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water content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8초

발아 유색미의 GABA(${\gamma}$-aminobutyric acid) 함량 분석 (Anaylsis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Germinated Pigmented Rice)

  • 안미경;안준배;이상화;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32-636
    • /
    • 2010
  • 본 연구는 현미, 녹미, 홍미, 흑미 4종의 유색미의 발아에 따른 GABA 함량을 분석하고 백미와 함께 비교하였다. HPLC/FLD를 이용하여 GABA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과 검출한계를 설정하였다.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122.4${\pm}$2.4%, RSD는 2.0%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23 ${\mu}g/g$, 정량한계는 0.76 ${\mu}g/g$이었다. 시료는 $18^{\circ}C$에서 20시간 침지시킨 후, 30에서 20-24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발아미, 미발아미 및 백미의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아 홍미가 293.6 ${\mu}g/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홍미와 백미가 각각 26.4, 11.9 ${\mu}g/g$으로 가장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발아미와 미발아미의 GABA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미를 제외한 현미, 홍미, 흑미는 미발아미에 비해 GABA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2.5-11.1배 증가 하였다. 백미와 미발아미를 비교해 본 결과, 백미와 홍미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현미, 녹미와 흑미는 백미의 GABA 함량인 11.9 ${\mu}g/g$에 비해 7.6-20.6배 높은 함량이었다. 백미와 발아미 사이에는 발아미는 모두 백미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백미에 비해 발아미의 GABA 함량은 19.0-24.7배 높았다.

베이어법으로 합성된 Al(OH)3에 함유된 미량 Na 성분의 제거 (Removal of Sodium Contained in Al(OH)3 Synthesized by Bayer Process)

  • 최희영;김도형;박노국;이태진;강미숙;이원근;김헌덕;박준우
    • 청정기술
    • /
    • 제18권1호
    • /
    • pp.63-6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베이어공정에 의해서 수산화알루미늄($Al(OH)_3$)을 합성하였으며, 고순도 알루미나를 합성하기 위하여 염산 및 초산과 같은 산성용액을 사용하여 $Al(OH)_3$에 함유된 나트륨을 제거하였다. 호주의 퀸즐랜드 주에서 생산된 보크사이트가 베이어공정에 의해 알루미나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보크사이트는 attrition mill을 이용하여 10 ${\mu}m$ 이하의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되었다. 보크사이트에 함유된 알루미나 성분을 용출하기 위하여 분쇄된 보크사이트를 5 N의 NaOH 수용액으로 처리하였으며, 고압반응기 내에서 보크사이트로부터 알루미나의 용출은 $140^{\circ}C$, 3.4 atm에서 수행되었다. 용출 후 고체시료인 레드 머드는 여과에 의해서 액체시료와 분리되었다. 보크사이트와 여과된 레드 머드에 함유된 알루미늄 함량과 구조변화를 XRD와 EDX로 분석하였다. 또한 분리된 용액에 함유된 알루미나는 씨드 물질로 사용된 $Al(OH)_3$의 첨가에 위해서 $Al(OH)_3$로 결정화되었다. 결정화 과정에서 얻어진 $Al(OH)_3$는 증류수에 의해서 수차례 수세과정으로 정제되었다. 또한 산성 용액에 의해서 $Al(OH)_3$에 함유된 나트륨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Al(OH)_3$ 분말의 순도는 물에 의한 세정으로 99.3%로 생산되었고, 산 처리에 의해서 나트륨의 함량은 약 0.009% 정도로 감소되었다.

제주도 연안 해양에서 분리한 한천분해 미생물 Vibrio sp. S4의 동정 및 내열성 agarase의 생화학적 특성 (Identification of a New Agar-hydrolyzing Bacterium Vibrio sp. S4 from the Seawater of Jeju Island and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Agarose)

