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cal textbook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제7차 중학교 환경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환경쟁점 분석 (An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2호
    • /
    • pp.38-49
    • /
    • 2004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that presenting principally environmental issues in environmental textbooks is a form of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issues. The environmental textbook in the 7th environmental curriculum is to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ould encourage the inquiry of value and change of attitude to take part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on the foundation of the comprehension about ecosyste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issue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total 4 sect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in environmental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The content areas that are include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Getting the Hot Earth’, ‘Decreasing Forest and Increasing Desert’, and ‘Pleasant Surrounding and Quality of Life’. Secondly, an environmental textbooks that are used in school education edited for direction that coincide in motive that is ‘real life-centered education’ that is presenting in the 7th environmental curriculum. Specially, introduction to local environmental issues coincides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revisions that ar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everyday life’ and ‘contents of local-center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eaching about environmental issue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지역학습에 있어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 제주 지역교과서 분석은 사례로 -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n Regional Learning - A Case Study of Regional Textbook in Jeju Province -)

  • 남호엽;김일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83-494
    • /
    • 2001
  • 본 연구는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를 분의하고 있다. 지역교과서는 지역학습의 자원이며, 다른 지역과의 영역적 차이를 기본 전제로 하면서 지역정체성을 재현한다. 교육과정 수준에서 지역학습의 교육인간상은 지역정체성의 함양을 추구하지만, 민족국가로서의 정치적 단일성을 고려하고 있다. 이른바 민족적 단일성은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융합된 양상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다른 지역에 비해 고유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사례 지역의 교과서에서는 민족과 지역 간의 상보성이 왜곡되어 있다. 예컨대, 지역의 통상적인 담론세계에서 유교문화경관은 타자이지만, 학교 교과서에서는 동일자이다. 또한 지역교과서에서 대외적인 영역화의 경계는 주로 지역이라기 보다는 민족이고. 민족의 변방으로 지역에 대한 장소감을 낳고 있다. 즉, 제주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은 민족정체성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지역학습에서 온당하게 다루어져 할 지역정체성의 추구가 주변화되고 있다

  • PDF

본초학 교재에 수록된 목본약용식물의 종명(種名)의 어원연구 (Ethymology of species names of woody herbal medicines from herbalogy textbook)

  • 이숭인;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71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to the etymology of 218 species names for 128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The examined herbalogical books and research paper which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ul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to the etymology of 218 species names for 128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The origins of species names for woody herbal medicines in Korea were in order of the local place name by thirty seven(16.97%), the dialects and old name by twenty two(10.09%),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ves by twenty(9.17%), the plant's constituents and uses by fifty(6.88%), the person's name by fifty(6.88%), the other's generic names and species names by thirteen(5.96%),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flowers by twelve(5.50%),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tems by twelve(5.50%), the words meaning a number by twelve(5.50%), the relative characteristic by comparing with the same genus by twelve(5.50%), and so 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which origin of species names of woody herbal medicines from herbalogy textbook, the number of species names of herbal medicine originated from the local place names by 37(16.97%) was the most of all.

영자신문 읽기 지도를 활용한 영어 독해능력 향상 (Using English newspapers in high school English reading classes)

  • 김혜주;임병빈;박지민;문창식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83-20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using English newspapers as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for the present textbook could increase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interest in class and their willingness to take an active part in activities. Schools in rural areas, compared to urban schools, did not have the appropriate resources to teach students effectively. Understanding the disadvantages of the students in rural areas, one idea was to use newspapers to inspire the students to reach outside their local community and incorporate new styles of English and cultural aspects into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were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ural area.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eading lessons with the textbook and English newspapers. They were also encouraged to make their own portfolios. The control group received reading lessons with the textbook and other supplementary material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s well as the questionnaires of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class using English newspapers. Second, students'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positively increased in the same class above.

  • PDF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연구 -경남 산청과 충남 서산의 지역학습을 사례로- (Localization of Text-development on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 손일;전종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66-478
    • /
    • 2004
  • 사회과 지역학습은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부응하고 사회과의 축소판이자 영역 통합의 실험장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사회과 지역학습은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현재 보급된 지역교과서는 전국적으로 획일적인 목차구성을 보이는 소극적 의미의 지역화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지역학습이 초등사회과의 지역학습과 연계된다는 측면에서, 특히 교사-학생이 주도하는 보다 적극적 의미의 지역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적합화를 위한 이론적 과정을 검토한 후, 서로 다른 지역적 성격을 가진 두 지역을 사례로 하여 지역적 적합화 과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각 지역의 경관과 지역관련 담론, 생태 환경 특성이 스트랜드의 지역별 비중 조절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것을 바탕으로 주제 추출의 지역적 적합화 및 내용조직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주제 및 내용조직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 PDF

