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temperature tolerance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초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내한성 (Cold hardiness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 김용균;박형근;송원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6-263
    • /
    • 1997
  •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체내빙결점과 내한성이 검정되었다. 체내빙결점은 발육시기에 따라 다양했다. 알(약 -$27^{\circ}C$)이 가장 낮았고 용과 성충(약 $-18^{\circ}C$)이 다음이었으며 유충이 (-1$0^{\circ}C$~-$16^{\circ}C$)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유충의 체내빙결점은 유충의 영기가 진행함에 따라 상승했다. 각 발육단계의 치사저온온도는 각자의 체내빙결점보다 높았다. 알과 유충을 아치사온도에 미리 노출시킴으로서 치사온도에 대한 생존력을 높였다. 아치사온도는 또한 5령충의 혈림프 삼투압을 증가시켰으며 저온에 특이적인 단백질들(20과 27kD)을 발현하게 했다. 이상의 결과는 이 해충이 동결감수성 곤충류에 속함을 나타낸다.

  • PDF

Mapping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Lee, Seung-Yeob;Ahn, Jeong-Ho;Cha, Young-Soon;Yun, Doh-Won;Lee, Myung-Cheol;Eun, Moo-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65-570
    • /
    • 2006
  • The viviparous germination (VG) with lodging caused the yield reduction and quality deterioration in rice. We carried out the evaluation of VG tolerance (on the 40th day after heading) and mapping QTLs associated with VG tolerance using the recombinant inbred lines (M/G RILs)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japonica/indica) and Gihobyeo (japonica). The VG rates of Milyang 23 and Gihobyeo were 0.0 and 7.0%, respectively. The averaged VG rate of 162 M/G RILs was 7.7%, and their range was from 0.0 to 50.9%. Of the 162 RILs, 144 lines were tolerant less than 10%, and 18 lines were susceptible more than 10%. Using the M/G RIL Map, three QTLs associated with the viviparous trait were detected on chromosome 2 (qVG 2-1 and qVG 2-2) and 8 (qVG 8). qVG 2-1 was linked to RM 32D and RZ 166, and had LOD score of 2.97. qVG 2-2 was tightly linked to E13M59.119-Pl and E13M59.M003-P2, and showed higher LOD score of 3.41. qVG 8 was linked to RM33 and TCT116, and had LOD score of 2.67.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by the three QTLs was about 24.4%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population. The detection of new QTLs associated with VG tolerance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s for the seed dormancy, low temperature germination, or comparative genetics.

다른 광도에서 생육한 먼나무, 붓순나무의 생리적 차이 (Physiological Differences of Ilex rotunda and Illicium anisatum under Low Light Intensities)

  • 손석규;제선미;우수영;변광옥;강영제;강병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67
    • /
    • 2006
  • 내음성정도가 서로 다른 두 수종 먼나무와 붓순나무를 대상으로 높은 광도조건인 자연상태와 낮은 광도 조건인 비음 처리구로 나누어, 두 수종간의 적응 반응을 비교하였다. 두 수종의 묘목을 처리구에서 각각 1년간 비음처리하였을 때, 엽록소함량과 광합성계, 엽육세포내 $CO_2$농도, 수분이용효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두 수종모두 자연조건(full sunlight)일 때, 비음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엽록소 함량들(Chl a, Chl b, Chl a+b)을 나타냈으며, 붓순나무에서 특히 자연조건과 비음 처리구간의 엽록소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용수인 먼나무는 PPFD $1000\;{\mu}mol\;m^{-2}s^{-1}$ 이상 일 때, 자연조건(full sunlight)에서 높은 광합성율과 높은 수분이용효율을 보였지만, PPFD $1000\;{\mu}mol\;m^{-2}s^{-1}$ 이하에서는 비음처리구에서 자연조건에 비해 더 높은 광합성율과,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붓순나무는 모든 광도에서 비음처리를 하지 않은 묘목이 비음처리를 한 묘목에 비해 낮은 광합성율과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냈다. 먼나무가 탄력적으로 광도변화에 따라 유동성 있는 반응을 보이는 것에 비해 내음성이 강한 붓순나무는 광환경 변화에 따른 민감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급속내한성 유기에 의한 일본열마디개미(Solenopsis japonica)의 내한성 변화 (Cold Hardiness Change in Solenopsis japonica (Hymenoptera: Formicidae) by Rapid Cold Hardening)

