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term survival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6초

전국 복강경 위 수술 현황 설문조사 (Nationwide Survey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in Korea)

  • 김민찬;양한광;김영우;김용일;김응국;김형호;박경규;배재문;백홍규;설지영;신석환;이윤복;이종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3호
    • /
    • pp.196-203
    • /
    • 2004
  • 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sent questionnaires to 31 laparoscopic gastric surgeons about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from 2001 to 2003. Twenty-four surgeon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response rate: $77.4\%$).The number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ies from 2001 to 2003 was 1,130 and increased from 209 in 2001 to 593 in 2003. The number of operations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also increased from 87 cases in 2001 to 403 cases in 2003. Laparoscopic radical procedures, such as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or total gastrectomy (LADG or LATG), have increased rapidly during this period. (55 cases in 2001, 150 cases in 2002, and 364 cases in 2003). Laparoscopic function-preserving gastrectomies were not performed until 2003, during which year one pylorus- preserving gastrectomy and six proximal gastrectomies were performed laparoscopically. A wedge resection for a gastric submucosal tumor was performed in 71 cases in 2001, 82 in 2002, and 103 in 2003. Hand-assisted laparoscopic surgery (HALS) was performed in 39 cases in 2001, 55 in 2002, and 49 in 2003. As for personal indications for a LADG, 14 surgeons performed a LADG only for a T1 lesion, and 5 surgeons extended their indications to T2N0 lesions. In the near future, laparoscopic procedures for gastric cancer will be widely adopted in Korea if the medical-insurance obstacle is overcome and the long-term survival results are verified.

  • PDF

좁은 치조골에서 사다리꼴형 디자인으로 개발된 단폭경임플란트의 증례 보고 (Case report of a newly designed narrow-diameter implant with trapezoid-shape for deficient alveolar bone)

  • 이사야;고미선;고석영;윤정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5호
    • /
    • pp.263-276
    • /
    • 2018
  • Long-term survival and prognosis of narrow-diameter implants have been reported to be adequate to consider them a safe method for treating a deficient alveolar rid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case report of narrow-diameter implants with a trapezoid-shape in anterior teeth alveolar bone. A 50-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discomfort due to mobility of all of the maxillary teeth and mandibular incisors. Due to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four anterior mandibular teeth were extracted. Soft tissue healing was allowed for approximately 3 months after the extraction, and a new design of implant placement was planned for the mandibular incisor area, followed by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 Implant placement was determined using an R2GATE surgical stent. The stability of the implants was assessed by ISQ measurements at the first and second implant surgery and after prosthetic placement. At 1 and 3 months and 1 year after implantation of the prosthesis,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nother 50-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discomfort due to mobility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first patient, implant place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after extraction. ISQ measurements and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s in the previous case. In these two clinical cases, 12 months of follow-up revealed that the implant remained stable without inflammation or additional bone loss, and there was no discomfort to the patient. In conclusion,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was used to place an implant in an optimal position considering the upper prosthesis. A new design of a narrow-diameter implant with a trapezoid-shape into anterior mandibular alveolar bone is a less invasive treatment method and is based on the contour of the deficient alveolar ridge. Through all of these procedures, we were able to reduce the number of traumas during surgery, reduce the operation time and total treatment period, and provide patients with more comfortable treatment.