  • 이창로;지원재;배창환;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4-321
    • /
    • 2015
  • 대한민국 제주도 연안 해수로부터 agarase를 생산하는 균주 S4를 분리하였다. 균주 S4는 그람-음성의 막대형 세포로 부드러운 베이지색 원형 콜로니를 형성하며, 한 개의 극성 편모를 갖는다. S4 균주는 $15-42^{\circ}C$, 0.5-5%(w/v) NaCl, pH 6.0-9.0, 0.5-5%(w/v) NaCl 농도에서 안정된 성장을 보인다. S4 균주의 G+C content는 49.93 mol%, 세포내 주요 지방산 (>15%)은 $C_{18:1}{\omega}7c$, $C_{16:0}$, Summed feature 3(comprising $C_{16:1}{\omega}7c/iso-C_{15:0}$ 2-OH)이다. 16S rRNA 염기서열, 생화학적 및 분류학정 특징에 기초하여 S4 균주를 Vibrio sp. S4로 명명하였다. 0.1% agar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S4 균주는 72시간에 세포농도와 agarase 활성이 최대치를 보였다. 반면, agar 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의 agarase 활성은 무시할만한 수준이었으며, 이는 균주의 agarase 유전자 발현이 agar에 의해 유도됨을 시사하고 있다. 균주 S4가 세포외부로 분비하는 총 agarase는 $45^{\circ}C$와 pH 7.0에서 최상의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agarose를 분해하여 (neo)agarotetraose와 (neo)agarohexaose를 생산하였다.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청도반시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unripe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박예빈;정하람;이승환;김태완;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을 40% (v/v) 에탄올-물 혼합 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5개 분획물(노말-헥세인, 클로로폼, 에틸 아세테이트, 노말-뷰탄올, 물)을 얻었다. 5개 분획물 중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산화방지능이 가장 높았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산화 질소, IL-6,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UPLC-ESI-MS/MS를 이용하여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페놀 화합물로 갈산, 프로토카테츄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쿼서틴-3-O-글루코사이드, 파라-쿠마르산, 쿼서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적과 과정에서 부산물로 버려지는 청도반시 땡감이 산화방지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보유한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향후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의 산화방지능에 기반한 항염증 효과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청도반시 땡감에 존재하는 개별 생리활성물질의 정량 분석 및 항염증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한일 말차(抹茶)의 클로로필 함량 및 패턴 비교 (Comparison of Chlorophyll Contents and Patterns of Korean and Japanese Powder Green Tea)

  • 김기선;고즈쿠에노부유키;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86-592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몇 가지 품질의 말차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와 교반 시간에 따른 크로로필 함량과 클로로필 패턴을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일 말차 각 3종류에 대한 클로로필 함량은 일본산 중품(S5 ; 8.34mg/g), 하품(S6 ; 8.23mg/g)이 가장 많았고 한국산 중품(S2 ; 4.87mg/g)이 가장 적었다. 2. 물의 온도에 대하여는 한국산 말차 중ㆍ하품(S2와 S3)을 제외하고는 85$^{\circ}C$와 95$^{\circ}C$에서 클로로필 함량이 가장 많았다. 3. 교반 시간에 따른 클로로필 함량은 일본산 말차 상ㆍ중ㆍ하(S4 ; 7.87mg/g, S5 ; 8.27mg/g, S6 ; 8.08mg/g)은 60초 교반이 가장 많은 반면 한국산 말차 상품과 하품(S1 ; 6.72mg/g, S3 ; 5.02mg/g)은 15초 교반이 많았다. 4. 클로로필 패턴에 있어서는 페오포비드, 클로로필 a, b 페오피틴 a, b의 5종류의 peak를 확인하였고, 일본산 상품 말차(S4)가 한국산 상품 말차(S1)보다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약 10% 많았다. 그러나 페오피틴 a는 S1이 S4보다 약 20%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5. 한국산 말차 중 클로로필 패턴의 비율을 보면 상푸(S1)의 클로로필 a의 비율이 47.42%로서 가장 많은 반면 중품(S2)은 30.70%, S2는 23.20%, S3는 37.68%로서 품질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본산 말차의 경우, 클로로필 a는 상품(S4)이 51.57%, 중품(S5)이 63.51%, 하품(S6)이 63.89%이었고 페오피틴 a는 S4, S5, S6가 각각 14.90%, 14.21%, 13,26%로서 한국산 말차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 PDF

제호탕(醍醐湯)의 현대적 재현 (Modern Reproducing of Jehotang Method)

