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biomarker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Epigenetic regulation of key gene of PCK1 by enhancer and super-enhancer in the pathogenesis of fatty liver hemorrhagic syndrome

  • Yi Wang;Shuwen Chen;Min Xue;Jinhu Ma;Xinrui Yi;Xinyu Li;Xuejin Lu;Meizi Zhu;Jin Peng;Yunshu Tang;Yaling Zhu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317-1332
    • /
    • 2024
  • Objective: Rare study of the non-coding and regulatory regions of the genome limits our ability to decode the mechanisms of fatty liver hemorrhage syndrome (FLHS) in chickens. Methods: Herein, we constructed the high-fat diet-induced FLHS chicken model to investigate the genome-wide active enhancers and transcriptome by H3K27ac target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sequencing (ChIP-seq) and RNA sequencing (RNA-Seq) profiles of normal and FLHS liver tissues. Concurrently, an integrative analysis combining ChIP-seq with RNA-Seq a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cken FLHS, ra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human NAFLD at the transcriptome level revealed the enhancer and super enhancer target genes and conservative genes involved in metabolic processes. Results: In total, 56 and 199 peak-genes were identified in upregulated peak-genes positively regulated by H3K27ac (Cor (peak-gene correlation) ≥0.5 and log2(FoldChange) ≥1) (PP) and downregulated peak-genes positively regulated by H3K27ac (Cor (peak-gene correlation) ≥0.5 and log2(FoldChange)≤-1) (PN), respectively; then we screened key regulatory targets mainly distributing in lipid metabolism (PCK1, APOA4, APOA1, INHBE) and apoptosis (KIT, NTRK2) together with MAPK and PPAR signaling pathway in FLHS. Intriguingly, PCK1 was also significantly covered in up-regulated super-enhancers (SEs), which further implied the vital role of PCK1 during the development of FLHS. Conclusion: Together, our studies have identified potential therapeutic biomarkers of PCK1 and elucidated novel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FLHS, especially for the epigenetic perspective.

고수온 환경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넙치의 항산화 작용과 생리적 변화 (Antioxidant Defense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levated Water Temperature)

  • 신현숙;안광욱;김나나;최철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0
  • 고수온 환경 ($25^{\circ}C$$30^{\circ}C$)에 노출시킨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의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CAT)] mRNA의 발현량 및 그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circ}C$ 대조구보다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질 과산화 지표로 사용되는 lipid peroxidation(LPO)을 측정한 결과,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PO의 증가는 SOD 및 CAT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체내의 $H_O_2$ 농도 또한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이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의 혈중 alanine aminotransferase (AlaA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pAT) 값을 측정 한 결과, AlaAT와 AspAT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면역 지표로 사용되는 lysozyme 활성도가 $20^{\circ}C$ 대조구보다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에 노출된 넙치에서는 간 세포의 손상뿐만 아니라 면역력 또한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에서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 mRNA 발현량 및 활성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와 LPO 값 또한 증가된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은 넙치의 체내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면역 기능을 저해시키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랫드에서 김치가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Jijang-kimchi extracts on diabetes mellitus and alcoholic liver injury in laboratory rats)

  • 김창현;박병성;엄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78-1087
    • /
    • 2020
  •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유도한 당뇨병, 알코올성 간 손상 실험용 랫드에서 혈액 지질 감소,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지장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당뇨병 모델동물에서, 혈액 지질 프로파일, ALT, AST 수준은 DC (당뇨병 대조군)와 비교할 때 김치추출물 투여군에서 낮아졌으며 혈당은 DCJK (DC+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가 DCCK (DC+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비해 낮았다. 인슐린 수준은 NC (정상대조군), DCJK > DCCK > DC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동물에서, 혈액 ALT, AST, 빌리루빈 농도는 AC (알코올 대조군, 일일 소주 1병 섭취군) > ACCK (AC+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 ACJK (AC+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 NC 순서로 낮았다. 간 조직의 임상병리학적 소견은 AC에서 가장 심각한 손상을 보였으나 소주1병과 김치 추출물 특히, 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은 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비해서 회복되는 속도가 개선되었다. 결과는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섭취가 혈액 지질 프로파일, 혈당, ALT, AST 수준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능력을 개선하여 줌으로써 항당뇨 및 알코올성 간 손상 보호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strea gigas) 소화맹낭 세포 내 리소솜 활동 측정에 관한 연구 (Cytochemical Measurement of Lysosomal Responses in the Digestive Cells of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정희도;이지연;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51-163
    • /
    • 2012
  • 이매패류의 소화맹낭은 고도로 발달된 리소솜 시스템을 지니고 있어 소화작용과 함께 오염물질의 해독과 배출작용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화맹낭의 리소솜 시스템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결절편을 이용한 조직학적 방법으로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 소화맹낭의 리소솜 활동을 측정하였다. 참굴은 2010년 6월 광양만 내만의 초남대교, 차면리와 외만의 신덕리, 평산리 조간대에 서식하는 굴을 채집하였다. 제작된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lysosomal membrane stability(LMS) 및 lipofuscin(LF) 축적, neutral lipid(NL) 축적, 소화맹낭 위축도(digestive gland atrophy, DGA)를 평가하였다. 비만도 및 소화맹낭 위축도는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MS는 내만이 외만에 비해 짧은 리소솜 막 불안정화 시간을 보였지만 지역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LF 축적은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지만(P<0.05), NL 축적의 경우 외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다(P<0.05). DGA와 LF의 경우 내만과 외만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환경오염의 수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분석항목은 연안환경평가에서 좋은 biomark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두의 혈중 지질 수준 및 혈관 건강 개선 기능성 평가: 메타분석 (The effect of walnut (Juglans regia L.) intake on improvement of blood lipid levels and vascular health: A meta-analysis)

