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stone zon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수산리(水山里)-황강리지역(黃江里地域)의 지질구조(地質構造)와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The Study of Structure and Petrology of The Area Between Susanri and Hwanggangri)

  • 김옥준;김규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7권3호
    • /
    • pp.101-122
    • /
    • 1974
  •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between Susanri and Hwanggangri where the formations of Okcheon group and Chosun group supposedly come in contact so that the area is structurally very import.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 from south to north along contact zone of Okcheon and Chosun groups in the center of the area. Meta-volcanic rocks seem to be originated from the andesite or andesitic basalt rocks which was known to be Surchangri formation consist of phyllite and black slate by previous workers. The meta-volcanic rocks intruded along the fault zone one existed between Okcheon and Chosun groups but obliterated at present by the intrusion of volcanic rocks. The fault seems to be overthrust, and one of the positive evidences of thrust fault is the Yamisan nappe structure in Yamisan near Susanri. This interpretation coincides with O.J. Kim's work which states that the Precambrian Okcheon group is largely overturned and thrusted over the Chosun group. The relation between the Surchangri and the Majeonri formation marks facies change. This fact together with northpluging anticlinal structure made it possible that both formation came into contact along direction without fault. Yongam formation is not overlain unconformably used to be believed by previous workers, but interbed in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Chosun goup. It is also clarified that the rock formerly designated as limesilicate rock was meta-liparite. The origin of amphibole pebbles in the Kunjasan formation is of primary and secondary ones; the secondary pebbles were formed by metamorphism of the fragments of limestone or dolomite.

  • PDF

상동(上東) 중석광상(重石鑛床)의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연구(硏究) (Fluid Inclusion Study of Sangdong Tungsten Deposits)

  • 문건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12권4호
    • /
    • pp.197-206
    • /
    • 1979
  • Sangdong scheelite deposit is confirmed to have been formed by replacement of limestone beds by metasomatic mineralization. Mineralogical zonal distribution and filling temperatures are related with order of its formation and tungsten mineralization. The first formed garnet-pyroxene zone, left in the margins of the ore body, shows the highest filling temperature of fluid inclusions in pyroxene, averaging $420^{\circ}C$. The central part of the ore body, mainly composed of quartz-mica-scheelite, shows higher fi11ing temperatures of fluid inclusions in quartz, than hornblende-quartz-scheelite zone surrounding the quartz-mica-scheelite zone, averaging $240^{\circ}C$. The distribution of highter filling temperatures above average temperature is applicable to the richest part of scheelite distribution. Generally scheelite shows higher filling temperature by about 20 to $100^{\circ}C$ than quartz in a given sample.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main phase of scheelite deposition is $311^{\circ}C$ at the pressure of 230 to 500 bars at Sangdong area. Gas-rich inclusions in the pyroxene are homogenized into either gas or liquid phase or into both phases in a given crystal of the pyroxene, which suggests boiling at the formation of skarn.

  • PDF

지하채굴공동에서 굴착방법에 따른 발파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lasting Vibration from Different Excavation Methods in Underground Mine)

  • 강추원;류복현
    • 화약ㆍ발파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06
  • 최근 대부분의 석회석 광산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노천채광에서 지하채굴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노천채광과 같은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갱도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갱도 및 광주의 규모 그리고 굴착방법 등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갱도의 동시 발파 혹은 단일갱도 내에서 좌운반갱도와 사갱을 동시 발파, 두 갱도를 다단 발파 그리고 각각의 갱도를 단독 발파하여 굴착했을 때의 발파진동을 계측하여 각각의 굴착방법에 따라 발파진동식을 산출하여 노모그램 분석과 암반손상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결-융해작용에 따른 암석풍화의 특성 (The Effect of a Freeze-Thaw Cycle on Rock Weathering: Laboratory Experiments)

  • 양재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6
    • /
    • 2011
  • 암석의 풍화작용은 지형발달에 있어 물질의 준비과정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 중 동결-융해작용은 한대지역이나 주빙하 지역뿐만 아니라 심지어 온대지역에서도 암석을 파괴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세스로 여겨져 왔다. 화강암(생암, 반풍화층), 편마암, 석회암, 돌로마이트의 슬랩시편 각각 10개를 -25℃~+30℃의 조건으로 동결-융해를 180회 반복하고 이들의 풍화양상과 물리적 특성변화를 검토한 결과, 파쇄는 대기와 토양조건보다는 침수조건에서 좀 더 활발히 진전되었으며 공극률이 높은 석회암과 돌로마이트가 가장 심하게 파쇄되었다. 편마암은 표면에 crack, joint, fissure들이 발달해 있고 암석강도(SHV)가 가장 낮았음에도, 어떠한 물리적 변화나 풍화산물들이 생성되지 않아 풍화에 저항력이 매우 높은 암석으로 나타나고 있다.

