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nic acid methyl este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여러 pH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녹엽단백질(綠葉蛋白質)의 지방산(脂肪酸)과 Sterol조성(組成) (Fatty Acid and Sterol Composition of Leaf Protein Coagulated at Different pH)

  • 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9-263
    • /
    • 1983
  • 응고시(凝固時) pH에 따라 green LPC중(中)의 지방산(脂肪酸)관 sterol의 조성(組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져 Italian ryegrass, red clover, oats 및 alfalfa의 녹즙(綠汁)을 pH 4, 6, 8로 조성하여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green LPC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Italian ryegrass, oats 및 alfalfa의 green LPC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고, 이 세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가 전체지방산(全體脂肪酸) methyl ester의 70.4%에서 86.2%를 점유했다. red clover의 green LPC는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았고 이 세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는 전체지방산(全體脂肪酸) methyl ester의 82.5%에서 86.2% 범위였다. 2. red clover, oats 및 alfalfa의 green LPC는 pH4, pH6,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한 LPC순(順)으로 linolenic acid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Italian ryegrass의 green LPC는 pH4, pH8, pH6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킨 LPC순(順)으로 linolenic acid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3. red clover와 alfalfa의 green LPC에서 cholesterol이 검출(檢出)되었다. 모든 green LPC에서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이 검출(檢出)되었다. 4. 일반적으로 pH6, pH4,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green LPC순(順)으로 sterol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다만 alfalfa의 green LPC는 pH4, pH6,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LPC순(順)으로 sterol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X.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뿌리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 방면호;이대영;한민우;오영준;정해곤;정태숙;최명숙;이경태;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33-237
    • /
    • 2007
  • 순무 뿌리로부터 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 하기 위하여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 농축하여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EtOAc분획, n-BuOH분획, $H_{2}O$분획으로 나누었으며, EtOAc분획과 n-BuOH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1}H-NMR$, $^{13}C-NMR$, DEPT spectrum 및 Mass spectrum 등을 통하여 palmitic acid methyl ester(1), linolenic acid methyl ester(2), linoleic acid methyl ester(3), ${\beta}-sitosterol$(4), daucosterol(5)으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Cellular growth and fatty acid content of Arctic chlamydomonadalean

  • Jung, Woongsic;Kim, Eun Jae;Lim, Suyoun;Sim, Hyunji;Han, Se Jong;Kim, Sanghee;Kang, Sung-Ho;Choi, Han-Gu
    • ALGAE
    • /
    • 제31권1호
    • /
    • pp.61-72
    • /
    • 2016
  • Arctic microalgae thrive and support primary production in extremely cold environment. Three Arctic green microalgal strains collected from freshwater near Dasan Station in Ny-Alesund, Svalbard, Arctic,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and contents of fatty acids.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for KNF0022, KNF0024, and KNF0032 was between 4 and 8℃. Among the three microalgal strains, KNF0032 showed the maximal cell number of 1.6 × 107 cells mL-1 at 4℃. The contents of fatty acids in microalgae biomass of KNF0022, KNF0024, and KNF0032 cultured for 75 days were 37.34, 73.25, and 144.35 mg g-1 dry cell weight, respectively. The common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analyzed from Arctic green microalgae consisted of palmitic acid methyl ester (C16:0), 5,8,11-hep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C17:3), oleic acid methyl ester (C18:1), linoleic acid methyl ester (C18:2), and α-linolenic acid methyl ester (C18:3). KNF0022 had high levels of heptadecanoic acid methyl ester (26.58%) and hep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22.17% of the total FAMEs). In KNF0024 and KNF0032, more than 72.09% of the total FAMEs consisted of mon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leic acid methyl ester from KNF0032 was detected at a high level of 20.13% of the FAMEs. Arctic freshwater microalgae are able to increase the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under a wide range of growth temperatures and can also be used to produce valuable industrial materials.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의 산화 특성 I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and Its Blend Fuel I)

  • 정충섭;동종인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84-290
    • /
    • 2007
  •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과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유를 대상으로 산화 특성과 지방산메틸에스터 함량 등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자동차용 연료로서의 품질특성을 파악하였다.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은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85 wt% 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특히 활성 메틸렌기를 함유한 다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60 wt% 이상 함유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자동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반응시 주요 반응물질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였으며, 이들의 라디칼 자동산화에 의해서 비점이 약 $500^{\circ}C$ 전 후에 있는 탄소수 36 전 후의 고분자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무채(xBrassicoraphanus)의 화학성분 분리 (Isolation of Chemical Compounds from xBrassicoraphanus)

  • 이연희;안규석;이수성;박영두;유시용;김성훈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3-408
    • /
    • 2007
  • xBrassicoraphanus is an intergenic breed crossed between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and Raphanus sativus L. that have been daily consumed. xBrassicoraphanus was known to have good tastes and biological activities. Nevertheless, its constituetnts were not elucidated yet. Thus, in the present study, to indirectly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xBrassicoraphanus,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xBrassicoraphanus.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xBrassicoraphanu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linolenic acid and coniferyl alcohol, while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roots of were xBrassicoraphanus were characteriz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1-methoxyindole-3-acetonitrile, goitrin, 4-hydroxycinnamyl alcohol, coniferyl alcohol, palmitic acid and daucosterol. These can be classified as three steroids, two indole cyanides, two cinnamic acid derivatives, one cinnamyl alcohol derivative, three fatty acid derivatives one isothiocyan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s isolated from xBrassicoraphanus were almost identical with known components of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or Raphanus sativus L.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about the difference of amounts of constituents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ant species amounts.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및 FPTase 저해 효과 측정-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FPTase-)

