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or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6초

백자인 추출물에 의한 pancreatic lipase의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Thujae orientalis Semen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Activity)

  • 김민수;김보연;박찬선;윤병대;안순철;오원근;안종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28-332
    • /
    • 2006
  •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국내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lipase 활성에 대한 저해능력이 있는 식물추출물은 탐색한 결과 대복피, 계혈등, 오배자 및 백자인의 식물추출물을 선정하였다.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우수한 백자인으로부터 클로로포름 용매추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 세파덱스 LH-20 컬럼크로마토그라피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 물질로 TF-1, TF-2, TF-3를 분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porcine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활성물질 TF-1, TF-2, TF-3 및 orlistat의 porcine pancreatic lipase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44.7, 98.7, 46.1 및 $27.6{\m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물질 TF-2와 orlistat의 경우에는 $10{\mu}g/ml$의 농도에서 NIH-3T3 L1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도 억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개에서 Oleic acid로 유발시킨 급성췌장염에 대한 Trypsin inhibitor의 투여효과 (Effects of Trypsin Inhibitors on Oleic acid Induced Acute Pancreatitis in Dogs)

  • 윤영민;최희인;조명행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2호
    • /
    • pp.158-164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ypsin inhibitors, aprotinin and urinary trypsin inhibitor (UTI), on the cute pancreatit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dogs of acute pancreatitis induced by oleic acid (0.28 mg/kg). Administration with aprotinin and UTI seemed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on the clinical sign, ultrasonographic finding, histopathologic finding. But in amylase and lipase activ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 PDF

Diarylheptanoid Isolated from Alpinia officinarum Inhibits Pancreatic Lipase

  • Shin, Ji-Eun;Song, Myoung-Chong;Han, Myung-Joo;Baek, Nam-In;Kim, Dong-H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26.1-226.1
    • /
    • 2003
  • Pancreatic lipase-inhibitory activity of the rhizome of Alpinia officinarum (AO) and its antihyperlipidemic activity were measured. When water extract of AO was stepwise fractionated with organic solvents, ethylacetat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otent inhibition. From it, Diarylheptanoid was isolated as an inhibitor of pancreatic lipase and we investigated its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lipase activity and in vivo antihyperlipidemic effect. (omitted)

  • PDF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Phellinus linteu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s

  • Lee, Jong-Kug;Song, Jung-Hwa;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58-61
    • /
    • 2010
  • In an effort to develop novel mushroom-derived anti-obesity nutraceuticals, water and ethanol extracts containing the lipaseinhibitory compound from Phellinus linteus were prepared, and their nutritional components were deter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of P. linteus lipase inhibitor involved the treatment of the fruiting bodies with distilled water at $80^{\circ}C$ for 72 hr and 80% ethanol at $100^{\circ}C$ for 60 hr, respectively.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contained 10.9% and 6.11% of crude protein, and 0.96% and 15.86% of crude fat,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distilled water extract contained a large quantity of minerals, including 239.5 mg of K, 39.3 mg of Mg, and 39.3 mg of Na.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ethanol extracts, and in particular, the distilled water extracts contained 5,139 mg of asparagine, 3,891 mg of tryptophan, 2,598 mg of alanine, and 2,066 mg of serine in 100 g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s. 100 g of the distilled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found to contain 12.31 g and 8.16 g of malic acid, respectively.

피망고추(Capsicum annuun Lin.) 중의 조(粗) Lipase Activator 의 분리와 그 특성 (Separation and Properties of Crude Lipase Activator from Green Pepper, Capsicum annuun Lin.)