  • 곽진숙;박민영;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36-246
    • /
    • 2014
  • 호두의 혈중 지질 수준 및 혈관 건강 개선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 7월 9일 기준으로 DB 검색을 통해 426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19건 (n = 1,040)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호두를 일상 식사에서 일부 지방 급원 또는 열량을 대체하여 섭취하였을 때,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 및 혈류 매개 혈관 확장능을 각각 -0.124 mmol/l, -0.085 mmol/l, -0.080 mmol/l, +1.313 % 수준으로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상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Monascus pilosus 발효 뽕잎차 열수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Hot-Water Extract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on Body Weight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Mouse Fed a Normal Die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이인애;최종근;서주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46-56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뽕잎차와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가 ICR mouse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음용수 대신 1% 열수 추출액을 8주간 급여하고 체중, 장기중량, 혈액 및간기능 바이오 마커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Mice는 뽕잎차(UMI)와 발효뽕잎차의 열수추출액 급여군(FMI) 및 정상대조군(NC) 등 3개군으로 나누었다. 차 추출액을 급여한 군들은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NC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량이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 지수는 유의한 수준의 감소를 보였으며, 간 조직의 lipid peroxide (LPO) 함량 및 xanthin oxidase (XO) 활성의 감소와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차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는 체중감소 효과가 있으며 간 조직 손상과 관련된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화학적 및 조직병리학적 생체지표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담수 붕어(Carassius auratus)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Sewage Effluent on Freshwater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using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Biomarkers)

  • ;임형준;이황구;황순진;김원기;;정진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9-43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응천에서 채집한 담수 붕어(Carassius auratus)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조직병리학적 손상을 분석하여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류수 혼합 지점과 하류 지점에서 채집한 붕어의 아가미, 간, 콩팥의 과산화수소 분해효소(catalase)의 활동도는 상류 지점과 비교하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합 지점의 아가미와 간의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의 활동도는 상류 지점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상류 지점보다 유의하게 더 증가된 간의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가 혼합 지점에서 관찰되었다. 붕어의 조직병리학적 손상의 정도는 간 > 콩팥 > 아가미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간이 방류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붕어의 조직 손상도(degree of tissue changes)는 혼합 지점에서 채집한 시료(30.98 ± 5.40)에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하류 지점 시료(19.28 ± 4.31)이고 가장 낮은 것은 상류 지점 시료(4.83 ± 2.6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 지점에서 채집한 붕어가 방류수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산화적 스트레스와 조직병리학적 지표들이 방류수로 오염된 하천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Separate and Joint Associations of Shift Work and Sleep Quality with Lipids

