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stone powder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수축보상을 위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현장적용 (A Field Application of the Self-Compaction Concrete for Shrinkage Compensation)

  • 이상수;원철;박상준;김동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7-1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to apply the self-compaction concrete mixture to field, having not only high strength but also compensation for shrinkage without thermal crack under 4 sides outer restraint of the member. In the experimental mix, replacement ratio of limestone Powder, CSA expansive additives, and unit water were selected as parameters, using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And, bleeding test, expansibility test, hydration hea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s, when Cement is replaced with 35% limestone Powder, 6% CSA expansive additives at unit water 175kg/$m^3$, demanded performances of fresh and hardened self-compaction concrete are accomplished in the field application.

  • PDF

Modelling the performance of self-compacting SIFCON of cement slurries using genetic programming technique

  • Cevik, Abdulkadir;Sonebi, Mohammed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5권5호
    • /
    • pp.475-490
    • /
    • 2008
  • The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of applicability of Genetic programming approach (GP), adopted in this investigation, to model the combined effects of five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the mini-slump, the plate cohesion meter, the induced bleeding test, the J-fiber penetration valu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t 7 and 28 days of self-compacting slurry infiltrated fiber concrete (SIFCON). The variables investigated were the proportions of limestone powder (LSP) and sand, the dosage rates of superplasticiser (SP) and viscosity modifying agent (VMA), and water-to-binder ratio (W/B). Twenty eight mixtures were made with 10-50% LSP as replacement of cement, 0.02-0.06% VMA by mass of cement, 0.6-1.2% SP and 50-150% sand (% mass of binder) and 0.42-0.48 W/B. The proposed genetic models of the self-compacting SIFCON offer useful modelling approach regarding the mix optimisation in predicting the fluidity, the cohesion, the bleeding, the penetration,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석회석미분말을 혼입한 초저발열 매스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Ultra Low Heat Mass Concrete Containing Limestone Powder)

  • 하재담;김동석;김태홍;이종열;권영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1175-1180
    • /
    • 2000
  • Recently, the crack of concrete induced by the heat of hydration of cement is a serious problem for more greater, special and higher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The increasing concrete's temperature is mainly caused by the heat of hydration of cement and so, to control the thermal stress of concrete structure is desirable to use low heater material of hydration. There are many methods to diminish the increasing of concrete temperature such as using of low heat cement, addition of fly-ash, application of pre-cooling, etc., and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heat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low heat mass concrete using Low Heat Portland(KS Type IV) cement with 30% of limestone pow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side wall and bottom of No. 15 and 16 of underground LNG tank in Inchon.

LNG Tank용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 Design of the Self-Compaction Concrete for the LNG Tank)

  • 김동석;박상준;원철;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35-1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self-compaction concrete mixture, having not only high strength but also compensation of shrinkage without thermal crack under 4 sides outer restraint of the member. In the experimental mix, replacement ratio of limestone Powder, CSA expansive additives, and unit water were selected as parameters, using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And, bleeding test, expansibility test, hydration hea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s, when 35% of limestone Powder, 6% CSA expansive additives are replaced at unit water 175kg/$\textrm{m}^3$, demanded performances of fresh and hardened self-compaction concrete are accomplished.

LNG Tank용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 Design of the Self-Compaction Concrete for the LNG Tank)

  • 김동석;박상준;원철;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5-8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self-compaction concrete mixture, having not only high strength but also compensation of shrinkage without thermal crack under 4 sides outer restraint of the member. In the experimental mix, replacement ratio of limestone Powder, CSA expansive additives, and unit water were selected as parameters, using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And, bleeding test, expansibility test. hydration hea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s, when 35% of limestone Powder, 6% CSA expansive additives are replaced at unit water 175kg/$\textrm{m}^3$, demanded performances of fresh and hardened self-compaction concrete are accomplished.

석회석 미분말을 혼입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재의 특성 (Properties of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Mixed with Limestone Powder)

  • 한상묵;오향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3-30
    • /
    • 2008
  • UHPCC는 고성능, 고강도와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UHPCC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타 재료에 비해 단면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외국에서 수입하는 실리카흄이 많이 사용되는 배합이 되어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최밀 충전구성에 의한 UHPCC의 우수한 역학적 특성은 분체에 해당되는 아주 가는 입경의 골재를 치환함으로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실리카흄과 실리카플로우를 석회석 미분말로 치환된 UHPCC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실험 시편은 치환종류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압축강도와 플로우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SEM, XRD와 NMR 방법등을 사용하여 미세조직과 수화반응 현상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석회석 미분말로의 치환은 UHPCC 구조부재의 시공 단가를 감소시키며, 굳지 않은 UHPCC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치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골재의 입도분포 및 석회석 미분말 혼입율 변화에 따른 시멘트 모르터의 표면광택 특성 (Properties of the Surface-Glossing of Cement Mortar with th Grading of Aggregate and Contents of Limestone Power)

  • 김효구;조중동;천충근;조병영;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surface-glossing of cement mortar with the grading of aggregate and contents of limestone powd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degree of surface-glossing of cement mortar using river sand is higher than that of crushed sand. As F.M of aggregates is less than 2.78, degree surface-flossing of cement mortar has better performance, Also, as the contents of limestone power increase, degree of surface-flossing is shown to be improved, And it shows that degree of surface-glossing decrease with elapse of age.

  • PDF

석회석 혼합재의 화학성분과 치환량이 시멘트 초기 물성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and Replacement Ratio of Limestone Admixture on Initial Cement Characteristics)

  • 서동균;김규용;최재원;김경석;우지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40-448
    • /
    • 2023
  • 시멘트 산업의 원료대체 기술의 하나인 혼합재 활용 기술은 다른 기술에 비해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좋아 쉽고 빠르게 실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멘트 혼합재 중 석회석 분말은 핵형성효과, 화학적효과, 충전효과를 통해 시멘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시멘트 혼합재로써 적합성이 기대되는 재료이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양질의 석회석이 고갈되면서 점토질 또는 마그네시아(MgO) 함량이 높은 석회석의 사용이 점차 불가피해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서로 다른 품질의 석회석을 혼합한 석회석 시멘트의 기초 물성을 측정하여 혼합재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석회석 혼합재 화학성분과 상관없이 알라이트 반응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화학성분보다 치환량에 따른 희석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범위 내에서 석회석의 함량이 15 % 이내의 범위에서 중품위의 석회석도 혼합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시멘트 화학성분에 따른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석회석 혼합재의 화학성분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예정이다,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 저하용 혼화재료로서 폐석회석 미분말의 사용 가능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Wasted Limestone Powder as a Viscosity Reducing Material for Cement Based Materials)

  • 이향선;전종운;손배근;한동엽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23-1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 및 일반강도 영역의 물-결합재 비에 대해 시멘트계열 재료의 점도를 감소시키기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멘트 계열 재료의 유동성을 결정하는 것은 물-결합재 비 및 치환재료와 감수제가 있다. 이를 레올로지적으로 보았을 때 물-결합재 비가 낮은 경우 항복치와 점도를 낮추며 감수제의 경우 항복치 저감에 영향을 주지만 점도 저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물-결합재 비에 따른 폐석회석 치환에 대한 점도 저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폐석회석을 치환하였을 경우 점도 저하의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 제어에 유의미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를 낮추는 방안으로써 분체 치환에 의한 방안의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