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skill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6초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구성원간 협력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ampus-wide Partn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 이창수;김신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1-250
    • /
    • 2003
  •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이용 가능한 정보량의 급증 뿐 만 아니라 정보의 형태에 있어서도 다양화를 가져왔다. 정보이용능력은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다. 이는 대학교육의 핵심 목표이자 도서관 교육의 새로운 경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급증하는 정보이용능력에 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사서간의 협력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도서관 교육이 교과과정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구성원간의 긴밀한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국 대학도서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관하고, 대학구성원간 협력에 있어 성공사례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정보이용능력 교육의 시행에 필요한 절차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Influence of Financial Literacy and Educational Skills on Entrepreneurial Intent: Empirical Evidence from Young Entrepreneurs of Pakistan

  • BILAL, Muhammad Ahmed;KHAN, Hadi Hassan;IRFAN, Muhammad;Ul HAQ, S.M. Nabeel;ALI, Manzoor;KAKAR, Ali;AHMED, Wahab;RAUF, Abd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697-710
    • /
    • 2021
  •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on Youth Entrepreneurial Intent in Pakistan. A closed-ended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covering financial literacy, computer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knowledge with Entrepreneurial Intent was collected from young entrepreneurs. The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level with computer skill to inspect the effect of financial literateness on young generation Entrepreneurial Intent in the context of Pakista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PLS-SEM and authenticating a measurement model through the advanced methodology and their association with Entrepreneurial Intent. Results revealed that financial literacy and its two parts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knowledge) have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 The size of the joint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and its components on Entrepreneurial Intent was assessed to be adequate. Entrepreneurial Intent is essential for creating new firms to maintain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determined in this research that if youth has better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attitude, the probability of Entrepreneurial Intent increases. This suggests that if the youth in Pakistan desire to attain a higher limit of Entrepreneurial Intent, they must implement financial literacy models for enhancing and promoting their current Entrepreneurial Intent.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spect and Cognitive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edia Utilization and Critical Media Understanding)

  • 김다솔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29-57
    • /
    • 2022
  • 이 연구는 한국 미디어패널 2020의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 자아존중감, 인지 욕구가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PC 활용 능력과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은 청소년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PC,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인지 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PC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이메일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PC와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PC와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인 상호작용의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 및 기술 교과는 인지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미디어 활용 능력 중심의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그 외의 교과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동시적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서 스캐폴딩이 쓰기 불안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ffolding on Writing Apprehension and Media Literacy in Engineering Freshmen's Synchronous Online Writing Course)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3-4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scaffolding on writing apprehension and media literacy in engineering freshmen's synchronous online writing cours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Scaffolding' is in-time support provided by a teacher/tutor or competent peer that enables students to meaningfully gain skills at problem solving process. Also,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concepts in education as well as one of the more necessary teaching strategies in an online writing course. In this study, provided treatments for the experiment were supportive scaffolding for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reflective scaffolding for meta-cognitive knowledge. Participants were 102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by scaffolding types. A process-based writing cours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The writing tasks were given according to writing process. The findings were that,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nd self-expression's improvement through the scaffolding provided in writing class. Secondly,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nd self-expression's improvement were significant in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Thirdly, media literacy predicted writing apprehen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in, with particular attention on ways for writing apprehension's reduction as well as media literacy's enhancement.

Development of a Smart Device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 Ahra CHO;Chan-Woo YOO
    • 4차산업연구
    • /
    • 제4권1호
    • /
    • pp.19-2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s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in 2022.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a digitally disadvantaged group, and to utilize smart devices to enhance their digital capabi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Gagné's nine events of instruction, a total of 7-session educational programs using smart devices were developed, and teaching-learning goals were set at a level that older learners can realistically perform.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I utilization methods are introduced and utilized in some sess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 Results: Among a total of 7 sess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 5 sessions using KakaoTalk and Naver App, and 2 sessions using other apps were developed. There are a total of three sessions using AI.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a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d AI, addressing the insufficiency of AI-base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senior citizens. It is expected that this educational program will be able to improve the digital literacy skills and provide a basis for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s digital citizens by suggesting a direction for AI utilization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교육대학교 신입생 대상 ICT 리터러시 능력 측정 분석 (A Study on ICT Literacy Capability Measurement for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 노현아;정인기;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77-290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변화 속에서 디지털 교육 환경의 구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교육대학교에서의 올바른 정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정보교육에 대한 수준을 실질적으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능력, 분석적 추론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역량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ICT 리터러시이다. 본 연구에서는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검사 문항을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을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로 교육대학교 신입생 360명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한 후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전체적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과 성별, 내용영역, 능력요소별, 고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이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교에서 신입생의 정보교육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필수적으로 지녀야 할 능력을 지니기 위해 교육되어야 할 정보교육 방향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government 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Toward a Staged-Based User-Centric Approach for Developing Countries