  • PDF

어린이 제 1 대구치 복합 레진 수복물의 5년 후 임상평가 (5 YEARS EVALUATION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N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 김인영;김재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117
    • /
    • 2008
  • 치과용 복합레진(Resin-based composite material)의 임상적 결과는 증례의 선택, 기술적인 완성도, 술자의 숙련도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제 1 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은 치아의 맹출 정도와 환아의 협조도 등에 따라 성인의 경우에 비하여 임상적으로 많은 제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에 시행된 복합 레진 수복물에 대한 5년 후의 평가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1년 1월 1일부터 1년 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제 1 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을 받은 16명 환자의 35개 치아에 대하여 modified USPHS criteria에 근거하여 정밀 평가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5개 치아 중 6개(17.1%)는 재수복되어 복합 레진 수복물의 5년 후 생존율은 82.9%로 나타났다. 2. 평가기준별 관찰 결과, 색조의 조화, 마모도, 표면 조도, 민감성 혹은 불편감의 측면에서 이상적인 상태인 A등급은 각각 86.2%, 93.1%, 86.2%, 86.2%로 나타났고, 임상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준인 B등급은 각각 13.8%, 0%, 13.8%, 10.3%를 보였다. 변연적합성과 변연부 변색의 측면에서 A등급은 각각 13.8%, 44.8%를 보였고 B등급은 79.3%, 34.5%로 나타났으며, 이차 우식의 발생율은 20.7%를 나타내었다. 3. 69.1%인 20개 치아는 7개 항목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식업에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콩발효물의 상업적 응용 (Industrial Application for Aquaculture of Fermented Soybean with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 이진영;김강민;강재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4
    • /
    • 2007
  •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활성아포를 형성하여 장까지 도달하는 특성 때문에 장기적인 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져 왔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 연구는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와 콩을 함께 발효시킨 것 (BPFS)과 그것의 생균제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와 BPFS는 병원성 그람양성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에, 락도코커스 가르비에), 그람 음성 (플렉시박터 트렉튜오서스, 비브리오 하베이,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비브리오 오다리), 곰팡이 (아스파라질러스 니거, 아스파라질러스 오리자에)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항균성을 가졌다. BPFS에 의한 생존율 증가와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의 정화작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통영 앞바다 양식장에서 조피볼락을 사용해서 현장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해양 병원성 유해 박테리아에 노출시키고 일반 사료만 복용시킨 군에서는 99%의 폐사율을 보였으나, BPFS를 사료와 함께 복용시킨 군에서는 먹이 유인효과에 의한 성장률의 증가와 부영양화에 의한 수질오염을 정화하는 작용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BPFS는 양식업에서 항생물질 대체제, 사료첨가제, 부영양화에 의한 정화제로서 개발하여 산업화하기 용이한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

  • PDF

Korean Epithelial Ovarian Cancer Study (Ko-EVE): Protocols and Interim Report

  • Ma, Seung Hyun;Kim, Byoung-Gie;Choi, Ji-Yeob;Kim, Tae-Joong;Kim, Yong-Man;Kim, Jae Weon;Kang, Sokbom;Kang, Daehee;Yoo, Keun-Young;Park, Sue 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731-3740
    • /
    • 2012
  • Backgrou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Asian ovarian cancer and benign tumors.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was to report the protocol of the Ko-EVE study to examine epidemiological and molecular factors for ovarian cancer and benign neoplasms and to ascertain the major risk factors for ovarian cancer control in Korea.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covers incident epithelial ovarian cancers and benign neoplasms, four major centers participating in enrolling incident cases and 3 hospitals enrolling healthy controls among health examinees.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y trained interviewers, including sections on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past medical history, medication usage, family history, lifetime consumption of alcohol and tobacco, diet, physical activity, and reproductive factors for women. Various biological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biorepository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protocol. Annual follow-up for cancer cases and follow-up at the 1st year for benign tumor cases are performing to evaluate treatment effect and progression. Passive follow to see long-term survival will be conducting using record linkage with national data. Results: The total number recruited in 2010-2011 was 246 epithelial ovarian cancer cases, 362 benign epithelial tumors and 345 controls. We are planning to collect subjects for at least 1,500 sets of ovarian cancer, 2,000 benign tumors and 1,500 controls till 2018. Conclusions: The Ko-EVE will provide unique and important data to probe the et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Korean epithelial ovarian cancer. It will be continued by genomic and proteomic epidemiological analyses and future intervention studies for the prevention of ovarian cancer among Koreans.