  • 김병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8
    • /
    • 1990
  • 피망고추 중에 함유되어 있는 L. Activator 를 0.85M NaCl 용액으로 추출하고 ammonium sulfate 0.2포화시켜 분리한 후 그의 성질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조 L.Activator (농도 $OD_{280}=1.0$)는 1.0ml 이내의 범위에서 첨가량에 비례하여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며 $35^{\circ}C$에서 작용력이 가장 높았다. 이 L.Activator는 $5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가장 큰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에도 약 60%의 활성이 잔존되어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었다. 또 pH안정성의 경우는 pH7-9의 약알카리성 쪽에서 가장 큰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pH3에서 72%, pH 10에서 85%의 활성이 잔존되는 등의 대단히 큰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 L. Activator는 $Na^+,\;Mg^{++},\;and\;Ca^{++}$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이온에 의해서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g^+\;,\;Hg^{++}$등 중금속의 L. Activator 활성저하 영향은 일반적인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서는 그리 현저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 L. Activator 는 cellulofin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서 4개의 peak로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 활성 peak는 L. Inhibitor 에서 분리된 activatory peak와 일치되었다. 이 L. Activator 의 활성 peak에는 단백질 이외에 RNA, lipid 등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당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 PDF

Eisenia bicyclis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Mode (Lipase Inhibitory Mode of Dieckol Isolated from Eisenia bicyclis Ethanol Extract)

  • 정슬아;김꽃봉우리;김동현;조지영;김태완;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2-118
    • /
    • 2013
  • 대황 ethyl acetate 분획은 $IC_{50}$ 값이 1.31 mg/ml으로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으로부터 얻은 sub-fraction 중 EA1 fraction이 $IC_{50}$ 값 0.54 m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HPLC를 이용하여 8개의 sub-fraction으로 분리하였다. HPLC fraction 중 fraction 5가 $IC_{50}$ 값 0.37 mg/ml로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 fraction 5는 분자량 741.1로 $C_{36}H_{22}O_{18}$ 화합물인 phlorotannin derivative dieckol로 확인되었으며 lipase에 대해 비경쟁적 저해타입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활성 및 저해 타입 확인을 통해 식품 산업에 항비만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폴리에스터 직물의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 및 염화칼슘의 영향 (Effects of Triton X-100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of PET Fabrics)

  • 김혜림;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11-917
    • /
    • 2008
  • 본 연구는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첨가제에 따른 수분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활성제(염화칼슘)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Triton X-100) 첨가가 수분율, 접촉각, 흡수속도, 표면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율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첨가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파제의 활성제로 알려진 염화칼슘 첨가 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리파제 처리 시 염화칼슘이 10mM이상 첨가된 경우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이 증가되었다.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표면관찰 결과, 섬유표면에 생성된 보이드와 크랙이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은 리파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염화칼슘은 리파제의 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태 추출물이 지니는 Lipase 저해활성의 열 및 pH 안정성 (Inhibitory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Lipase Activity and Stability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 정지연;김꽃봉우리;이청조;곽지희;김민지;김동현;선우찬;김태완;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69-974
    • /
    • 2011
  •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20분, $121^{\circ}C$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gulation of Lipolysis in Adipose Tissue

  • Serr, Julie;Li, Xiang;Lee, Kic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4호
    • /
    • pp.303-314
    • /
    • 2013
  • Knowledge regarding lipid catabolism has been of great interest in the field of animal sciences. In the livestock industry, excess fat accretion in meat is costly to the producer and undesirable to the consumer. However, intramuscular fat (marbling) is desirable to enhance carcass and product quality. The manipulation of lipid content to meet the goals of animal produc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mechanisms of lipid catabolism to help meticulously design nutritional, pharmacological, and physiological approaches to regulate fat accretion. The concept of a basic system of lipases and their co-regulators has been identified. The major lipases cleave triacylglycerol (TAG) stored in lipid droplets in a sequential manner. In adipose tissue,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performs the first and rate-limiting step of TAG breakdown through hydrolysis at the sn-1 position of TAG to release a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and diacylglycerol (DAG). Subsequently, cleavage of DAG occurs via the rate-limiting enzyme hormone-sensitive lipase (HSL) for DAG catabolism, which is followed by monoglyceride lipase (MGL) for monoacylglycerol (MAG) hydrolysis. Recent identification of the co-activator (Comparative Gene Identification-58) and inhibitor [G(0)/G(1) Switch Gene 2] of ATGL have helped elucidate this important initial step of TAG breakdown, while also generating more questions. Additionally, the roles of these lipolysis-related enzymes in muscle, liver and skin tissue have also been found to b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investigation of systemic lipolytic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