  • 지명순;전원경;고병섭;안상우;윤창열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69
    • /
    • 2008
  • The "tang[tɑ:ŋ]" in Korean pronounciation means the beverage made of boiled medicinal herbs. The"Jeho-tang", the name of Drink in this abstract, is described in a variety of medical books including the "Dongeui Bogam" as being effective for illness from the summer heat in promoting digestion, curing the heatstroke and bringing it to a halt. The Drink was used as the Royal gifts granted to retainers and royal families on the Day of Dano-festival on the fifth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e items of encouragement for those who worked hard in sacrifices, and the awards for students of Confucianism who were proficient in their learning. The Jeho-tang used in this study was scientifically cooked again after a long time in history through looking at the methods written in the documents concerned with the Drink such as the "Dongeui Bogam" and the "Taste of Korea". In preparation of the medicinal herbs for the Drink, the powder of thinner than 30 mesh of the "Prunus mume", which is a species of Asian plum in the family of Rosaceae, and those of 50 mesh of the "Santalum album", which is the fragrant wood of trees in the genus Santalum and the "Amomum Xanthioides", which is produced in Vietnam and is the name of a kind of herb medicines, being very effective in the desease caused from heatstrare, were used.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honey boiled down long time at low heat was $82.43^{\circ}Bx$. When cooking in a double boiler, the inner part of the liquid for the Drink was kept at $80^{\circ}C$ for 12 hours to make it finished in a state of ointment. In the general composition of the finished Jeho-tang, the moisture content was 24.4%, 1.3% of crude fat, 1.4% crude protein and 0.7% ash, along with pH3.2. The acceptance on the whole was come out to be the highest in the sample diluted with the drinking water of 7-fold of the Jeho-tang, indicating that the 7-fold's addition of water was optimum level for drinking. In the Drink cooked by a vaccum pressure extractor for herb medicine,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art of cooking, the longer the time of pressure was, the less the heterogeneous feeling at tongue was and the more the glossiness of the Drink was. The Jeho-tang cooked under pressure for 7 hours received an excellent evaluation in its acceptability in every way.

  • PDF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정량 및 안정성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Stability of Curcuminoid Pigmen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Root)

  • 김관수;정명근;박시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11-215
    • /
    • 2005
  •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curcuminoid 성분인 curcumin (CUR), demethoxycurcumin (DEM), bisdemethoxy-curcumin (BIS)의 정량분석을 위해 유의성있는 검량선$(r^2=0.9999**)$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HPLC는 역상칼럼을 장착하고 420nm의 UV 검출조건, 그리고 이동상으로 acetonitrile: $0.1\%$ acetic acid /water의 50 : 50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분석조건이 확립되었다. 국내 6개 지역에서 재배된 강황들의 색소성분 함량분석 결과, CUR가 91.6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EM은 56.9 mg/g이고 BIS는 23.0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총량은 평균 171.5 mg/g이었다. 강황 색소추출물의 저장시기별 색소성분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 냉동저장은 거의 손실이 없었으나 상온저장은 60일 이후 급격한 감소율을 보였다. 저장 90일째의 색소성분은 암조건에서 약 $50\%$, 명조건에서 약 $30\%$만이 남아 있어 curcuminoid색소성분은 빛과 온도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칼슘함유량에 따른 유산균 발효유의 치아부식증 예방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ental erosion prevention by calcium contents of fermented milk)

  • 김경희;김다은;김애옥;신애리;정성숙;최충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69-981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exposure to liquid fermented milk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dded calcium on dental erosion, an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alcium effective in reducing dental erosion.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6 experimental groups: a mineral water group, a fermented milk with no added calcium (0%) group, and four fermented milk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dded calcium (0.1%, 0.5%, 1%, and 2%) groups. Twelve specimens were immersed for 1, 3, 5 and 10 minutes in each experimental drink and the change in surface microhardness was measured. Additionally, the surface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The difference in surface microhardness before and after 10 minutes of immersion in the experimental drink was the highest in the Ca 0% group, followed by the Ca 0.1%, 0.5%, 1%, 2% group and the mineral water group, in that order. The groups with a calcium concentration of more than 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face microhardness compared to the Ca 0% group.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morphology of enamel was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level of surface damage was observed in the Ca 0% group, followed by the Ca 0.1%, 0.5%, 1%, 2% group, in that order. Conclusions: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a higher calcium concentration in fermented milk is associated with a higher possibility of preventing dental erosion. The addition of 0.5% calcium, which is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did not completely prevent dental erosion, but significantly inhibited dental erosion compared to fermented milk without any added calciu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nsumers should be educated and provided with guidance to consider the calcium content when choosing fermented milk.

