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e diseas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라임병에 관하여 (Lame Disease)

  • 신상원;박승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72-176
    • /
    • 1991
  • Lyme disease, or Lyme borreliosis. is an infection caused by spirohete Borrellia burgdorferi. This disease was recognized in Lyme, Conneticut U.S.A. in 1975. The onset of the disease is usually heralded by the appearance of a pathognomic skin lesion, known as erythema chronicum migrans, and accompanied by flue like or meningitis like symptoms. Unless treatment is initiated early, the disease usually disseminated, often resulting carduac, neurologic, or joint manifestations. All stages of the disease are usually curable by appropriate antibiotic therapy, and can prevent severe late cardiac, neurologic, and joint complications. Lyme disease is typically defined by clinical evidence supported by serologic test. The diagnosis require serologic confirmantion of erythema chronicum migrans, occurring in patient in nonendemic countries. Determination of antibody titer against B. burgdorferi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currently the most practical diagnostic test. Currently Lyme disease occurs in U.S.A. Europe, and Australia. It has recently recognized in China, Japan, and Soviet Union also. In United States, Lyme disease is most common vector borne infection. There is no reported case of patients with this disease in Korea. But the vector of this disease, -Ixodes ticks- had been identified in Korea. And Korea is geographically closely related to China and Japan where Lyme disease is already reported. We expect first case of Lyme disease could he reported in near future. We review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tic method of Lyme disease.

  • PDF

A Case of Lyme Disease Complicated with Atrioventricular Block in a 13-year-old Boy

  • Ahn, Bin;Kim, Gi Beom;Lee, Hoan Jong;Choi, Eun Hw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84-189
    • /
    • 2020
  • 라임병은 진드기를 매개로 하여 보렐리아속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 초기에 유주성 홍반이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관찰되며, 신경, 심혈관계 및 관절을 침범하는 증상이 발현할 수 있다. 저자들은 미국 코네티컷주로 여행력이 있는 13세 남자에게서 발현한 라임병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016년 여름에 미국에서 숲 체험에 참여하던 중 발열, 두통, 양쪽 무릎 관절통을 호소하여 귀국하였으며, 내원 시 양 하지에 다수의 유주성 홍반이 관찰되었다. 심전도 검사에서 1도 방실 차단이 확인되었다. 간접면역형광항체법과 웨스턴블럿법 검사에서 라임병 특이 IgM 항체가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경구 doxycycline으로 4주간 치료하였으며, 유주성 홍반이 소실되고 심전도가 정상 소견으로 회복되었다. 라임병의 진단에 있어 호발 지역으로의 여행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임병에 의한 심장염은 무증상 방실 전도차단으로 나타날 수 있고 고도 방실 차단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회복될 수 있다.

Horses as a Potential Reservoir of Lyme Borreliosis in Jeju-do, Korea

  • Bae, Jong-My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4호
    • /
    • pp.213-214
    • /
    • 2018
  • Lyme borreliosis (LB) is the most common tick-borne infectious disease in North America,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 in Korea in December 2010. While no cases in Jeju-do were recorded from 2012 to 2016, a recent survey reported that the seroprevalence of Borrelia burgdorferi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in horses in Jeju-do was 19.0% (95% confidence interval, 12.0 to 28.3%). This fact suggests that horses may be a potential reservoir of LB in Jeju-do and that individuals in close contact with horses may be a high-risk group. Thus, a serological study in this high-risk group is urgently needed.

Lyme질환의 경제적 비용분석 (The Economic Costs of Newly Diagnosed Lyme Disease)

  • ;정기택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6-147
    • /
    • 1994
  • Lyme 질환은 미국 코넷티컷주의 라임지방에서 관절염증상을 보이는 소아과환자에게서 1975년 처음 발견되었다, 사슴, 누루, 개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의해 전염되며, 발병초기에는 감기증상을 수반한 황소의 눈과 비슷한 붉은 반점이 생긴다.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관절염, 심장질환, 안면신경마비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진단초기의 Lyme질환과 관련된 의료 및 기타 경제적 비용을 저렴하게 계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로 lyme질환의 비용에 대한 여러종류의 총괄적 계측치를 제공하고 발병의 위험요인을 색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트분석이나 임상연구 등 고가의 비용이 수반되는 분석기법 대신에 Lyme질환 다발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유효성을 재설문조사를 통해서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상의 난점은 조사대상자마다 응답하지 않은 항목(Missing Value)이 다르기 때문에, 총 비용을 계산할 때 모든 항목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만을 사용한다면 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총비용 및 부분별 비용의 합을 계산할 때 표본의 일부가 응답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그 항목에 응답한 나머지 조사대상자의 응답치 평균을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 질환의 증상시작부터 설문조사시기까지 Lyme질환과 관련된 사회적 총비용은 US$ 6400으로 추정되었다. 이중에 200가량은 환자의 보호자와 관련된 비용이고 나머지는 환자와 관련되 것이다. 총의료비용의 평균은 계산방법에 따라서 US$ 3000-4200의 범위를 보였다. 응답되지 않은 항목을 해당항목에 대한 응답치평균으로 대체하였을 때 총의료비평균은 US$ 4108이었다. 시간비용을 생산성손실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실제임금 손실의 두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되었다. 실제임금손실은 생산손실의 사회적 가치의 약 30%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의료비용 및 비용과 생산성손실에 대한 정보가 지역보건담당자에 의한 전화설문조사에 의해 경제적이고도 일관성 있게 수집될 수 있다는 근거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Two Imported Cases of Babesiosis with Complication or Co-Infection with Lyme Disease in Republic of Korea

