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76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선 조사에 따른 U-937 세포의 Ceruloplasmin 유전자에서 mRNA 발현 변화 (Effect of Radiation on mRNA Expression of Ceruloplasmin Gene)

  • 오연경;임희영;김종수;윤충효;김인규;윤병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31-36
    • /
    • 2004
  • Against environmental stress, ceruloplasmin which is a plasma protein, are believed to play central roles in antioxidant- or peroxidase-activity in blood stream to remove free radicals, which may be caused by exposing of $\gamma$-irradiation. In human U-937 cells exposed to $\gamma$-irradiation, the levels of mRNA in ceruloplasmin gene were measured on 0, 4, 12, 24 hr after exposing by using comparative RT-PCR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which was achieved to compare with house keeping genes such as $\beta$-actin and hprt. After $\gamma$-irradiation of 100 rads or 200 rads, the total quantities of RNA were increased as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On the contrary, the variation of mRNA expression in ceruloplasmin was not found until 4 hr after irradiation. After 12 hr and 24 hr of irradiation, the levels of mRNA in ceruloplasm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than un-exposed cells.

감자 기내 소괴경 발달에 따른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upon Development of In Vitro Potato Microtuber)

  • 홍주봉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87년도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s of Symposia on Plant Biotechnology
    • /
    • pp.309-321
    • /
    • 1987
  •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of patatin, proteinase inhibitor II, PAPI, rbcS and actin in potato microtuber have been examined. Microtubers from the several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were collected and their protein and mRNA patterns were examined. SDS-PAGE of microtuber proteins revealed that developmental changes in protein should be analogous to that of potatoes grown in the field. The level of patatin mRNA was the highest at the 30th day of development. Proteinse inhibitor IImRNA level was at the highest at the 15th day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levels of PAPI mRNA, rbcS mRNA and actin mRNA were low throughout the time course examined.

  • PDF

담배와 무 Peroxidase Isozyme들의 세포 생화학적 연구: 조직 특이성 발현과의 연관성 (Studies on Peroxidase Isozymes of Tobacco and Korean Radish: implication of Specific Isoperoxidase in Shoot Formation)

  • 김승수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87년도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s of Symposia on Plant Biotechnology
    • /
    • pp.357-389
    • /
    • 1987
  •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individual isoperoxidases, we have studied enzymatic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as well as cellular distribution of isoperoxidases from tobacco callus and Korean radish.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isoperoxidases in shoot and non-shoot-forming tobbaco callus were also examined by rabbit reticulocyte lysatein vitro translation syst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 of translatable poly(A)-isoperoxidase mRNA was increased considerably in shoots. At the present time, at least 6-7 isoperoxidases could be detected from the translation mixture of total cellular RNA, among which only one cell wall localized anodic isoperoxidase (named A3) mRNA was bimorphic mRNA. These data suggest the possible regulation of peroxidase activity during shoot formation by altering the polyadenylation state of mRNA. In case of Korean radish seedlings, poly(A)- peroxidase mRNA were also increased depending upon aging.

  • PDF

니코틴이MG63 조골세포주의 오스테오칼신과오스테오프로 테제린의 생성 및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cotine on the formation of osteocalcin and osteoprotegerin and synthesis of its mRNA in MG63 osteoblast-like cell)

  • 양준호;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4-525
    • /
    • 2004
  • 흡연이 골형성 세포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연구가 주로 역학조사에 기초하여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흠연과 골형성 세포의 상관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인간 골육종 세포인 MG63 조골제포주를 이용하였으며, 니코틴이 조골세포의 증식,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 오스테오칼신곽 오스테오프로테제린의 생성 그리고 mRNA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MG63조골세포를 니코틴 농도가 각각 $1.0{\mu}M$,\;1.0mM, 2.5mM, 5.0mM, 7.5mM, 그리고 10.0mM,이 함유된 배지에서 1일, 2일, 3일 그리고 6일 동안 배양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G63 조골세포의 증식이 저농도의 니코틴에서는 일시적으로 활성화되었지만 5.0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은 니코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오스테오칼신 생성양은, 배양 1일 후, 5.0mM 이하의 농도에서 증가하였으나 7.5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MG63 조골세포를 3일 배양한 경우, 오스테오칼신 생성양은 1.0mM의 저농도에서도 감소하였다 니코틴이 오스테오칼신 단백질 생성과 오스테오칼신 mRNA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1일과 3일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오스테오프로테제린의 생성양은 모든 실험군에서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하지만 mRNA 수치는 단백질 생성과 상반되게 7.5mM (3일), 5.0mM (6일) 이상의 고농도에서 증가하였다.

겨우살이 물추출물 첨가 김치의 A549 인체 폐암 세포 증식저해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Added Kimchi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 길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507-1514
    • /
    • 2017
  • 김치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며, 여러 연구에서 암예방, 항비만, 항염증 등의 활성을 가지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김치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암기능성이 알려진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암환자용 김치(kimchi B)의 암세포 증식억제능 및 그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체 폐암 A549세포를 이용하여 증식저해 효과와 apoptosis 유도 및 관련된 mRN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표준화김치(kimchi A)를 사용하였다. A549 인체 폐암 세포를 이용한 성장 저해시험에서 MTT 방법과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 수를 개수한 결과, 김치를 첨가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API 염색을 통해 암세포 핵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DNA단편이 발견되어,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에 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Apoptosis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Bcl-2 family (Bax, Bcl-2, Bcl-xL) 발현과 p53, p21 발현을 측정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Bax 유전자는 증가하고 Bcl-2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여, 이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은 p21 발현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아 kimchi B를 처리한 A549인체 폐암세포는 p53 비의존적인 p21 발현증가에 의해 암세포 증식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암환자들을 위한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각질형성세포에서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이 Lamini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 (Hexane Fraction of Melandrium firmum Extract Induces Laminin-332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

