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84건 처리시간 0.026초

형질전환 생쥐에서 Antisense 비만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ntisense Mouse Obese Gene in Transgenic Mice)

  • 권범섭;홍권호;장정원;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8
    • /
    • 2000
  • 랩틴은 지방세포의 비만유전자에서 분비되는 포식인자로써 음식섭취, 에너지대사, 체중, 번식생리 및 신경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antisense 비만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랩틴을 분비하는 지방세포에서 RNA 를 추출한 후 역전사 PCR을 실시하여 303 bp의 anti I과 635 bp의 anti II cDNA 들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cDNA 들을 지방세포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인 aP2 프로모터와 SV40 poly(A) 사이에 역방향으로 결합하여 미세주입용 유전자를 구축하였다. 생쥐의 수정란전핵에 antisense 비만유전자를 미세 주입하여 14 마리의 형질전환 생쥐를 생산하였으며, anti I 을 지닌 4 마리의 형질전환 생쥐와 anti II를 지닌 5마리의 형질전환 생쥐계통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형질전환 생쥐의 지방세포를 추출하여 RT -PCR을 실시한 결과 antisense 비만유전자 mRNA발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산된 형질전환생쥐는 생체 랩틴저하에 의해 비만을 일으키는 질환모텔동물로써의 사용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

원숭이 간 약물대사효소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3-methylcholanthrene 영향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on the Expression of Drug Metabolizing Enzyme Genes in Monkey Liver)

  • 이경원;아사오카;신윤용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3-78
    • /
    • 2004
  •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regulation of drug metabolizing enzyme gene expression, we have studied the induction of CYP1A1 and GST$\alpha$, $\mu$, $\pi$ enzymes in Japanese monkey and rhesus monkey after the treatment with 3-methylcholanthrene (3MC) and di-n- butyl phthalate (DBP) and bisphenol A (BPA). The levels of mRNA were measured by RT-PCR in brain, intestine and liver. In the case of adult monkey, treatment with 3MC induced CYP1A1 mRNA in liver by 10-fold. The treatment with DBP induced CYP1A1 mRNA. Effects of 3MC and DBP on GST mRNA expression was not clear. But GST$\mu$ was slightly inhibited by the treatment with 3MC and DBP. GST$\pi$ was not induced by the treatment with 3MC and DBP in liver. GST$\alpha$ was slightly induced by the treatment with 3MC and DBP in liver. In the case of fetus monkey, the basal levels of fetus CYP1A1 mRNA and GSTs mRNA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adult monkey. As the age of monkey increased, the basal levels of CYP1A1 mRNA were also increased. 3MC induced the expression of CYP1A1 mRNA in liver. The levels of GST$\mu$ and GST$\alpha$ were not changed by the treatment with 3MC and DBP. GST$\pi$ was slightly induced by the treatment with 3MC and DBP.

  • PDF

3T3-L1 Adipocyte에 인삼 사포닌과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처리가 Leptin, Hormone Sensitive Lipase, Resistin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Re, Re and Green Tea Catechine; ECGC (Epigallocatechin Gallate) on Leptin, Hormone Sensitive Lipase and Resistin mRNA Expressions in 3T3-L1 Adipocytes)

  • 김성옥;황은주;최원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8호
    • /
    • pp.748-7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s of treatment of ginsenoside Re, Rc and EGCG on mRNA expressions of leptin,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and resistin in 3T3-L1 adipocytes. The concentrations of EGCG were treated with $0.01{\times}10^{-7},\;0.1{\times}10^{-7},\;1{\times}10^{-7}\;and\;1{\times}10^{-6}\;or\;100{\mu}g/ml$ ginsenoside Re, Rc in culture cell for 13 days. mRNA expression of leptin wasn't expressed in preadipocyte but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the that of mRNA expression was decreased at gensenosids or EGCG treated cells compared with non treated adipocyte. Expression of HSL mRNA was increased in G-Re, G-Rc and EGCG treated cells compared with non treated cells. The resist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ipocytes treated with G-Re, G-Rc and EGCG. These pattern was similar to leptin expres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treatment of gensenosides or EGCG in 3T3-L1 adipocyte resulted to affect of leptin and resistin as well as HSL mRNA levels, accordingly, levels of leptin and HSL will be acted by signalling body fat stores to the hypothalamus which in turn regulates food intake andenergy expenditure to maintain body weight homeostasis. And also regulation of resistin mRNA will prevent to diabetics attacked with obesity.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consumption of ginseng saponine or EGCG might prevent human diabetics or/and obesity.

