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growth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7초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Associatio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Couples: An Application of the Dyadic Grow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이가현;정성창;장승민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25-59
    • /
    • 2017
  •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의 남편과 아내가 경험하는 부부관계 만족과 우울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모형화하고, 부부관계 만족의 변화가 우울의 변화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1차(2006)부터 5차(2014)까지의 종단 짝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부부'를 분석 단위로 하는 통계모형을 적용하였다. 부부관계 만족과 우울의 변화 궤적에 대한 분석에는 이자성장모형(DGM)이 사용되었다. 이 변화 궤적들 사이의 상호의존적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DG-APIM)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사 기간 동안의 부부관계 만족의 평균은 남편이 아내에 비해 더 높았지만 관계 만족의 감소율도 더 높았다. 또한 남편의 우울은 아내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낮았지만 시간에 따라 더 크게 증가하였다. 남편과 아내의 우울 평균 수준은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의 평균 수준에 의해 설명되는 상대방 효과를 보였으며, 우울의 변화율의 크기는 자신의 관계 만족의 변화율의 크기에 의해 설명되는 자기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 사이에 종단적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는 것과 우울의 결혼 불화 모형이 종단적 변화에서도 지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습노력, 태도 및 성취목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Effort, Attitude, and Achievement Goal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21
  •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1년도(초등학교 5학년)부터 2014년(중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학습노력과 학습태도, 성취목표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2277명, 67.7%)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노력과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그룹(958명, 28.5%)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 학습노력은 학습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그룹(127명, 3.8%)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와 학습노력, 성취목표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Perceived by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3호
    • /
    • pp.135-156
    • /
    • 2021
  •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는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 영향을 미치므로 그 변화양상이 학업성취도의 변화양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초등학교 5학년(2013년)부터 중학교 3학년(2017년)까지의 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에 대한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가 유사한 4개의 하위그룹 모두 교사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변화가 적은 반면에 교사의 열의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수학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특성과 성향을 반영한 교수 학습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사가 지각한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발달 경로 - 잠재성장곡선모형을 적용한 단기종단연구 -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s in Preschool Settings : A Short Term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 강지현;오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8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problems in preschoolers and to investigate dimensions of temperament and parental behaviors associated with trajectory groups. Subjects were 180 3- to 5-year-old preschoolers (96 males, 84 female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y were assessed three times at 5 month intervals over a one year period. Teachers reported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parents reported on children's temperament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is with cohort sequential design revealed externalizing behaviors gradually decreased between 3 and 6. At the 6-year-old level externaliz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high novelty seeking temperame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longitudinal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PDF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궤적: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Couples Using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Actor and Partner Effects)

  • 조규영;이설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33-34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couples for 8 years. This study focused on middle and old aged couples who were relatively uninterested in family research. Using the 1-5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2014, the study included 635 middle and old aged couples whose husbands were 65-74 years old at baseline. First, a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a husband's and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over time. Second, a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indicated that a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more quick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husband's actor-effect); in addition, a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also decreased more quick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wife's actor-effect). Wife's marital satisfaction trajectories decreased more slowly, when the initial level of their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husband's partner-effect); however, the husband's slop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their wife's. The methodological value of this work shows the application of a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that include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APIM. The findings extend our understanding of longitudinal marital dynamics between couples and promote a study on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t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tilization of computer & smartphon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권선아;이수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5-46
    • /
    • 2017
  • 본 연구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2015년에 시행한 서울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활용이 많은 학생일수록 창의성과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활용 증가율은 창의성 증가율과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고, 학업성취도 증가율과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창의성이 높은 학생이 학업성취도 또한 높았지만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다.

Surface Morphologies and Internal Fine Structures of Bast Fibers

  • Wang H. M.;Wang X.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1호
    • /
    • pp.6-12
    • /
    • 2005
  • Fiber surface morphologies and associated internal structures are closely related to its properties. Unlike other fibers including cotton, bast fibers possess transverse nodes and fissures in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ir morphologies and associated internal structures were anatomically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phologies of the nodes and the fissures of bast fibers varied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inner fibril cellular layers. The transverse nodes and fissures were formed by the folding and spiralling of the cellular layers during plant growth. The dimensions of nodes and fissures were determined by the dislocations of the cellular layers. There were also many longitudinal fissures in bast fibers. Some deep longitudinal fissures even opened the fiber lumen for a short way along the fiber. In addition, the lumen channel of the bast fibers could be disturbed or disrupted by the nodes and the spi­rals of the internal cellular layers. The existence of the transverse nodes and fissures in the bast fibers could degrade the fiber mechanical properties, whereas the longitudinal fissures may contribute to the very rapid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수완(手腕) 부골(部骨)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UBERTAL GROWTH PEAK AND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IN MALOCCLUSION)

  • 김형일;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3-133
    • /
    • 1989
  • To predic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and study the skeletal maturity degree using hand-wrist radiograph, the author used the 70 malocclusions (male 24, female 46). After longitudinal measurement of stature and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of hand-wrist radiographs were taken during 4 years, the rsults were as follows. 1)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occurred mainly at SMI 6-7 (56.5%) in female, SMI 5-6 (37.5%), 6-7 (37.5%) in male (Table 5). 2) It was suggested tha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was already passed, if SMI 8 occurred. 3) Ages of SMI in female were about 2 years earlier than those of SMI in 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gradually decreased in puberty. 4) Duration of SMI was longest at SMI 6-7 in both sex and the mean was 8.5 months. After this stage, the velocity of skeletal maturity in female was decreased than in mal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MI and pubertal growth peak was very high (Table 8).

  • PDF

중학생들의 목표인식과 수학학업성취도 관계에 대한 수학수업요인의 종단매개효과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mathematics class factors between goal perception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 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1호
    • /
    • pp.21-39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effect of goal perception, mathematics class factors(perceptions about mathematics teachers (PMT),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research models. First,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goal perception, perceptions about mathematics teachers (PMT),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Secondly, the slope of PMT is a critical mediator between the slope of goal perception and the slop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slope of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is a critical mediator between the slope of goal perception and the slop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extracted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2010 to 2012 (in three waves), and the analysis used by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ed by 4163 students of the three-wave surveys. Latent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lope of goal perception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lope of PMT and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respectively. Second, the slope of PMT and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lop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lopes of PMT and mathematics classroom attitude are critical mediators between the slope of goal perception and the slop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