Landscapes and Ecosystems of Tropical Limestone: Case Study of the Cat Ba Islands, Vietnam

  • Van, Quan Nguyen;Duc, Thanh Tran;Van, Huy Din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23-36
    • /
    • 2010
  • The Cat Ba Islands in Hai Phong City, northern Vietnam, consist of a large limestone island with a maximum height of 322 m above sea level and 366 small limestone islets with a total area of about $180\;km^2$. The islands are relicts of karst limestone mountains that became submerged during the Holocene transgression 7000 - 8000 year ago. The combination of the longtime karst process and recent marine processes in the monsoonal tropical zone has created a very diversity landscape on the Cat Ba Islands that can be divided into 3 habitat types with 16 forms. The first habitat type is the karst mountains and hills, including karst mountains and hills, karst valleys and dolines, karst lakes, karst caves, and old marine terraces. The second habitat type is the limestone island coast, including beaches, mangrove marshe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notch caves, marine karst lakes, and bights. The third habitat type is karst plains submerged by the sea, including karst cones (fengcong) and towers (fengling), bedrock exposed on the seabed, sandy mud seabed, and submerged channels. Like the landscape, the biodiversity is also high in ecosystems composed of scrub cover - bare hills, rainy tropical forests, paddy fields and gardens, swamps, caves, beaches, mangrove forest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krast lakes, coral reefs, hard bottoms, seagrass beds and soft bottoms. The ecosystems on the Cat Ba Islands that support very high species biodiversity include tropical evergreen rainforests, soft bottoms; coral reefs, mangrove forests, and marine karst lakes. A total of 2,380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the Cat Ba Islands, included 741 species of terrestrial plants; 282 species of terrestrial animals; 30 species of mangrove plants; 287 species of phytoplankton; 79 species of seaweed; 79 species of zooplankton; 196 species of marine fishes; 154 species of corals; and 538 species of zoobenthos. Many of these species are listed in the Red Book of Vietnam as endangered species, included the white-headed or Cat Ba langur (Trachypithecus poliocephalus), a famous endemic species. Human activities have resulted in significantly changes to the landscape end ecosytems of the Cat Ba islands; however, many natural aspects of the islandsd have been preserved. For this reason, the Cat Ba Islands were recognized as a Biological Reserved Area by UNESCO in 2004.

마성분지(麻城盆地)의 지형생성작용(地形生成作用) (Geomorphic Processes of Masung Basin)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9-49
    • /
    • 1996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대에는 고생대의 퇴적암과 변성암 산지로 둘러싸인 석회암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성분지의 주변에 분포하는 완만한 구릉지의 지형생성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릉지에 피복된 퇴적층을 분석하였으며, 구릉지의 종단면에서 거리와 고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구릉지와 지질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밝혀진 마성분지의 지형생성작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적층은 구릉지의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퇴적층내 대부분의 역은 석회암질이며, 배후산지와 구릉지의 접경부에서 침식된 물질이다. 퇴적층은 분급은 양호하나 imbrication이 불량하다. 둘째, 분지 주변의 구릉지(해발고도 $160{\sim}230m$)는 '유로(流路)를 갖는 유수(流水)'의 작용으로 형성되었다. 지속적인 유수의 작용으로, 경암과 연암이 접하는 경계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석회암이 신선한 기반암까지 침식되어 경사급변점이 나타났다. 셋째, 구릉지 형성 이후 배후산지가 협곡으로 개석되면서 생산된 boulder들이 구릉지의 퇴적층을 피복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성분지의 지형생성작용은 화강암 분지의 생성작용으로 제시되었던 '암석의 연경차에 따른 차별침식'과 궤를 같이 하고 있으나, '포상류에 의한 풍화물질의 제거'와는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강우 시 석회암 풍화토 사면의 안정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ope Analysis of Weathered Limestone Soils during Rainfalls)

  • 김종렬;강승구;강희복;박승균;박철원
    • 지질공학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장성군 일대의 석회암지대에서 강우로 인해 파괴된 절개사면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적ㆍ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강우로 인한 사면 안정 해석을 통해 사면구배의 변화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지역 석회암 풍화토는 석영, 정장석, 깁사이트, 침철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중은 2.73, 통일분류상 SC에 해당되며 모암에서 풍화가 진행되면서 칼슘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투수계 수는 2.56×10/sup -4/ cm/ sec 로서 실트 성 점토의 투수계수와 비슷한 값을 보였고 전단시험결과 불포화토에서 포화토로 변할수록 점착력은 3.0 t/㎡에서 0.72 t/㎡로 현저하게 줄어들며 내부마찰각 Φ 값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우로 인한 사면안정 해석시 강우강도를 고려한 침투심도를 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사면안정해석결과 침투심도가 클수록 사면의 안전율은 낮아져서 불안정하게 되고 침윤선을 고려한 절토사면의 최소안전율 1.5와 비교 시 강우를 고려한 석회암 풍화토의 절토사면 구배는 1 : 1.2이상 되어야 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포화토에서 포화토로 변할수록 점착력의 감소는 사면의 안전율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석회암 내 방사상 발파균열을 예측하기 위한 동적파괴과정 해석법의 입력물성 결정법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Parameters of Dynamic Fracture Process Analysis(DFPA) Code to Simulate Radial Tensile Cracks in Limestone Blast)

