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 Processes of Masung Basin

마성분지(麻城盆地)의 지형생성작용(地形生成作用)

  • 손명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ere is a limestone basin surrounded by the mountains consisted of Paleozoic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in the Masung, Munkyung city, Kyungsangpook d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geomorphic processes of the gentle hillslopes in the marginal piedmont of Masung basin. To do so, I analyzed deposits over hillslopes and the relation 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divide and the height(above sea level) at the longitudinal profile of the hillslope, and considered inte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s of the gentle hillslopes(less than 230m) and lithology. Geomorphic processes of Masung basin are as follow: (1) The depth of deposits over hillslope increases toward downstream of the hillslope. Most gravels within deposits, whose lithology is limestone, are those eroded at the boundary(overthrust fault zone) between the back-mountain and the hillslope. Deposits at the outward margin of hillslope is well sorted. and moderately imbricated. (2) Hillslope at the margin of the basin(160-230m asl) is formed by the action of 'the flow with channel'.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oft rock(limestone; basin floor) and hard rock(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 back-mountain), the relatively weak limestone is eroded to fresh bedrock by the subsequent action of the overland flow, and therefore discontinuity in slope appeared. (3) After hills lopes were formed, sediments(boulders and fine material) produced during dissection in back-mountain buried deposits over hillslope. In conclusion, geomorphic processes of Masung basin is 'differential erosion due to differentiation of lithological hardness' having suggested as geomorphic processes of granitic basin. However it is not 'removal of weathering material due to sheetflow' but 'erosion due to the overland flow with channel'.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대에는 고생대의 퇴적암과 변성암 산지로 둘러싸인 석회암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성분지의 주변에 분포하는 완만한 구릉지의 지형생성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릉지에 피복된 퇴적층을 분석하였으며, 구릉지의 종단면에서 거리와 고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구릉지와 지질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밝혀진 마성분지의 지형생성작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적층은 구릉지의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퇴적층내 대부분의 역은 석회암질이며, 배후산지와 구릉지의 접경부에서 침식된 물질이다. 퇴적층은 분급은 양호하나 imbrication이 불량하다. 둘째, 분지 주변의 구릉지(해발고도 $160{\sim}230m$)는 '유로(流路)를 갖는 유수(流水)'의 작용으로 형성되었다. 지속적인 유수의 작용으로, 경암과 연암이 접하는 경계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석회암이 신선한 기반암까지 침식되어 경사급변점이 나타났다. 셋째, 구릉지 형성 이후 배후산지가 협곡으로 개석되면서 생산된 boulder들이 구릉지의 퇴적층을 피복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성분지의 지형생성작용은 화강암 분지의 생성작용으로 제시되었던 '암석의 연경차에 따른 차별침식'과 궤를 같이 하고 있으나, '포상류에 의한 풍화물질의 제거'와는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