  • Kwon, Hea Yoon;Im, Jae Hyoung;Park, Yun-Kyu;Durey, Areum;Lee, Jin-Soo;Baek, Ji Hye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6호
    • /
    • pp.609-613
    • /
    • 2018
  • Babesiosis, caused by Babesia microti and B. divergens, is transmitted by Ixodid ticks. Symptoms of babesiosis vary from a mild flu-like illness to acute, severe, and sometimes fatal and fulminant disease. In Korea, 7 imported babesiosis cases and 1 endemic case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2 cases of severe babesiosis initially mistaken as malaria. The first patient was complicated by shock and splenic infarction, the other co-infected with Lyme disease. As the population traveling abroad increases every year, physicians should be aware of babesiosis which mimics malaria, co-infection with other diseases, and its complications.

2011~2018년 라임병의 역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Lyme Disease in Korea between 2011 and 2018)

  • 서충원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36-443
    • /
    • 2019
  • 라임병은 2010년 법정감염병 지정 이후 환자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첫 환자가 보고된 2011년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신고된 환자 119명의 신고 자료 및 역학조사서를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ArcGIS Pro를 이용하여 추정 감염 지역에 대한 공간분석을 하였다. 2011년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국내발생은 70명(58.8%) 해외유입은 49명(41.2%)이다. 환자 발생은 2017년에 31명(26.0%), 계절은 여름~가을(6~11월)이 91명(76.5%)으로 가장 많았다. 진단일_신고일은 국내발생이 2.8±14.7일, 해외유입이 1.4±4.5일로 차이를 보였고, 임상 증상 중 발열과 발진은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임상 경과는 초기 국소성 감염 61명(52.1%), 초기 파종성 감염 43명(35.3%), 만성 감염 15명(12.6%)이었다. 국내 추정 감염 지역은 충남 12명(17.1%), 경기 12명(17.1%), 강원 8명(11.4%), 경남 7명(10.0%)으로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고, 해외유입은 미국이 21명(42.9%), 유럽이 17명(34.7%)으로 가장 많았다. 라임병 환자는 2016~2018년이 환자수가 증가 하여 발생 지역이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유입도 증가하고 있어 환자 관리는 더욱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전 연령에서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홍보 및 예방교육과 역학적 특성 파악은 꾸준히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Severe Tick Infestation in a Hare and Potential Risk for Transmitting Pathogens to Humans

  • Zheng, Weiqing;Chen, Haiying;Liu, Xiaoqing;Guo, Xuejian;Fu, Renl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19-422
    • /
    • 2011
  • Severe tick infestation was found in a hare in a suburban area of Nanchang, Jiangxi Province, China. We sampled ticks and identified them based on their morphologic characteristics. Three species, Ixodes sinensis, which is commonly found in China and can experimentally transmit Borreliia burgdorferi, Rhipicephalus haemaphysaloides, and Haemaphysalis longicornis which can transmit Lyme disease were detect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tereomicroscope. Risk of spreading ticks from suburban to urban areas exists due to human transportation and travel between the infested and non-infested areas around Nanchang.

열성질환 환자에서 라임병균 Borrelia burgdorferi 감염증 진단을 위한 혈청학적인 분석 (Analysis of Antibodies Against Lyme Disease Agent, Borrelia burgdorferi, in Sera from Patients with Unknown Fever)

  • 김영미;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5-105
    • /
    • 1997
  • 현재 라임병을 진단을 위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방법은 원인균인 B. burgdoferi 항원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혈청학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항원으로 사용되는 균주가 다른 나라에서 분양받은 균주이므로 이때 얻어진 결과를 유추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국내 분리균주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불명열 환자의 항체가 항원에 반응하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분리균주를 이용한 혈청학적인 분석방법으로 국내 라임병 진단에 보다 적합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병원에 의뢰된 불명열 환자의 혈청이 B. burgdoferi sensu lato 중 3가지 균종의 항원에 대해 평균 약 8% 정도의 양성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들 중 B. burgdorferi에 의한 열성 질환 감염증이 존재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국내 분리균주 중 가장 많이 분리된 바 있는 B. afzelii에 대한 양성반응이 14.3%나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국내 발생 라임병의 원인균은 주로 B. afzelii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효소결합면역 측정법 (ELISA)을 이용하여 양성으로 판별된 혈청에 대해 immunoblotting법을 실시한 결과 주로 41kDa (ftagellin), 27kDa, 31kDa (OspA), 34kDa (OspB)에서 band가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국내 열성질환 환자들 중 라임병균에 의한 감염증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국내 분리균주를 항원으로 사용한 효소결합면역 측정법 (ELISA), immunoblotting법과 같은 혈청 학적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