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SAT for 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AT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7.10
  • Accepted : 2016.08.1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statistical literacy is explicitly addressed as a goal and specific objectives are included. However, statistical literacy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studies on KSAT.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KSAT in a sense that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evaluated instead of testing typical facts or skills by comparing KSAT with SAT. We us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ategory of context of PISA framework (OECD, 2013) to administer the comparison of KSAT and SAT. Result shows that both KSAT and SAT use various context, but items in KSAT is limited in assessing critical understanding.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develop context-based items for KSAT in which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assessed.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강조하는 통계적 소양이 통계 교육의 목표로 주목받고 있다.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해서는 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우리나라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ISA 평가틀(OECD, 2013)을 이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 문항이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지,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입학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의 평가와 측정을 반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미국의 대학입학시험인 SAT의 통계 문항과 비교 또한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과 SAT 모두 다양한 유형의 맥락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수능에 출제된 통계 문항들은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있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AT에 출제된 통계 문항에는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를 포함하여 통계적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문항들이 있다. 이 문항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계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적합한 통계적 소양 평가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2. 고지은(2015).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의 선택 유형간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5. 구나영, 탁병주, 강현영, 이경화(2015). 표본 지도에 대한 고찰 - 국외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4), 515-530.
  6.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7. 남진영(2011).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13(1), 89-105.
  8. 남진영, 정연준(2011).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학교수학, 13(1), 1-17
  9. 박경미, 김동원(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50(1), 89-102.
  10. 박선제(2007).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 영역 (나)형 문항 분석 및 출제 경향에 관한 연구 (2005-2007).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보억, 남진영(2010). 한국과 일본 대학입학시험의 수학 문항에 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 49(4), 395-410.
  12.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김성숙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13-6-1.
  13. 이재학, 조승제, 박선화, 박혜숙(2004).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수학 시험문제 비교 연구. 수학교육, 43(4), 349-379.
  14. 이진호(2009). 수학과 개정교육과정과 대학수학 능력시험 체제 개편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2(1), 111-124.
  15. 임해미(2013). OECD PISA 수학 소양 평가의 특징 및 문항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 연구, 17(4), 971-990.
  16. 전영주(2011). 중국 대학입학시험의 수학 평가내용 및 구성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85-100.
  17. 전영주(2013a).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체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1), 47-53.
  18. 전영주(2013b).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수리) 영역 변천사. 한국수학사학회지, 26(2-3), 177-195 https://doi.org/10.14477/jhm.2013.26.2_3.177
  19. 조윤동, 남진영, 고호경(2009).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학교수학, 11(4), 547-565.
  20. 최경호(2002). 대입수학능력시험 확률통계 기출문제 분석. 산경논총, 21(1), 377-382.
  21. 최순학(2016). 최근 3개년 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하와 벡터' 과정의 출제 경향과 앞으로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College Board. New SAT practice test. https://collegereadiness.collegeboard.org/sat/practice/full-length-practice-tests.
  23. Gal, L. (2000). Statistical literacy: Conceptual and instructional issues. In D. Cobenetal (ed.) Perspectives on adults learning mathematics: Research and practice (pp. 135-150.).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24.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25.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1-8.
  26. Watson, J., 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In I. Gal, & J. B. Garfield (Eds.),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 107-121). Netherland: The Inter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27. Watson, J., M.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8. Watson, J., M., & Callingham, R. (2003).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2(2),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