  • 김현수;강형민;정상선;김승곤;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6-13
    • /
    • 2013
  • 최근 채석장 및 광산의 파쇄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에 의한 민원과 환경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쇄설비를 지하공동으로 옮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파쇄설비 및 가공시설을 갱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의 굴착이 이루어져야 하고, 대형공동 주변암반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지하공동 주변암반의 안정성은 굴착 시공 시 발생되는 굴착손상영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최종파단면을 형성시키는 최외곽 발파공에 대한 정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지하광산에서 대형공동 및 영구갱도 굴착시 발생 가능한 발파균열길이 및 손상영역을 예측하기 위한 수치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석회암블록에 대한 발파실험을 수행하고 발생된 인장균열수 및 길이를 분석하여, 동적파괴과정해석코드의 주요 입력변수인 평균 미시적 인장강도를 결정하였다.

Borehole radar survey to explore limestone ca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 Kim Jung-Ho;Cho Seong-Jun;Yi Myeong-Jong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1호
    • /
    • pp.80-87
    • /
    • 2004
  • During excavation work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in a limestone area in Korea, several cavities were found, and construction work was stopped temporarily. Cavities under the bridge piers might seriously threaten the safety of the planned bridge, because they could lead to excessive subsidence and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reinforc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borehole radar reflection and tomography surveys were carried out, to locate cavities under the planned pier locations and to determine their sizes where they exist. Since travel time data from the crosshole radar survey showed anisotropy, we applied an anisotropic tomography inversion algorithm assuming heterogeneous elliptic anisotropy, in order to reconstruct three kinds of tomograms: tomograms of maximum and minimum velocities, and of the direction of the symmetry axis. The distribution of maximum velocity matched core logging results better than that of the minimum velocity. The degree of anisotropy, defined by the normalized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elocities, was helpful in deciding whether an anomalous zone in a tomogram was a cavity or not. By careful examination of borehole radar reflection and tomography imag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avities were delineated, and most of them were interpreted as being filled with clay and/or water. All the interpretation results implied that two faults imaged clearly by a DC resistivity survey wer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groundwater movement in the survey area, and therefor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avities. The method of reinforc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wa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results,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when construction work was resumed.

장군 연-아연-은 광상의 모암변질에 따른 원소분산 (Element Dispersion by the Wallrock Alteration of Janggun Lead-Zinc-Silver Deposit)

  • 유봉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6호
    • /
    • pp.623-641
    • /
    • 2012
  • 장군 연-아연-은 광상은 열수교대형 광상이다. 모암변질시 원소 분산을 알아보기 위해 모암, 열수변질대 및 연-아연-은 광맥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 광상은 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작용으로 구성된 열수작용이 현저히 인지된다. 모암은 돌로마이트와 석회암이며 구성광물은 방해석, 돌로마이트, 석영, 금운모 및 흑운모 이다. 연-아연-은 광맥과 접촉한 부분에서 관찰되는 능망간석대는 주로 능망간석이 산출되며 소량 방해석, 돌로마이트, 쿠트나호라이트, 유비철석,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및 황석석 등이 산출된다. 연-아연-은 광맥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관찰되는 돌로마이트대는 주로 돌로마이트가 산출되고 소량 방해석, 능망간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및 황석석 등이 산출된다. 모암변질시 주원소, 미량 및 희토류원소들간의 상관계수는 $Fe_2O_3(T)$/MnO, Ga/MnO 및 Rb/MnO(돌로마이트 및 석회암)가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MgO/MnO, CaO/MnO, $CO_2$/MnO 및 Sr/MnO(돌로마이트)와 CaO/MnO 및 Sr/MnO(석회암)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모암변질시 이득원소들은 $Fe_2O_3(T)$, MnO, As, Au, Cd, Cu, Ga, Pb, Rb, Sb, Sc, Sn 및 Zn 이고 손실원소들은 CaO, MgO, $CO_2$ 및 Sr 이다. 따라서 CaO, $CO_2$, $Fe_2O_3(T)$, MgO, MnO, Ga, Pb, Rb, Sb, Sn, Sr 및 Zn 등의 원소들은 모암이 돌로마이트내지 석회암인 열수교대형 광상의 탐사에 지시원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