  • 박영진;바탄파라스트 모하매드;이지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93-199
    • /
    • 2021
  • 벌목 개미과의 일본열마디개미는 국내 토착종이다. 지금까지 야외에서 이 종의 월동기작을 이해하기 위한 내한성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저온에서 다양한 온도별 노출시간에 따른 발육태별 저온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성충인 일개미가 다른 발육태와 비교하여 5℃와 10℃의 저온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급속내한성 유기 조건인 15℃에서 12시간 노출 후 내한성을 획득하였다. 급속내한성 유기는 10℃에서 최대 44%까지 생존율이 향상되었으며, 체내과냉각점과 체내빙점은 각각 -10.0℃에서 -14.2℃, -11.3℃에서 -15.3℃까지 낮아졌다. 저온처리는 저온 또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인 글리세롤 인산화효소와 열충격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일본열마디개미의 내한성이 급속내한성 유기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내한성유기 관련인자 분석 (Physiological factors affecting rapid cold hardening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 송원례;김용균;조점래;김홍선;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9-255
    • /
    • 1997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은 아치사온도($5^{\circ}C$, 2시간)에 노출된 뒤에는 빙점이하의 저온에서 내한성이 증가하였으며 내한성 및 내한성유기는 집단별로 차이가 났다. 파밤나방의 내한성에 관한 생리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내한성이 다른 집단들의 내한성유기, 체내글리세롤 함량, 혈림프의 몰 삼투압 농도, 체내빙결점, 저온유기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처리된 5령충은 혈림프의 삼트압 및 체내글리세롤 함량의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이들 상승효과는 서로 다른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아치사온도에서 유기되는 저온유기단백질은 10~20 kD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었으며 체내빙결점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알칼리성 Prottease를 생산하는 Xanthomonas sp. YL-37의 분리 및 조효소의 성질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s Alkaline Protease from an Isolate,Xanthomonas sp.YL-37)

  • 이창호;권태종;강상모;서현효;권기석;오희목;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5-521
    • /
    • 1994
  • A bacterial strain, which showed the high protease activity at low temperature and the high tolerance for the surfactant,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as Xanthomonas sp. YL-37. The optimal temperature, initial pH, and cultivation time for the production of the alkaline protease by Xanthomonas sp. YL-37 were 20$\circC , 11.0, and 84 hours, respectively. In the jar fermenter culture of Xanthomonas sp. YL-37, the alkaline protease activity was about 15,000 DU/ml/-broth after cultivating for 108 hours.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the protease activity were 70$\circC and 11.0, respectively. The protease was relatively stable at the pH range of 7.0~12.0 and at the temperatures below 50$\circC . The protease activity at 20$\circC was about the level of 40% of its activity at 70$\circC . The enzyme was suggested as a serine protease because th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by phenylmethane sulfonyl fluoride, a serine modifier.

  • PDF

한·일 양국민의 민족복 착용에 따른 한랭반응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Cold Responses wearing Traditional Costume of Korean and Japanese)

  • 성수광;야스코우치 아키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9-73
    • /
    • 1999
  • Korean and Japanese, both people have a lot of similarity and complexity in terms of physical constitution and culture. This study might be the first implementation that tries to figure out constitutional differences of both people in scientific way. In this study, subjects were from each country, had been exposed $5^{\circ}C$ environment wearing each country's traditional costume- so called Hanbok and Kimono- and all through this experiment we'd compared physiological responses and analyzed differences of cold response go with their own clothing culture. We've obtained following results: Korean had kept maintaining low mean skin temperature basically in cold circumstance, compared with Japanese, have stronger cold tolerance. However,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Owing to huge influence of wearing other country's traditional costume itself even makes differences of rectal temperature in a cold environment. In addition, in a period of time that wearing other country's traditional costume, thermal sensa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exposed surrounding temperature.