  • 송혜진;김미선;이홍구;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3-181
    • /
    • 2016
  • 피부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이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존재하는 특별한 구조물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켜 피부 구조를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노화 및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기저막의 구조적 변화와 파괴는 피부 주름 형성과 탄력 저하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현상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Laminin-332 (LN-332)는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피부에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Melandrium firmum hexane fraction, MFHF)이 각질형성세포에서 L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 (RT-PCR)과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서 MFHF가 LN-33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FHF가 어떤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LN-332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38 MAPK 억제제인 SB202190과 ERK1/2 억제제인 U0126을 처리한 결과, p38 MAPK 억제제에 의해서 LN-332 발현이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타입 VII과 integrin ${\alpha}6$의 mRNA 발현 역시 MFHF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MFHF가 각질형성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소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저막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노화 현상의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장관세포인 HT-29에 존재하는 디펩티드수송체의 Xenopus oocyte에서의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a Dipeptide Transporter Obtained from Intestinal HT-29 Cells Using Xenopus Oocytes)

  • 오두만;양재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4호
    • /
    • pp.299-305
    • /
    • 1995
  • Cloning the gene encoding a dipeptide transporter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absorption mechanism of peptides and peptide-like drug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Functional expression of a dipeptide transporter after microinjection into Xenopus laevis oocytes was performed using the mRNA purified from human intestinal HT-29 cells. Fifty nanoliters of purified mRNA (1 mg/mL) were microinjected into healthy oocytes followed by incubation for 4 days in order to express a dipeptide transporter. Functional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a uptake assay using 10 Ci/mL $[^3H]-glycylsarcosine$, a dipeptide substate of the transporter. Seasonal variability and batch-to-batch variability were greater in summer. The usage of beveled micropipettes improves viability of oocytes at 4 days after microinjection. Expression of a dipeptide transporter in oocytes after microinjection of mRNA obtained from HT-29 cell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after microinjection of water or mRNA obtained from the rabbit intestine.

  • PDF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 분석 (Expression Pattern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uring Growth Stages of Hanwoo(Korean Cattl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677-684
    • /
    • 2002
  •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에 관한 연구(장 등, 2002)에서 선정된 후보유전자 중, EPV 20, TCTP 및 aldolase A를 비롯하여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강한 signal을 나타낸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장단계별 한우 등심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semiquantitative RT-PCR 및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EPV 20 유전자는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발현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근거로, 근육조직에서 항상 발현되는 유전자로 판단하였다. 또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현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aldolase A 유전자 역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없었으며, aldolase A의 muscle specific promoter와 근육분화 관련 transcription factor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근육분화 및 근육수축에 있어 aldolase A의 역할 및 조절작용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관련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TCTP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발현양상 분석결과로 TCTP 유전자는 성장과 관련된 기능이 있지만 동물의 성장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세포 분화의 초기단계에서 발현량이 급증하고 lipid droplet 형성에 관여하며 지방축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ADRP 유전자의 transcript의 크기는 약 1.82 kb 이었고,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0개월령 조직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으며,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근육내 지방축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에는 발현조절 기작의 해명 및 근육내 지방축적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ADRP 유전자의 전체적인 구조 및 전사조절 인자 분석을 비롯하여 다른 지방대사 및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와의 상호작용 및 다형성 탐색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Balb/c 생쥐에서 DNA 회복효소인 N-Methylpurine-DNA Glycosylase(MPG)의 발생단계별 유전자 발현 조절 (Differential Expression of DNA Repair Gene,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Dduring the Development of Balb/c Mice)

  • 김남근;이숙환;곽인평;한세열;박찬;이혜경;차광은;차광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37-43
    • /
    • 1997
  • DNA 회복효소인 MPG는 DNA의 퓨린기에 결합되어 있는 메틸기 등 이물질을 염기와 함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던 블롯팅 방법을 이용하여 Balb/c mice의 각 조직별로 발생단계별 mRNA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뇌와 콩팥조직에서는 출생직후에 발현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성체시기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도가 유지되었다. 위장 조직에서는 출생직후에서 일주일 후까지는 명확히 관찰되었으나, 그 이후는 발현이 약화되었다. 간장과 폐조직에서는 그 발현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특히, 간조직의 경우 출생 직후보다 성체에서 그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들 조직에서의 활성도는 출생후 24시간 이내에서 1주일후까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다가 점차 감소되었다. 즉, 수유기(출생직후부터 1주일후)에는 그 활성도가 성체시기(4주에서 6개월)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늙은 생쥐가 젊고 어린 생쥐보다 alkylating mutagen들에 노출되었을대 암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 PDF

해녀콩(Canavalia lineata THUNB. DC.)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esis Effect of Canavalia lineata Extract)

  • 부희정;류기중;이선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5-489
    • /
    • 2004
  • 피부에서 melanin은 자외선 차단의 주요한 역할을 한다. Tyrosinase는 멜라닌 생합성과정에서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서 이것의 조절을 통한 피부 멜라닌화 억제에 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녀콩 추출물에서 mushroom tyrosinase 활성억제,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dopa oxidase 활성억제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Tyrosinase mRNA 발현에서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였으며, $CHCI_3$ 층에서 분리해낸 A 분획에서 tyrosinase mRNA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