  • Khan, Gohar Feroz;Moon, Jung-Hoon;Rhee, Cheul;Rho, Jae-Je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31
    • /
    • 2010
  • One of the prominent challenges of e-government identified in developing countries is low level of ICT literacy and skills of e-government users. For those countries at the nascent stage of e-government development, it is crucial to identify and provide e-skills needed from the demand side. However, prior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the supply side of e-skills, ignoring the consumption side of e-skills. In addition, no user centric approach for e-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for e-service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he stages of e-government development, have been proposed and valida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us to: 1) Identify skills required for e-services utilization by all participants-citizens,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involved in G2C, G2B, and G2E e-government relationships respectively; assuming they are consumers of e-government and to 2) Propose and validate an user-centric approach for e-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stages of e-government utilizing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mprehensive list of e-skills (N = 81) was generated. We found that e-skills required for e-service consumption are not merely technical; they include a wide variety of related skills that can be applied to enhancing e-skills. Therefore, the findings can serve as a standard curriculum for training and educating both citizens and government employees in developing countries. Moreov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may also facilit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indentifying and measuring citizens' readiness for e-government in terms of e-skills.

올바른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행사를 위한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vacy Literacy Level Measurement for the Proper Exercise of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 박향미;유지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01-522
    • /
    • 2016
  • 디지털시대에 정보는 가치창출의 원천이다. 지식 및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관련된 위험 및 위협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정보는 한 번 유출되면 완전한 회수가 힘들고 2차 3차 유포는 쉽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특히 개인정보는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주요표적이 된다. 하지만 정보주체는 자신의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는 하지만 제공 후 처리는 모르는 등 온전하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올바르게 행사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수준 측정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주체들의 현재 정보보호에 대한 지식수준과 이해의 정도, 실제 적용하는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개념과 지수를 제시한다. 본 지수를 통하여 정보주체의 선택능력을 강화하고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대한 판단 및 결정능력을 증진하고자 한다.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 고영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7-88
    • /
    • 2004
  • 새로운 지식 창조 활동으로서의 정보문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높아감에 따라 미국, 영국, 호주와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고등교육을 위한 정보문해 표준을 제정하였으며, 정보문해 과목을 일반 기초과정으로 개설하는 대학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시설과 인력자원을 활용 할 수 있는 일반 기초교육과정으로서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이 교수-학습 모형은 북미대학 도서관협회, 영국대학도서관협회, 호주뉴질랜드정보문해연구소의 정보문해 표준과 뉴멕시코 주립대학, 해이워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동인디애나 주립대학 등에서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되고 있는 정보문해 교육 모형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강의의 구성은 한 학기 16주 과정에 적용될 수 있도록 총 13개의 강의 모듈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치 이상의 값이 나왔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KSAT for 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AT)

  • 이정무;유진수;이정아;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527-542
    • /
    • 2016
  •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강조하는 통계적 소양이 통계 교육의 목표로 주목받고 있다.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해서는 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우리나라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ISA 평가틀(OECD, 2013)을 이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 문항이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지,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입학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의 평가와 측정을 반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미국의 대학입학시험인 SAT의 통계 문항과 비교 또한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과 SAT 모두 다양한 유형의 맥락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수능에 출제된 통계 문항들은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있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AT에 출제된 통계 문항에는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를 포함하여 통계적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문항들이 있다. 이 문항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계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적합한 통계적 소양 평가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