  • PDF

과부하 방지용 마이크로머시닝 세라믹 박막형 압력센서의 제작과 그 특성 (Fabrication of a micromachined ceramic thin-film type pressure sensor for high overpressure tole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재민;정귀상
    • 센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99-20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a-N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극한 환경용 세라믹 박막형 압력센서의 제작 및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압력감지부로 Ta-N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였으며, SDB(Si-wafer Direct Bonding)와 전기화학적 식각정지법을 이용하여 매몰 cavity를 가지는 저가격 고수율의 Si 박막 다이어프램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리콘 박막 다이어프램상에 박막형 스트레인게이지를 형성하여 세라믹 박막형 압력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세라믹 박막형 압력 센서는 기존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에 비해서 온도특성이 우수하고 재현성, 소형화, 집적화 및 저가격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 등의 각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산 발효 적합 균주 선발 및 특성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That Cause Decrease in Post-Fermentation to Apply Product)

  • 손지양;김세헌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51-58
    • /
    • 2013
  • Emerging studies suggest that vegetables or fruit juices deemed to be potential alternative bas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Until now, limite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such applications. Thus,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is that lactic acid bacteria were evaluated for their viability at low pH, growth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and $CO_2$ formation. Furthermore, the effects of grapefruit extract with respect to cell viability, sensory ability, and organic acid production were evaluated for these strains. The probiotic properties of the strains, including acid tolerance, bile tolerance, and adhesion to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HT-29 cells), prebiotic characteristics, and safety features were examined. All strains survived in MRS medium broth adjusted to pH 3.8, at $10^{\circ}C$ for 6 days, and did not produce $CO_2$ to check post fermentation. The medium of grapefruit extrac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plantarum CJIH 203 resulted in maximal viable counts, compared with other strains, and the extract subsequently tasted sour due to the presence of lactic acid. Lactobacillus plantarum CJIH203 was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intestinal juice, while Lactococcus lactis SJ09 strongly adhered to HT-29 cells. Tagatose showed the greatest ability to enhance the growth of L. plantarum SJ21, relative to the other strains. All strains were verified by safety tests such as hemolysis, gelatin hydration, and urea degradation. Therefore, these strains could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reducing excessive post-fermentation and functional products.

  • PDF

블루베리의 내한성 평가 및 목재수분계측기를 이용한 동해피해 진단 (Evaluation of Cold Tolerance of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and Diagnosis of Freezing Injury Using Timber Moisture Meter)

  • 김기덕;이준구;류명상;유동림;권영석;이종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4-361
    • /
    • 2012
  • 외국에서 도입한 블루베리의 내한성을 평가하고, 목재수분계측기가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동 중 블루베리의 가지의 고사율은 0~100%로 다양하게 나타나 품종별 내한성의 차이가 컸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TTC 검정에서 품종별 OD값은 $-40^{\circ}C$ < $-21^{\circ}C$ < $4^{\circ}C$ 순으로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가지절단면의 색의 검정은 가지고 사율에 의한 내한성과 다른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목재수분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살아있는 블루베리 가지의 월동 중 최저 수분함량은 약 15%였으며,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위치별 수분함량은 나무 아랫부분일수록 높고 가지 끝으로 갈수록 낮았으나, 봄으로 접어들면서 가지 끝의 수분함량이 점점 높아져 20~40% 범위로 측정되었다. 월동 중 동해피해를 받은 가지는 점점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아졌다. 동해를 받은 블루베리 가지의 수분함량은 14% 수준 이하일 것으로 추정되며, 목재수분계측기가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