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town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말레이시아 신도시 주거단지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적 요소 (Regulatory Factors in Shaping New Towns of Malaysia)

  • 이리나;주서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9
    • /
    • 2014
  • The post-war period has witnessed the emergence of new towns in a number of countries in Southeast Asia. New town development started in Malaysia with Petaling Jaya as a satellite town in 1953 to accommodate the rapid growing population of Kuala Lumpur. New towns have been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British town planning principles, based on the modern ideal city. Nonetheless, they have constituted a regional character as they have incorporated local factors such as local technologies as well as site and climatic conditions. In the shaping of the new towns in modern cities, regulatory aspect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The regulations decide the basic framework for planning of new town, block plan and unit pla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new town planning of Malaysia. As a first step, we reviewed the lo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new town planning from the national land use to local plans. As a result, we categorized the guidelines into four areas: urban space, site plan, street system, block plan and unit plan. We expect this study to provide the framework of the Malaysia's new town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regulations.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어음하리마을을 대상으로 (Story Telling-based Scenery Color Plan to Establish Local Identity Focused on Eoeumhari Tow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17-227
    • /
    • 2016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시행하고 있는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이용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제언이다. 어음하리마을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은 울산에서는 처음이며, 어음하리 마을의 자원에다가 지역의 이야기를 부여해 스토리텔링 거리로 탈바꿈시키고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진행 중이다. 울주군은 이들 마을을 정비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지역 마케팅이 최근 지역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경관색채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어음하리마을의 풍토색을 토대로 이야기 자원에서 브랜드스토리를 추출하고 이를 색채계획에 적용하여 마을 단위의 개성적인 색채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지자체 별로 시행하고 있는 대규모 정비에 의한 색채계획에서 탈피하여 색채가 지역 아이덴티티 확립과 더불어 지역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하는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Practical Approach for Pavement Treatment Decisions for Local Agencies

  • Abdelaty, Ahmed;Jeong, H. David;Smadi, Omar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7권1호
    • /
    • pp.30-36
    • /
    • 2017
  • Most local agencies such as counties and small cities continuously express difficulties in making technically and financially defensible decisions on their pavement 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Unlike pavement systems managed by state highway agencies, the total lane-miles of many local pavements are significantly short and they are managed by a limited number of staff who typically have multiple responsibilities. Most local agencies also do not have historical pavement performance data and the lack of a systematic decision making framework exacerbates the problem. A structured framework and an easily accessible decision support tool that reflects their local requirements, practices and operational conditions would greatly assist them in making consistent and defensible decisions. This study fills this gap by developing a systematic pavement treatment selection framework and a spreadsheet based tool for local agenci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ill significantly help local agencies to improve their pavement asset management practices at the project level.

소도시 재래시장의 공간분석 - 충남 홍성읍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ce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 한종구;박동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3-50
    • /
    • 2011
  • Activation of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is important in the reinvigoration of local economy as an economical cente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s closely related to the fosterage of conventional market. So the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ctivate the market. However, the projects for the activation of conventional market are mostly centered on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which is carried out at urban districts. Those facilities-centered plans, being carried out at urban district, lack the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rural districts and the regional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s. And some projects for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produce negative results. Especially the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shows a spatial structure of a five-day market and a market place and it was influenced by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anent market and periodic market. So analyses on the spatial lay-out and form, store facilities, spatial distribution of types of business, spatial utilization on market place are need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nventional market. In this context, the study analyzed systematically the space of an old and lagged Hongseong conventional market located in central district of a small tow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use as a basic data to establish effective space improvement plan for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복합경계 신도시의 협력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위례신도시를 사례로 (A Study on Collaborative Management in a Complex Boundary New Town: On the Case of Wirye New Town)

  • 최상희;김두환;김륜희;윤인숙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49-360
    • /
    • 2013
  • 최근 도청 이전 신도시, 위례신도시 등 두 개 이상 지자체를 포함하는 신도시(복합경계신도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도시개발제도는 단일 지자체 신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복합경계 신도시의 개발과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 개념은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가 포함된 위례신도시에서 갈등이슈를 파악하고, 개발사업자와 주민까지 참여하는 협력 대안을 모색하는데 유리한 개념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례신도시를 사례로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의 개념틀을 활용하여 복합경계신도시의 개발과 관리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슈를 파악하고, 협력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자 및 전문가 인터뷰, 문헌연구, 전문가 포럼 등을 진행하였으며, 도시개발 관련 선행연구와 경제자유구역 등 유사사례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례신도시 개발 관리의 주요 부문을 학교 학군, 행정서비스, 공급처리시설, 도시기반시설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 갈등이슈를 분석하여 갈등구조를 파악하였다. 둘째, 위례신도시는 복합경계 신도시로서 행정구역 별 분리 관리와 통합 관리간의 대립, 광역적 관리 대 국지적 관리가 갈등의 기본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례신도시의 협력적 관리를 위해서는 최소한 지자체 행정협의회, 지자체조합, 전문관리기구의 세 가지 차원에서 Multi-level governance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점을 향후 관리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의 공간구성요소와 면적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 Aerial Composition of Public Health Center within Governments Complexes Town - Focused on case studies in Seoul Metropolis -)

