powder on 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osteoarthritis)

  • 권진환;한민석;이부민;이용문
    • 분석과학
    • /
    • 제28권4호
    • /
    • pp.260-269
    • /
    • 2015
  • 골관절염에 대한 참당귀 추출분말의 치료효과를 검토하고자 흰쥐의 monosodium iodoacetate(MIA)로 유발된 골관절염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염증관련 효소 및 염증성 cytokines의 발현에 대하여 참당귀 추출분말의 억제효능을 검토하였다. 고농도의 참당귀 추출분말 (50 μg/mL) 투여에서도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동일조건하에서 interleukin-1α (IL-1α)로 유발된 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관절연골 조직의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cyclooxygenase-2(COX-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참당귀 추출분말은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에서 독성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iNOS발현을 억제하여 방출되는 신호전달 물질인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참당귀 추출분말의 처리로 염증유발 부위에서 염증성 cytokines으로 알려진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및 interleukin-6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참당귀 추출분말의 항 염증효과는 TNF-α, IL-1β 및 IL-6의 혈중농도를 낮추어 염증부위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항염증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 참당귀 추출분말의 투여는 MIA 또는 IL-1α로 유발되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인자, 관련 효소의 발현 및 관련 신호전달 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슬관절의 활액 내 glycosaminoglycan (GAG) 및 관절연골의 proteoglycan (PG)의 분해를 방지하여 골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참당귀 추출분말의 주성분인 decursin은 혈중에서 2시간이내에 decursinol로 전환되어 8시간이상 LC-MS/MS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참당귀 추출분말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억제활성은 항염증활성이 큰 decursinol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육계에서 가시오갈피 급여에 따른 생산성,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Broiler Chicks)

  • 장인석;문양수;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4
    • /
    • 2015
  • 본 연구는 천연항산화 생리활성 소재로서 가시오갈피를 육계에게 0(CON), 0.5(AS1) 및 1.0%(AS2) 수준으로 급여하여 생산성, 면역장기 무게,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친염증 사이토카인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 사육기간에서 가시오갈피 급여에 따른 체중, 증체 및 사료섭취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S2구에서 사료요구율이 유의적으로(p<0.05) 저하되었다. 면역장기 무게를 관찰한 결과, 간, 비장, F-낭 및 흉선 무게는 가시오갈피 급여에 따른 영향이 없었다. 혈액 생화학적 성분에서 albumin, total protein, cholesterol, AST, ALT 등과 같은 대부분의 성분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triglycerides는 대조구에 비해 AS2구에서 현저히(p<0.05) 높았고, glucose 수준은 대조구에 비해 가시오갈피 급여구에서 현저히(p<0.05) 증가되었다. 친염증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가시오갈피 급여에 따라 백혈구의 IFN-${\gamma}$ mRNA 발현이 현저히(p<0.05) 감소되었으며, IL1-${\beta}$, IL-6, TNF-${\alpha}$, iNOS 등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비장에서 친염증 사이토카인 발현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 조직에서는 0.5% 가시오갈피 급여에 따라 iNOS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지만, 다른 친염증 사이토카인 발현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육계 생산성 및 친염증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할 경우, 0.5% 수준의 가시오갈피 급여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골피, 동충하초,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이 고포도당 조건에서 배양한 HepG2 세포의 당대사 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Extract from Lycium chinense, Cordyceps militaris, and Acanthopanax senticosus on Glucose-Regulating Enzymes of HepG2 in Hyperglycemic Conditions)

  • 김대중;김정미;김태혁;백종미;김현숙;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57-1262
    • /
    • 2010
  • 본 연구는 지골피, 동충하초, 가시오가피의 복합추출물을 고포도당 조건(4.5 g/L)에서 배양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당대사 관련 주요 효소인 glucokinase, 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을 RT-PCR과 western 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합추출물을 HepG2 세포에 24시간 처리한 후 GK mRNA와 protein의 발현 양을 측정한 결과 각각 $168{\pm}0.04%$, $182.4{\pm}0.03%$로 증가하였으며, ACC 효소의 활성은 고포도당으로 배양하였을 때 ACC mRNA 및 protein 발현 양은 각각 $127.3{\pm}0.02%$, $126.7{\pm}0.24%$로 증가 하였다. 결론적으로 지골피, 동충하초, 가시오가피의 복합추출물이 GK 및 ACC mRNA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육계 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 성장과 HMG-CoA Reductase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arlic Powder on Growth Performance and mRNA Expression of Hepatic HMG-CoA Reductase in Broiler Chickens)

  • 유선종;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07-314
    • /
    • 2009
  • 육계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과 간 HMG-CoA reduct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일령의 육계 Ross 수평아리에게 마늘분말을 0%(항생제 첨가 또는 항생제 무첨가), 1%, 3% 및 5%의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각각 6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마늘분말 3% 및 5%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육계 사료 내 5%까지의 마늘분말의 첨가급여는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간, 비장, 맹장 및 가슴 근육에 대한 상대적 중량은 처리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근육 내 콜레스레롤 함량은 항생제 첨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IB 항체 생성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의 HMGCoA reductase mRNA의 발현은 대조구에 비해 마늘분말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료 내 마늘의 첨가급여는 육계의 성장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짝자래나무[Rhamnus yoshinoi] 가지 추출물에 의한 전립선암세포의 Wnt/β-catenin 분해 유도 활성 및 GC/MS 분석 (Extract from the branches of Rhamnus yoshinoi exerts anti-cancer effects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through Wnt/β-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by GC/MS)

  • 강연경;어현지;김다솜;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06-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Rhamnus yoshinoi (RY, 짝자래나무) 가지 부위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전립선암세포의 항암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짝자래 나무 가지 추출물을 전립선암 세포 PC-3에 처리하여 β-catenin과 TCF4의 단백질 수준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후, β-catenin과 TCF4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β-catenin은 감소하지 않았고, TCF4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β-catenin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지만, TCF4 mRNA 발현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효소억제제인 MG132를 처리한 전립선암 세포 PC-3에서 단백질 수준 확인을 통해 β-catenin의 단백질 분해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립선암 세포 PC-3에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의 GSK-3β 유도 β-catenin 단백질 분해 Kinase 구명과 β-catenin 인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은 GSK-3β 의존성 Wnt/β-catenin 단백질의 분해를 통해 전립선암의 생육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에서 항암활성과 관련된 활성물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전립선암의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짝자래나무 가지 추출물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U-251-MG 세포에서 PSA 경로에 작용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PSA Signaling Pathway of U-251-MG Cells)

  • 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25-4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U-251-MG 세포를 이용하여 증식, 이동, 침윤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에 미치는 PSA와 H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은 약 3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 (10 ng/mL)에 의해 증식이 약 1.4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에 의한 U-251-MG 세포의 이동은 약 60%가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이동이 약 1.3배 증가되었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침윤이 약 6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세포의 침윤이 약 4.3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는 약 25%, MMP-9의 분비는 약 20% 억제되었으며, HGF에 의해 PSA siRNA에 의해 억제된 MMP-2 및 MMP-9의 분비가 약 2.8배 및 3.5배 증가되었다. HGF 처리에 의해 플라스민의 분비량은 약 14배 증가되었고, PSA를 억제한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플라스민의 분비가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MMP-2의 발현은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으나, MMP-9의 발현은 약 85% 억제되었다. PSA를 억제시킨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MMP-2의 발현은 약 5.7배, MMP-9의 발현은 약 6.3배 증가되었다. 한편, MMPs의 광범위 억제제인 BB-94 처리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억제 된 것은 MMP-2 및 MMP-9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