미국인의 조기퇴직 역전현상과 고령자 사회정책의 미래 (A Reversal in Retirement Ages and the Future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 전광희
    • 한국인구학
    • /
    • 제26권1호
    • /
    • pp.115-14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인구의 고령화 과정에서 장기적인 조기퇴직의 경향과 1985년 이후 일어난 그것의 역전현상에 주목하면서, 그것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여건과 사회정책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토하는 것이다. 미국인의 조기퇴직, 곧 퇴직연령 하락의 주원인은 장기적인 부(富)의 증대이며, 이것은 고령 노동자들이 소득창출을 위한 유급노동시장 참여를 하지 않고서도 높은 수준의 생활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회보장 퇴직연금과 기업 연금제도의 확대 성장은 강제퇴직제도의 도입과 아울러 1980년대 중반까지 조직퇴직의 증가추이에 공헌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의 조기퇴직 역전현상을 지속시킬 수 있는 유인책으로서 고령자 사회정책 프로그램 등에 주목한다. 물론, 여기서 과연 조기퇴직의 역전을 가져오는 사회정책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이다. 환언하면, 노동생산성의 증대나 은퇴전의 근면성(勤勉性)의 향상은 미국인들이 평균수명의 신장으로 퇴직, 곧 "제3의 인생" 이 길어진다고 하더라도 보다 높은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미국인은 현행 각종 사회정책 프로그램이 현역 노동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가져다주더라도 조기퇴직을 허용하는 각종 사회정책 프로그램이 유지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의 고령자 사회정책은 조기퇴직의 역전을 지속하려는 정책을 계속하기보다는 현역 노동자의 근면성 향상이나 노동생산성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관심을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요가 있을 것이다.

Primary Surgical Closure Should Be Considered in Premature Neonates with Large Patent Ductus Arteriosus

  • Ko, Seong-Min;Yoon, Young Chul;Cho, Kwang-Hyun;Lee, Yang-Haeng;Han, Il-Yong;Park, Kyung-Taek;Hwang, Yoon Ho;Jun, Hee J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178-184
    • /
    • 2013
  • Background: Treatment for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in premature infants can consist of medical or surgical approaches. The appropriate therapeutic regimen remains contentious. This study evaluated the role of surgery in improving the survival of premature neonates weighing less than 1,500 g with PD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une 2011, 68 patients weighing less than 1,500 g with PDA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group managed only by medical treatment (group I), a group requiring surgery after medical treatment (group II), and a group requiring primary surgical treatment (group III). Results: The rate of conversion to surgical methods due to failed medical treatment was 67.6% (25/37) in the patients with large PDA (${\geq}2$ mm in diameter). The number of patients who could be managed with medical treatment was nine which was only 20.5% (9/44) of the patients with large PDA. There was no surgery-related mortality. Group III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 rate of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p=0.008). The mechanical ventil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II (p=0.002). Conclusion: Medical treatment has a high failure rate in infants weighing less than 1,500 g with PDA exceeding 2.0 mm. Surgical closure following medical treatment requires a longer mechanical ventilation time and increases the incidence of BPD. Primary surgical closure of PDA exceeding 2.0 mm in the infants weighing less than 1,500 g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mortality and long-term morbidity events including BPD.

Long-term clinical outcom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ccording to the early revascularization method: a comparison of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and fibrinolysis followed by routine invasive treatment

  • Min, Hyang Ki;Park, Ji Young;Choi, Jae Woong;Ryu, Sung Kee;Kim, Seunghwan;Song, Chang Sup;Kim, Dong Shin;Song, Chi Woo;Kim, Se Jong;Kim, Young Bi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91-199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omparison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of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that of fibrinolysis followed by routine invasive treatment in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Methods: A total of 184 consecutive STEMI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PCI or fibrinolysis followed by a routine invasive therapy were enrolled from 2004 to 2011, and their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s) were compared. Results: Among the 184 patients, 146 patients received primary PCI and 38 patients received fibrinolysis.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both groups, except for triglyceride level ($68.1{\pm}66.62$ vs. $141.6{\pm}154.3mg/dL$, p=0.007)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 ($44.6{\pm}10.3$ vs. $39.5{\pm}8.1mg/dL$, p=0.005). The initial creatine kinase-MB level was higher in the primary PCI group ($71.5{\pm}114.2$ vs. $35.9{\pm}59.9ng/mL$, p=0.010). The proportion of pre-thrombolysis in MI 0 to 2 flow lesions (92.9% vs. 73.0%, p<0.001) was higher and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s were administered more frequently in the primary PCI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12-month clinical outcomes, including all-cause mortality (9.9% vs. 8.8%, p=0.896), cardiac death (7.8% vs. 5.9%, p=0.845), non-fatal MI (1.4% vs. 2.9%, p=0.539),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5.7% vs. 2.9%, p=0.517), and stroke (0% vs. 0%). The MACEs free survival rate was similar for both groups (odds ratio, 0.792; 95% confidence interval, 0.317-1.980; p=0.618). The clinical outcome of thrombolysis was not inferior, even when compared with primary PCI performed within 90 minutes. Conclusion: Early fibrinolysis with optimal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therapy followed by appropriate invasive procedure would be a comparable alternative to treatment of MI, especially in cases of shorter-symptom-to-door time.