상엽 에탄올가용분획의 글루코스전달체, acetyl-CoA 카복시라제 및 렙틴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ri Folium Ethanol Soluble Fraction on mRNA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acetyl-CoA carboxylase and leptin)

  • 류정화;육창수;정성현
    • 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89-597
    • /
    • 1998
  • Effects of Mori Folium Ethanol Soluble Fraction (MFESF) on mRNA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leptin were examined in db/db mice. 500 and 1000mg/kg dose for MFESF (designated by SY 500 and SY 1000, respectively) and 5mg/kg dose for acarbose were administered for 6 weeks. Quantitations of glucose transporters (GLUT-2 and GLUT-4), ACC and leptin mRNA were performed by RT-PCR and in vitro transcription with co-amplification of rat ${\beta}$-actin gene as an internal standard. Muscular GLUT-4 mRNA expression in MFESF-treated groups were increased dose dependently. On the other hand, MFESF caused the GLLT-4 and leptin mRNA expressions in adipose tissue to decrease dose dependently, which means that triglyceride synthesis in adipocytes might be decreased and consequently signals adipocytes to inhibit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leptin. Hepatic ACC mRNA expression in MFESF-treated groups was also decreased. and this may result in lowering of serum triiglyceride level. In contrast, liver GLUT-2 mRNA expressions in MFESF-treated and acarbose groups were increased. Higher rate of glucose uptake into hepatocytes is known to inhibit a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PEPCK)-catalyzed reaction, which is a rate-limiting step in gluconeogenesis.

  • PDF

골격근 손상에 대한 '사향서활정'(麝香舒活精)치료의 혈청 CK, LDH활성도 및 골격근 ${\alpha}-actin$ mRNA 발현 변화의 관찰 (Effect of 'Sexiang Shuhuo Jing' for CPK, LDH Activities and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Expression after Skeletal Muscle in Rats)

  • 김진항;송제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92-996
    • /
    • 2006
  • The study examined clinical effect of the 'Sexiang Shuhuo Jing' on serum CK and LDH activities and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expression concentration 140days after skeletal muscle injury in rats. The clinical research consisted of observing and measuring the serum CK, LDH activities and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expression, at the time of injury and during recovery. All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ment with ANOVA on of SPSS(11.5v), accepting level for all significances was above ${\alpha}\;=.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at skeletal muscle injury in rats there existed a substantial increase serum CK, LDH activities and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And Sexiang Shuhuo Jing treatment group's serum CK, LDH activities lower and faster recovery than control group. The 1 st day after skeletal muscle injury, Sexiang Shuhuo Jing treatment group's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expression was much more higher than control group, after 2 day's faster recovery normal level than control group. There existed a substantial increase again serum CK, LDH activities and skeletal muscle ${\alpha}-actin$ mRNA expression 3rd days after injury in control group. But in Sexiang Shuhuo Jing treatment group's can't be found that.

분열효모에서 hnRNP-유사 단백질인 THO4가 생장 및 mRNA 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nRNP-like protein THO4 on growth and mRNA export in fission yeast)

  • 박진희;이소정;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1-97
    • /
    • 2018
  • 진화적으로 보존된 TREX 복합체의 구성요소인 Yra1/ALY는 hnRNP-유사 단백질의 REF (RNA와 방출인자 결합단백질)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전사, 핵 RNA의 안정성, mRNA의 핵에서 방출 등 여러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게놈에는 2개의 REF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 이미 mRNA 방출인자로 알려진 Mlo3 이외에 THO 복합체의 구성인자로 예측되는 Tho4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tho4 (SPBC106.12c) 유전자의 결실이 생장과 mRNA의 방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tho4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면 생장이 늦어지고 $poly(A)^+$ RNA가 핵 안에 약간 축적되었다. ${\Delta}tho4$ ${\Delta}mlo3$${\Delta}tho4$ ${\Delta}mex67$ 이 중 돌연변이는 어느 것도 추가적인 생장 결함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Yeast two-hybrid와 공동침전(Co-immunoprecipitation) 분석에서 Tho4는 THO/TREX 복합체의 다른 구성인자들과 어떠한 상호작용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관찰결과들은 S. pombe의 Tho4 단백질이 기대와는 다르게THO/TREX 복합체의 구성인자가 아니며, mRNA 방출에도 직접 관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봉독이 골육종세포주에서 세포사멸 및 COX-2 억제에 미치는 영향 (Bee Venom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COX-2 in human osteosarcoma cell line MG-63)

