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0.36.3.041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Naepo New Town on the Local Economy of Neighboring Areas  

Hong, Sung Hyo (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학부)
Lee, Gyoung Ju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Im, Jun Hong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6, no.3, 2020 , pp. 41-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new town attracts a large population in the short period due to its excellent residential conditions, and forms a local economy. However, if the new town is constructed in an inferior area, it would cause a negative effect to neighboring areas by absorbing population and firms from them. Nevertheless, the relocation of Chungnam provincial office from Daejeon, a metropolitan area to Naepo belongs to the key project of constructing Naepo. If the officers and their family members move to Naepo following the relocation and form a new consumer group of a local economy, the construction of Naepo would cause a positive effect to its neighboring area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Naepo on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change in differences of the new openings of restaurants between areas (defined either by donut-shaped area with 500-meter width or by Eup, Myun, and Dong) inside and those outside of 10km from the border of Naepo. The results from regression equation estimation where difference-in-differences framework is applied imply that the construction of Naepo new town caused a positive economic effect to its neighboring areas.
Keywords
new town; double-difference; local economy; neighboring area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종구, 2009,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방안이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29(2), pp.275-286.
2 김주영.윤동건, 2015, 혁신도시 개발이 주변 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 - 강원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5(3), pp.67-77.
3 류주현, 2004, 도시성장에 따른 신.구도심의 소매업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2), pp.45-56.
4 류주현.장동호, 2017, 세종시 개발에 따른 세종시와 인접지역 간 인구이동 및 통행 변화,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3), pp.23-37.
5 손승호, 2018, 신도시 개발에 따른 화성시의 사회.경제적 공간재구조화, 대한지리학회지, 53(6), pp.847-862.
6 신재영, 2016, 충북혁신도시의 개발이 주변 지역의 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6(1), pp.49-66.
7 안성조.김주석, 2016, 경상북도 도청이전에 따른 시군간 공간구조 변화 - 시군간 군집구조와 도청신도시 영향력의 경우 -, 한국자치행정학보, 30(1), pp.253-266.   DOI
8 이병호.김가연.박민근, 2018, 지역개발과 삶의 질: 신도시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주는 영향, 국토연구, 98, pp.11-22.
9 임동일, 2008, 신도시개발에 따른 도시구조변화의 분석: GIS를 이용한 고양시 구도심지역 변화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0), pp.17-27.
10 임병호, 2008, 신.구도심의 업종분포 특성 비교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 pp.149-168.
11 임준홍, 2014, 내포신도시 주변 도심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이동 성향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6(5), pp.179-200.
12 정준화, 2009, 도청 이전에 따른 지역발전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3 조상필, 2015, 전남도청 이전 이후 변화발전과 시사점, 도청이전과 경북발전연구 세미나 자료집, 대구경북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