  • 변용진;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4-233
    • /
    • 2010
  • As urban function has becom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ies to satisfy new functional desires are necessary. Since local autonomy started, many facilities previously run and manag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re now under management of localities, and functionally, the necessity for governments complexes town to satisfy diverse taste of populace such as creating local community becomes imminent. Analyzing characteristics by space composition factor of the public health center, newly built as part of such governments complexes town and understanding required area of each part, this project is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construction plan of public health center that is equipped with local characters while devising construction of the public health center in the governments complexes town.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four public health center facilities located in governments complexes town sites built after 2007, among twenty fiv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by spatial functions. Also, based on statistical documents of usage of public health center facilities, research over spatial compositional factors and area composition has been conducted. As a result, connectivity between local government building located inside the governments complexes town and public health center and that of spatial composition factor by part, area ratio by part and floor type of public health center are comprehended. Connectivity type of public health centers are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vity and it is found that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health center is compartmentalized into low level, mid level and high level, to make access by users easier. Level type is decided as radial, rotational and combined by hallway connecting facilities.

내포신도시 조성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Naepo New Town on the Local Economy of Neighboring Areas)

  • 홍성효;이경주;임준홍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41-52
    • /
    • 2020
  • 신도시는 우수한 정주여건을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지역경제가 형성된다. 하지만, 신도시가 낙후지역에 조성되는 경우 인근 지역으로부터 인구와 사업체를 흡수하여 인근 지역의 구도심 공동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내포신도시 조성에서 대도시인 대전시로부터 충남도청사의 이전이 가장 핵심적인 사업에 해당하고 이로 인해 다수의 공무원과 그 가족들이 상대적으로 과밀한 지역에서 이주하며 이들이 내포신도시를 포함한 인근 지역에서 소비층을 이루는 경우 내포신도시 인근 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내포신도시로부터 10km 이내 지역(폭 500-meter 도넛모양 지역이나 읍면동)과 이외 지역 간 내포신도시 조성을 전후로 지역 내 음식점업 개점수의 차이의 변화를 통해 내포신도시 조성에 따른 인근 지역에 대한 경제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중차분 분석틀을 적용한 회귀식에 대한 추정결과는 내포신도시의 조성이 인근 지역에 긍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쳤음을 제시한다.

농촌 뉴타운 조성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 장성 뉴타운과 화순 뉴타운 계획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Rural New Town Planning and Guidelines for Improvement Measures of Planning Process -The Case of Jang-seong Rural New Town and Hwa-soon Rural New Town in Chean Nam Provincial Area-)

  • 오병태;최찬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07-115
    • /
    • 2011
  • This study aims to extract improvement measures in rural new town planning by selecting two similar new towns; Jang-seong rural new town and Hwa-soon rural new town in terms of size of town and population. To carry out this study, field survey is implemented and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are examined. Based on this study, four major issues are drawned as follows ; Firstly, the location of rural new town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the new town project to be successful and sustainable village. Site of Jang-seong rural new town which is chosen arbitrarily by local county is located unsuitable area. Secondly, compulsory facilities are dismissed in land use planning because of guidelines of the rural new town are not applied. Thirdly, the size of community centers are too big for 200 households to manage, and it can be a financial burden to inhabitants. Fourthly, rural new town project is building urban districts in rural area rather than constructing rural village, so the method of rural new town planning should be reconsidered.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supervise the rural new town project throughly by put it in more systematic approach.

로컬콘텐츠로서의 소도시 만들기: 한국과 일본의 마을스테이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Create Small-sized Cities as Local Contents: Focusing on the Case of 'Town-stay' in Korea and Japan)

  • 정수희;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9
    • /
    • 2023
  • 최근 인구감소와 도시 쇠퇴로 인해 도시 자체의 질적 변화를 유도하고 차별화 된 발전모델을 만드는 방안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문화는 고유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활용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확장과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활기가 넘치고,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조성하는 차원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장소만들기로서 '마을스테이(마을호텔)'라는 새로운 로컬콘텐츠의 접근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개별 콘텐츠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지역의 매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겠으나, 일부 소도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콘텐츠적 요소(장소, 이야기, 사람)를 마을스테이라는 면(area) 단위 콘텐츠로 구체화함으로써 밀도 있게 제시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 연결성을 드러낸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 주체인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성을 이해하고 능동적 활동을 유도하며,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연대를 도모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소도읍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지역밀착형 전통시장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ly Closely-related Traditional Markets in Small Town)

  • 류태창;변충규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5호
    • /
    • pp.103-122
    • /
    • 2011
  • 소도읍지역 전통시장 및 지역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밀착형 전통시장 지원육성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전국 군 단위 지역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의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사회와 전통시장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지역밀착형 전통시장의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시장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전통시장과 지역 경제와의 관계의 정도, 지역사회와의 협력여부의 정도, 지역민들의 점포에 대한 시각 및 전통시장과의 지역이미지와의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전국 소도읍에 종사하는 전통시장의 상인 423명과 전통시장 관련 전문가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및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소도읍지역의 전통시장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경제발전에 기여 및 지역민들이 상가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도읍지역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첫째, 지역상가 및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과의 협력관계를 구성하여 지역주민의 욕구에 초점을 맞춘 시장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전통시장 구성원들이 지역에 기여하는 사회적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커뮤니티 공간이 될 수 있는 시장 내 공간활용 방안이다. 넷째, 젊은 층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방안이다. 다섯째, 소도읍 지역의 시장 축소 및 공간개편을 통해 특화상품을 구분하여 지역 내 시장을 재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