  • 김동현;송명종;한경민;방면호;권병목;김성훈;김대근;정인식;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57-360
    • /
    • 2004
  • 능소화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linoleic acid의 methyl ester,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beta}-sitosterol$ 및 daucosterol로 동정하였다. Daucosterol은 $14{\pm}0.04\;{\mu}M$$IC_{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한국산 해면의 지질 성분 연구 (Lipids Constituents of the Korean Marine Sponges)

  • 김인규;박선구;박성혜;장성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89
    • /
    • 1991
  • 한국 남해안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V.japonica H.로부터 통상적인tetradecanoic 및 hexadecanoic methyl ester 이외에 탄소가 홀수인 pentadecanoic, heptadecanoic methyl ester와 가지달린 12-methyltetradecanoic, 14-methylpentadecanoic, 15-methylhexadecanoic 및 14-methylhexadecanoic methyl ester가 발견되었으며, 주 sterol 성분으로는 cholesterol과 소량의 ergost-25-ene-3,5,6-triol이 검출되었다. 한편, 여수 돌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H.sinapium의 주 sterol성분은 5${\alpha}$-cholestan-3${\beta}$-ol이었고 cholesterol은 소량으로 얻어졌다. 지방산으로는 팔미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및 리놀레인산 에틸에스터 이외에 상당량의 arachidonic산 에틸에스터가 함유되어 있었다. 상기 지역에서 채집한 또 다른 해면에서는 상당량의 tetradecanoic tetradecyl 및 hexadecyl ester와 sterol 성분으로 cholesteryl acetic 및 fatty acid ester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으로부터 분리한 지질화합물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 (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pids from the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 곽호영;이상진;이대영;배낙현;정낙훈;홍성렬;김계원;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42-147
    • /
    • 2008
  • Rhizopus oryzae KSD-815를 밀에 접종하여 만든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에서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종하였다. 건조된 누룩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은 다시 80% MeOH 과 n-hexane 으로 분획하였다. n-Hexane 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GC/MS 등을 통하여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2(palmit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3(linoleic acid), 화합물 4(palmitic acid)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지방산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유래 유방암(MDA-MB-231)과 간암(SK-HEP-1)세포주에 대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두 암 세포주에서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또 염증반응 매개체의 일종인 nitric oxice(NO)의 생성 억제 활성을 Griess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LPS와 IFN-${\gamma}$에 의해 유도 된 NO 생성도 저해하는 것을 RAW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분석(脂肪酸分析) (Analysis of Fatty Acid in Rice Bran Oil by Gas Chromatography)

  • 정태명;신종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29-33
    • /
    • 1968
  • 1. 미강유중(米糠油中)의 함존지방산(含存脂肪酸)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으며 이상(以上) 3종(種) 지방산(脂肪酸)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다. Stearic acid, myristic acid와 Linolenic acid는 극소량(極少量) 함유(含有)되어 있을 뿐이며 $C_{12}$ 이상(以上)의 산(酸)은 그 흔적(痕迹)이 보이지 않았다. 2. 표준(標準) 지방산(脂肪酸) Methyl로서 구(求)한 보정계수(補正係數)는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있어서 $C_{18}$까지는 탄소수(炭素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커지고 또 동일탄소수(同一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는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에 따라 커지고 있다. 3.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의 Retention time의 대수치(對數値)는 포화산(飽和酸)의 탄소수(炭素數), 또는 같은 탄소수(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 그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와의 사이에 직선관계(直線關係)가 있다는 것을 확인(確認)했다.

  • PDF

오리고기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

  • 남현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34-37
    • /
    • 1977
  • 오리고기를 가식부(可食部)만을 n-Hexane으로 지방(脂肪)을 용출(溶出)하고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ster시켜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고 몇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자(性資)를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오리고기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64.87%, 단백질(蛋白質) 19.06%, 조지방(粗脂肪) 17.3%, 회분(灰分) 1.12%로 닭고기에 비(比)하여 지방(脂肪)은 다소 많았다. 2. 용매(溶媒)의 종류에 따라 용출량(溶出量)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Ethylether에 79.57%, chloroform에 70.15%, n-Hexane에 72.35%로 나타났다. 3.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脂肪)의 chemical constant는 산가(酸價) 5.01, 검화가 201.5, 요오드가(價)카 50.1, 카보널가(價) 4.5%를 나타냈다. 4.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하며 분석(分析)하여 오리고기(Leg portion)는 Myristic acid 0.12%, palmitic acid 17.2% , Stearic acid 3.1%, Oleic acid 45.9%, Linoleic acid 19.9%, Linolenic acid 1.6%를 나타냈고, 오리고기(Breast portion)는 Myristic acid 0.17%, Palmitic acid 17.1%, stearic acid 3.3%, Oleic acid 51.2%, Linoleic acid 17.2%, Linolenic acid 1.7%이었고, arachidonic acid는 측정되지 않았다. 5. 오리피의 cholesterol은 total 200mg%, Breast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otal은 260mg%, Leg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atal은 400mg% 이었다. $\divideontimes$ 본연구(本硏究)는 1976년도(年度) 광주서원전문학교(光州瑞元專門學校) 학술연구조성비에 의(依)하여 행(行)한 것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