자외선이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Overview of UV-B Effects on Marine Algae)

  • 한태준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1-9
    • /
    • 1999
  • 산업활동의 부산물인 chlorofluorocarbons(CFCs)와 같은 물질들의 대기권 유입으로 오존층의 파괴가 극심해짐에 따라 자외선의 지표유입량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는데, 특히 중파자외선의 증가는 DNA, 단백질, 지질 등에 의한 흡수를 통하여 생물학적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근 측정 결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해수표면에 도달되는 중파자외선 광량의 1%가 수심 l0 m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해양생태계 생산성의 대부분이 해양 수심의 상위 2.5%에 해당되는 투광대에 의존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자외선에 의한 막대한 생태학적 폐해를 예견하게 해준다. 실내배양실험 연구에서 중파자외선은 대형해조류의 생장 및 광합성을 억제하고 광합성 색소를 파괴하는 등의 생물독성학적 효과를 보였다. 반면, 자외선의 피해로부터 해조류를 보호해 주는 몇 가지 기작이 밝혀진 바 있는데, 어린시기의 갈조류 다시마는 청색광에 의한 광재활성화 능력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고, 한국산 녹조 구멍갈파래와 홍조 도박류에서는 자외선을 강하게 차단하는 흡수물질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기능들이 해조류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생태계는 대기 중 CO$x_2$를 이용하여 1년에 약 100 Gt의 유기물질을 생산해내고, 인류가 소비하는 식품의 30%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자외선에 의한 생물량의 감소는 해조류 뿐만 아니라 먹이망에 의해서 복잡한 연결구조를 지닌 생태계 전체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대한 피해를 연구 평가하여 전략을 세우고 이를 예측하는 예보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부각된다.

  • PDF

냉동 시 잠재용융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냉동 곡선 (Ideal Freezing Curve Can Avoid the Damage by Latent Heat of Fusion During Freezing)

  • 박한기;박영환;윤웅섭;김택수;윤치순;김시호;임상현;김종훈;곽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19-228
    • /
    • 2003
  • 배경: 액체질소에 의한 냉동방법은 생물학과 의학에서 세포와 조직의 장기보존으로는 성공적인 방법이다. 잘 조절된 냉동속도와 해동의 방법과 함께 글라이세롤이나 디메칠설폭사이드 같은 냉동보존제의 사용으로 얼음결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의 유지와 생존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여러 조직의 초저온냉동에는 조직에 맞는 냉동속도가 있다. 대상 및 방법: 가장 적합한 냉동곡선과 이를 위한 냉동챔버온도를 찾기 위해서 우리들은 조직의 열역학적 계산을 두 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하나는 직접계산방법으로 모든 냉동 대상물의 열물리학적 특성, 잠재용융열, 면적, 농도와 체적을 알아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어떠한 경우에는 실제 값을 알 수 없다. 다른 방법은 간접계산방법으로 우선 기존의 냉동곡선으로 조직을 냉동시켜 조직의 실제 냉동곡선을 얻은 다음 시간상수로 냉동곡선을 분석한 다음 온도반응을 계산하고 적합한 x차방정식을 대입시켜 냉동 시 온도상승을 막고 이것을 거꾸로 냉동챔버온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결과: 이 냉동 프로그램을 중배엽줄기세포, 연골세포와 골아세포에 적용시켜 검사하였다. 조직의 온도는 온도상승과정 없이 이상적인 냉동곡선을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세포의 양과 수용액의 양이 적어 냉동곡선간의 생존력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만약 더욱 부피가 큰 조직을 냉동시키거나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계속한다면 이상곡선에 더욱 근접하게 되어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이 프로그램은 이상적인 냉동곡선으로 조직을 냉동시키기 위한 냉동챔버온도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