  • Charles, Luenda E.;Gu, Ja K.;Tinney-Zara, Cathy A.;Fekedulegn, Desta;Ma, Claudia C.;Baughman, Penelope;Hartley, Tara A.;Andrew, Michael E.;Violanti, John M.;Burchfiel, Cecil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2호
    • /
    • pp.111-119
    • /
    • 2016
  • Background: Shift work and/or sleep quality may affect health. We investigated whether shift work and sleep quality, separately and jointly, were associated with abnormal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TC), and low-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360 police officers (27.5% women). Methods: Triglycerides, TC, and high-density lipoprotein were analyzed on the Abbott Architect; low-density lipoprotein was calculated. Shift work was assessed using City of Buffalo payroll work history records. Sleep quality (good, ${\leq}5$; intermediate, 6-8; poor, ${\geq}9$) was assess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questionnaire. A shift work + sleep quality variable was created: day plus good sleep; day plus poor sleep; afternoon/night plus good; and poor sleep quality. Mean values of lipid biomarkers were compared across categories of the exposures using analysis of variance/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Shift work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pids. However, as sleep quality worsened, mean levels of triglycerides and TC gradually increased but only among female officers (age- and race-adjusted p = 0.013 and 0.030, respectively). Age significantly mod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TC. Among officers ${\geq}40$ years old, those reporting poor sleep quality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level of TC ($202.9{\pm}3.7mg/dL$) compared with those reporting good sleep quality ($190.6{\pm}4.0mg/dL$) (gender- and race-adjusted p = 0.010). Female officers who worked the day shift and also reported good sleep quality had the lowest mean level of TC compared with women in the other three categories (p = 0.014). Conclusion: Sleep quality and its combined influence with shift work may play a role in the alteration of some lipid measures.

Tea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female but not male populations in Guangzhou, China

  • Chen, Ying;Ye, Yanfang;Zhang, Zhen;Zhang, Chi;Chen, Minyu;Pang, Jun;Zhou, Shuxian;Xiang, Qiuli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5호
    • /
    • pp.393-398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e association between tea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CHD) remains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ea consumption has an effect on CHD risk in Chinese adults. SUBJECTS/METHODS: In this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267 cases of CHD and 235 non-CHD controls were enrolled. Blood samples from all cases were examined. Cardiac function indice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lactate dehydrogenase, and creatine kinase of the muscle or brain type), blood lipid index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blood coagulation function indices (fibrinogen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were recorded. Tea consumption of study participants was assessed by a specifically designed questionnaire.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s were recorded, and CHD-related biomarkers were detected.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amined using t-tests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chi-squared tests for categorical variables.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measure the association between tea and CH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ac function indices, blood lipid index, and blood coagulation indices between CHD cases and controls (P < 0.05). We found tea consumption reduced CHD risk in female participants (adjusted odds ratio (OR) = 0.484, 95% CI: 0.242-0.968, P = 0.0403). Regarding the type of tea consumed, the risk of CHD was reduced in women who drank partially fermented tea (adjusted OR = 0.210, 95% CI: 0.084-0.522, P = 0.0008). Analytic results for the amount of tea consumed per unit time showed CHD risk was reduced in women who consumed 1-2 cups of tea per day (adjusted OR = 0.291, 95% CI: 0.131-0.643, P = 0.0023). A tea-drinking frequency of > 6 days/week was beneficial for CHD prevention (adjusted OR = 0.183, 95% CI: 0.049-0.679, P = 0.0112). W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ea consumption, the risk of CHD was reduced in participants who had been drinking tea for 10-20 years (adjusted OR = 0.360, 95% CI: 0.137-0.946, P = 0.0382). CONCLUSIONS: Tea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HD in female but not male populations in Guangzhou.

Cocoa: a functional food that decreases insulin resistance and oxidative damage in young adults with class II obesity

  • Jose Arnold Gonzalez-Garrido;Jose Ruben Garcia-Sanchez;Carlos Javier Lopez-Victorio;Adelma Escobar-Ramirez;Ivonne Maria Olivares-Corich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228-240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Cocoa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health benefits due to its high content of polyphenols. However, the effects of short-term cocoa consumption remain unclear.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generated by cocoa consumption (for 7 days) in young adults in normoweight and class II obesity. SUBJECTS/METHODS: Before-and-after study was carried out in normoweight (NW) (n = 15) and class II obesity (CIIO) (n = 15) young adults. The NW and CIIO participants consumed 25 and 39 g of cocoa, respectively, per day for 7 days. The effect of cocoa consumption was evaluated on the lipid profile, insulin resistance (IR), and inflammation. Oxidative damage was also examined by assessing the biomarkers of oxidative damage in plasma. In addition, recombinant human insulin was incubated with blood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and the molecular damage to the hormone was analyzed. RESULTS: Cocoa consumption resulted in decrease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in both groups (P = 0.04), while th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maintained at the recommended levels. Initially, IR was detected in the CIIO group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 = 4.78 ± 0.4), which is associated with molecular damage to insulin. Interestingly, intervention with cocoa resulted in improved IR (HOMA = 3.14 ± 0.31) (P = 0.0018) as well as molecular damage to insulin. Finally, cocoa consumption significant decreased the arginase activity (P = 0.0249) in the CIIO group; this is a critical enzymatic activity in the inflammatory process associated with obesity. CONCLUSIONS: The short-term consumption of cocoa improves the lipid profile,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prot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coa consumption can potentially improve IR and restore a healthy redox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