핵연료 분말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ste Treatment from a Nuclear Fuel Powder Conversion Plant)

  • 정경채;김태준;최종현;박진호;황성태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64-1173
    • /
    • 1996
  • 현재 국내에서 가동중인 원자력발전소 공급용 핵연료 분말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의 물성과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중수로형과 경수로형 발생 폐액에 함유된 우라늄을 회수/처리하기 위하여, 공히 폐액 속의 탄산이온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중수로형은 ADU 형태로 경수로형의 경우 $UO_4$ 화합물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최종 폐액의 우라늄 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처리후 폐액의 우라늄 농도는 중수로형 폐액의 경우, 폐액을 가열하여 ADU를 제조한 후 여액에 lime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1ppm까지, 경수로형 폐액의 경우 $UO_4{\cdot}2NH_4F$형태로 우라늄을 침전시킬 경우 0.8ppm까지 여액중의 우라늄 농도를 낮출 수 있었다. 최적 처리조건은 중수로형 폐액의 경우 $101^{\circ}C$까지 단순 가열방법이, 경수로형 폐액의 경우 가열한 후 $60^{\circ}C$에서 암모니아로 pH를 9.5로 조절한 후 과산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키는 경우로 나타났다. 폐액으로부터 회수된 우라늄 화합물은, 중수로형 폐액인 경우 pH가 낮을수록 회수된 ADU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경수로형 폐액인 경우 회수된 uranium peroxide 화합물을 공기분위기에서 열분해시킨 결과 기존의 AUC 분말이 열분해되어 나타내는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보임에 따라 핵연료분말 제조공정으로 recycle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ssessment of cutting time on nutrient values, in vitro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among three ryegrass cultivars

  • Wang, Chunmei;Hou, Fujiang;Wanapat, Metha;Yan, Tianhai;Kim, Eun Joong;Scollan, Nigel Davi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42-1251
    • /
    • 2020
  • Objective: The 3×3 factorial arrangement was used to investigate if either high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cultivars or suitable time of day that the grass cut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and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ethods: The 3 cultivars were mowed at 3 diurnal time points and included a benchmark WSC ryegrass cultivar 'Premium', and 2 high WSC cultivars AberAvon and AberMagic, which contained, on average, 157, 173, and 193 g/kg dry matter (DM) of WSC, and 36.0, 36.5, and 34.1 g/kg DM of N during 7th regrowth stage, respectively. The fermentation jars were run at 39℃ with gas production recorded and sampled at 2, 5, 8, 11, 14, 17, 22, 28, 36, and 48 h. The rumen liquid was collected from 3 rumen fistulated cows grazing on ryegrass pasture. Results: High WSC cultivars had significantly greater WSC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total gas production (TGP), and lower lag time than Premium cultivar. Methane production for AberMagic cultivar containing lower N concentration was marginally lower than that for AberAvon and Premium cultivars. Grass cut at Noon or PM contained greater WSC concentration, IVDMD and TGP, and lower 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but CH4 production was also increased, compared to grass cut in AM. Meanwhile, the effects of diurnal cutting time were influenced by cultivars, such as in vitro CH4 production for AberMagic was not affected by cutting time. The IVDMD and gas production per unit of DM incubated were positively related to WSC concentration, WSC/N and WSC/NDF, respec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to N and NDF concentr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either grass cut in Noon or PM or high WSC cultivars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IVDMD and in vitro TGP, and that AberMagic cultivar has a slightly lower CH4 production compared to AberAvon and Premium.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increase of CH4 production response incurred by shifting from AM cutting to Noon and/or PM cutting could be compensated for by high daily gain from increased WSC concentration and DM digest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