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material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 분석 - 초등학교 4·5·6학년 2학기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Role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4th·5th·6th Grade in the Second Term)

  • 유종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9-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사회 교과 학습에서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정교과서로 개발되어 활용 중인 초등학교 4 5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 5학년은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 사진,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말로 표현하고, 6학년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또는 다른 자료에서 찾은 정보를 활용해서 과제를 해결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탐구 과제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4 5학년에게는 비교, 대조, 조합, 원인과 결과 구분, 사실과 의견 구분 그리고 결론의 예측과 추론 등의 정보활용기술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학년에게는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과제의 특성에 따른 해결 계획을 수립하고, 자료 수집, 활용, 결과물 완성 및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보활용과정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 조수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97-121
    • /
    • 2018
  •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 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미국의 초중등교육법 분석: 문헌정보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the U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 장령령;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7-3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모든 학생 성공법'에 의해 재인증된 미국의 초중등교육법을 문헌정보 서비스의 관점에서 법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헌정보 서비스 개선 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이 법에는 최초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가 명시되어 있으며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도서, 자원, 최신 자료, 기술, 도서관 서비스 및 교육 서비스와 연계시키고 있어 미국의 초중등학교에서 문헌정보 서비스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재정적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법에는 학교 사서가 개인화된 학습 경험, 증거 기반 평가, 전문성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학생, 교직원, 학부모에게 문헌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접근성 강화, 사서교사 등의 문헌정보 서비스 업무 구체화, 학교 구성원과의 협력 강화, 증거 기반에 따른 교육 활동, 교육적 효과의 공유, 문헌정보 교육과정 개발을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연구 (A Study on Undergraduates' Citation Use and Plagiarism Awareness)

  • 이혜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5-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생들은 인용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고 과제 작성 시 인용법을 일부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인용 관련 문제를 통해 대학생들의 인용 지식을 조사해 본 결과, 올바른 인용법을 알고 있는 대학생들은 극소수로 나타났다. 인용하는 자료로는 인쇄자료와 인터넷 및 웹자료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자료인 경우 단행본을, 인터넷 및 웹 자료인 경우 학술기관에서 제공하는 웹자료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 교육 기관으로는 대학 당국에서 인용 및 표절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교육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 당국에서의 인용 및 표절 프로그램 개설뿐만 아니라 도서관 이용 교육을 통해서도 인용 및 표절, 인용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천리안 위성 2A호 영상을 활용한 태풍 경로 시각화 탐구활동 수업자료 개발 (Development of Inquiry Activity Materials for Visualizing Typhoon Track using GK-2A Satellite Images)

  • 임채영;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8-71
    • /
    • 2024
  • 태풍은 지구 시스템 내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해양-대기 현상으로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더 강력해지는 추세이다.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 시민으로서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하여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 삽화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해결하고 지구과학 분야에서 다루는 전지구적 규모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DIE (준비, 개발, 실행, 평가) 모형의 절차에 따라 천리안 위성 2A호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의 경로를 시각화하는 탐구활동 자료를 개발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의 탐구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관측 데이터를 수집, 처리, 시각화, 분석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들로 탐구활동을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시각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코드를 활용한 수업과 GUI 프로그램 활용 수업을 각각 실시하여 각 활동의 특징을 비교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자료는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GUI 기반으로 실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탐구활동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지구과학 분야의 이해도와 디지털 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혈압 교육 인쇄물의 적합성 및 이독성 평가 (Suitability and Readability Assessment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on Hypertension)

  • 이태화;강수진;김혜현;우소라;김신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3-343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uitability and readability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for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Korea. Methods: A total of 33 written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hypertension were collected from public health centers, hospitals, and internet web site. Among them, we analyzed 19 materials which fit the inclusion criteria: leaflets (n=9), booklets (n=3), and guide book (n=7). Two trained nurses evaluate the materials using suitability assessment tool (SAM; Doak, Doak, & Root, 1996) and graded lexical items for teaching Korean (Kim, 2003). Results: Overall, 14 (73.7%) of 19 materials scored adequate, and 5 (26.3%) scored inadequate. On the average, the education materials contained 36.1% to 50.5% of 1st grade reading level words and 12.9% to 21.6% of 4th grade level and over. Conclusion: The reading level of the materials was higher than a 6th grade reading level. It is proposed that the written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y health professionals according to suitability and quality by taking the target group's literacy capacity into consideration.

환경교육 교재의 적합성 분석 (An Analysis on Appropriat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 양재식;남상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03
  • This study has an aim to construct a reference frame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materi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search the basic direction of the scheme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aim to induce wha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s for the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EE materials. It was analyzed how truly EE materials reflected contents selected as an analysis scheme, after grasping practical use and features of textbooks, audio-visual materials, and a web-site that are typical materials in EE of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in textbook analysis were that there were a human-centered environmentalism in the EE unit ("Environmentally Sound National Development", 5th Grade) of Social Studies. The result in analysis of audio-visual materials "Environmental Warrior, Zentaforce" of EBS, were that there are unhealthy environmentalism in that material. In other words, technology itself is considered as a almighty mean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Finally, the result in web-site analysis were that the "Environmental Class" of Ministry of Environment did not have sound environmentalism. The above result of study shows u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developing and us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is to have sound environmental values and EE perspective, to evaluate EE material with various point of view, to judge its result, and to use it.

  • PDF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 변우열;송기호;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92
    • /
    • 2014
  •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Women in Maldives Related to the Risk Factors,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 Basu, Partha;Hassan, Salma;Fileeshia, Fathmath;Mohamed, Sizna;Nahoodha, Aminath;Shiuna, Aminath;Sulaiman, Asma Ibrahim;Najeeb, Nazeera;Saleem, Fathmath Jee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691-6695
    • /
    • 2014
  • Background: A population-base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ogram using visual inspection with acetic acid was launched in Maldives in 2014. Our study aimed to assess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women in relation to risk factors of cervical cancer,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and its preven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questionnaire bas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 to 50 year old women, systematically sampled to represent three regions of Maldives. Trained investigators interviewed a total of 2,845 women at home.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risk factors of cervical cancer like early age at marriage and childbirth, multiple marriages, multiple marriages of the husbands, and multiple pregnancies was high. More women knew about breast cancer than cervical cancer. Even among the small number of women who knew of cervical cancer, only 34.6% had the knowledge of at least one early symptom. Very few women knew that the cancer could be prevented by any test. Only 6.2% of the women reported having ever undergone a Pap smear. Many women had the misconception that cervical cancer was infectious. In Maldives the younger women have high literacy rate due to the policy of universal free education a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had improved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ts risk factors.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also reduced with improved literacy. Conclusions: Awareness about risk factors and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is limited among Maldivian women in spite of having high exposure to some of the risk factors. A universal literacy program in the country has helped to improve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to reduce the exposure to various risk factors in the younger population.

신임환경공무원을 위한 환경소양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Development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 서우석;김수욱;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25-39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he blended type of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of other programs, and expert conferenc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eveloped was ensured experts in environment.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a lack of time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refore, cyber training can be a good solution to the problems with environmental training courses. It improves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rovides hands-on experiences through multimedia materials that reflect the real world. Second, direction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ree parts; 1) strategie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2) Model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3) Contents selection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ird, the developed contents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officers consist of 4 domains: (1) the introduction to environment; (2) the natur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3)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4) the soci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Fourth, the program developed was evaluated by 7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s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nsured.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