  • 황대연;김호현;김창주;김이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63-74
    • /
    • 2003
  • 목적 : 한의학에서 관절염이나 진통치료에 사용되어 왔던 봉독약침액이 인간 골육종 세포주인 MG-63 세포에서 항종양효과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봉독의 종양발생 억제작용이 세포사멸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인 cyclooxygenase(COX)-2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인간 골육종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imide(MTT)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DNA fragmentation assay 및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독성 검사에서 봉독은 MG-63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봉독의 세포독성이 세포사멸로 인한 것인지를 여러 가지 형태로 검사한 결과 봉독에 의한 세포독성은 TUNEL 검사와 DAPI 염색시 세포사멸의 특징적인 소견들을 나타내었고, flow cytometric 분석에서도 세포사멸을 의미하는 세포주기의 변화들을 나타내었다. 봉독이 COX-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실험한 결과 봉독은 COX-2 mRNA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였다. 결론 : 본 실험의 결과 봉독은 COX-2 mRN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골육종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발하고 그 결과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다양한 베리류의 피부노화개선 효과 비교 (The Anti-aging Effects of Various Berries in the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 이수정;최혜란;이진철;박희전;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8-204
    • /
    • 2014
  • 다양한 베리류인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MMP-1 발현 억제활성 그리고 ROS 생성 저해효과를 비교해보았다.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비교에서 복분자와 블루베리(재배종)의 TNF-${\alpha}$ 억제활성이 가장 뛰어났고, IL-6의 경우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 복분자 순으로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야생종), 복분자가 IL-8의 발현을 눈에 띄게 억제 하였다. 더불어 복분자와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에 대해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250{\mu}g/mL$씩 함께 처리한 결과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할 경우,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오디만을 처리했을 때보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리류 착즙액을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MMP-1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그중에서도 특히 블루베리(야생종)의 효과가 가장 탁월하였다. 복분자($250{\mu}g/mL$)와 오디($250{\mu}g/mL$)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과 복분자 또는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복분자와 오디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이 복분자와 오디만을 각각 처리한 그룹보다 MMP-1 mRNA의 발현이 좀 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ROS 생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랙초크베리가 가장 뛰어났고 그 다음으로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의 순으로 두 착즙액의 ROS 생성 저해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그룹의 경우 ROS 생성에 대한 시너지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다섯 가지 베리류 즉,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과 MMP-1 mRNA 발현 및 ROS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각각의 베리류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다섯가지 베리류 모두 항염증,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UVB에 조사된 HaCaT Keratinocytes에서의 유색미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억제 메커니즘 (Mechanisms of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UVB-Irradiated HaCaT Keratinocytes of Colored Rice Varieties)

  • 최은영;이재봉;김도훈;권용삼;천정윤;이진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62-5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유색미 5품종에 대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노화 억제 기전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활성산소종(ROS) assay를 분석하였으며, 주름형성을 유발하는 효소인 MMPs와 그 upstream인 MAPK pathway(ERK, JNK 및 p38)에서의 인산화 발현을 얼마나 저해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유색미 5품종 가운데 전자공여능과 ABTS 소거활성 결과, 신토흑미 에탄올 추출물(SRE)과 흑설 에탄올 추출물(HE), SRE와 흑설 열수 추출물(HW)이 각각 뛰어난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collagenase 저해 활성 결과 HE가 전 농도에서 고르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ROS assay에서 SE와 HE가 전 농도에서 매우 효과적인 ROS 생성억제를 나타냄에 따라 우리는 선별된 유색미 가운데 HE를 이용하여 MMPs와 MAPK의 발현억제 pathway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ro-collagen type I은 $100{\mu}g/mL$의 농도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MMP-1과 -13은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ERK와 p38의 인산화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MMPs의 mRNA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RT-PCR을 실시하였으며, MMP-1과 3의 mRNA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MMP-9는 HE를 $100{\mu}g/mL$의 농도로 처치한 경우에 발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선별된 유색미 5종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고, 특히 HE의 주름억제 활성 효능을 확인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 화장품 분야에서 주름개선 및 항노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쓰이는 저 출력 초음파(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가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steoblast like Cell on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Used in Current Clinical Practice)

  • 박상례;김지영;최별보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6
    • /
    • 2014
  • 본 연구는 저 출력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osteoblastlike MG-63 세포에 1 MHz, 3 Mz 강도의 초음파 처리 후 조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 MHz 강도의 주파수를 osteoblast-like MG-63 세포에 처리한 결과 7일 후 성장률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저 출력 초음파가 골의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였을 때 ALP, osteocalcin, VEGF, colla 1A1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1 MHz 주파수 처리시 integrin alpha 2의 발현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osteonectin, osteopontin, fibronectin, MMP 2 등은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저 출력 초음파 장치는 뼈 치유 촉진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켜 구강 내 외과적 수술 시 골 치유 촉진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임상에서 골 치유 촉진을 위한 장비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