시·도 교육청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 내용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We are the First Graders' Textbooks)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75-91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local primary textbooks for the subject of 'We are the First Graders'.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ree textbooks developed by the three educational bureaus of Seoul, Daegu and Busan. The criterion of analysis were scope, sequence and integration of curriculum representing the principles for developing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pes of topics included in 2007 National Curriculum of 'We are the First Graders' were faithfully reflected in the three local textbooks. Second, the sequences of textbooks were gener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urriculum content except for some contents. As for 'Wise School Life', some contents were presented at the first unit of the three textbooks and the others were gradually expanded at the latter of the textbooks. Third,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ppeared meaningfully in the three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on the activites for the adaptation at the early stage in the primary school under 2009 National Curriculum.

학교수학과 대학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최대·최소와 극대·극소의 분석 (Anaysis of the max·min and local max·local min in the school mathematics and department mathematics textbook)

  • 오혜영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27-148
    • /
    • 2024
  • Maximum and minimum have a historical background in mathematics and occupy an important part of the differential unit in school mathematics.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here are changes and problems in the way definition introduc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method of introducing maximum and minimum definitions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2007 and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maximum and minimum definition methods compared to the nine mathematics II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ree real analysis. In addition, methods to improve the terms used in relation to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re presented.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Contents Construction of Learning a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 Life in Seoul)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0-233
    • /
    • 2007
  •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초등사회과의 교육과정 지역화논의와 현실을 파악하고 지역학습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서울'을 사례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의 지방분권화를 의미하며 이는 학습자의 능동걸인 참여를 위해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이 연결될 수 있는 일상적 생활세계인 지역을 학습의 소재로 활용한다. 전통적으로 지역학습에서 지역은 향토, 지역사회, 신변지역으로 접근되었다. 향토는 이해와 애정 소속의 대상이고, 지역사회는 학습의 자원이면서 의사소통의 장 참여와 실천의 장이며, 신변지역은 조사 비교의 대상이면서 주요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지역화 논의와 지역학습의 유형화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 중인 지역화 교과서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 내용을 분석하면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했다. 본고에서는 서울의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서울을 경험의 공간, 참여의 공간, 탐구의 공간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면서도 지리학의 새로운 지역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적합성을 갖춘 지역학습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지역특수적인 소재를 활용하고 지역의 맥락에서 의미있는 잇슈와 주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방법면에서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 지역화를 실현하는 것임을 획인하였다.

  • PDF

차세대 과학 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STS contents o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 현지영;박신규;김중욱;정원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2호
    • /
    • pp.1-16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STS적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STS의 내용들은 Yager의 STS 토픽과 Piel의 기준 그리고 학생들의 SATIS 활동 유형 등에 의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Yager의 기준에 의한 STS 포함 비율은 20.9%로 기존 교과서의 평균인 11.3%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TS 구성요소 분석 결과 차세대 교과서의 경우 '지역사외와의 관련성'(59%), '과학의 응용성'(18.2%),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13.6%) 순이었다.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요소가 기존 과학 교과서 보다 증가하였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요소가 감소한 것이 큰 특징이다.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기존 과학 교과서의 경우 낮은 비율이지만 어느 정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iel의 기준에 의한 STS 주제 영역에 관한 비교 분석에서 차세대교과서는 '환경의 질' 문제와 '우주개발과 국방' 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기존 교과서의 경우 '기술발달의 영향', '천연자원' 등을 다루고 있다. SATIS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서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주된 활동은 '조사 연구', '모의실험', '자료 분석'등이며, 기존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차후 개발될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등 과학과 '지구와 우주' 영역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area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 이상균;최성봉;김찬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6-73
    • /
    • 2011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mes and percentage of STS contents in the area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following the 7th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dentifying how STS education has changed and their features. First, the number of pages where STS appear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 has increased over 10% compared to the that of the 7th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ges in the 5th and 6th graders increased substantially to 15% and 34%, resp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mponents of STS, 'applications of science',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social problem and issues', 'evaluation concerned fi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were obtained in the order named for the 7th curriculum; while 'applications of science',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career awareness' and 'social problem and issues' were obtained in the order named for 2007 revised curriculum. Third,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n theme areas, the 7th curriculum was found to cover the theme on use of natural resource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environmental problem, while 2007 revised curriculum to cover environmental problem and effects of technical development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pace development and use of natural resources. Fourth, in the area of STS teaching activities, 'investigation activity' showed highest percentage in 7th curriculum, followed by 'analysis of data', and 'research design', while 'analysis of data' showed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followed by "investigation activity' and 'actual activities' and 'research design' in the order nam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showing that the area of 'analysis of data' and 'actual activities' increased substantially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