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kelihood ratio orde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재밍 환경에서 잡음 부공간을 이용한 고속 모노펄스 방법 (Fast Monopulse Method Using Noise-Jamming Subspace)

  • 임종환;김재학;양훈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72-375
    • /
    • 2014
  • 재밍 환경에서의 maximum likelihood(ML) 기반의 모노펄스 기법은 공분산 행렬의 역행렬을 이용하여 재머 신호를 억제시킨다. 재머 억제를 위해서는 재머 성분에 대한 충분한 횟수의 스냅샷(snapshot)이 필요하며, 높은 PRF 환경에서는 이것이 가능하지 않아 실시간 추적에 한계가 있다. 또한, JNR(Jammer to Noise Ratio)이 낮은 경우에는 재머의 스냅샷 수가 충분하더라도 정확한 재머 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표적 방향 추정의 정확도가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재밍 환경에서 스냅샷이 적은 경우에도 ML 기반의 모노펄스 성능이 우수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공분산 행렬의 잡음 부공간을 이용하는 모노펄스 방법으로, 이의 유도 과정을 보이고,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것을 보인다.

일반화된 샘플링 계획에서의 가설 검정 (A Hypothesis Test under the Generalized Sampling Plan)

  • 김명수;오근태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9-87
    • /
    • 1998
  •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 of testing a one-sided hypothesis under the generalized sampling plan which is defined by a sequence of independent Bernoulli trials. A certain lexicographic order is defined for the boundary points of the sampling plan. It is shown that the family of probability mass function defined on the boundary points has monotone likelihood ratio, and that the test function is uniformly most powerful.

  • PDF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5-T 방식의 Rayleigh fading에서의 성능 (Performance of space -time coding for four transmit antennas on Rayleigh fading channel)

  • 이은옥;이혁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41-44
    • /
    • 2002
  • Alamouti proposes a two branch transmit diver-sity scheme that provides the same diversity order as maximal ratio combining at the receiver. It has many advantages of no bandwidth expansion, not requiring channel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and simple maximum likelihood decoding at the receiver. Papadias and Foschini extend this sch-eme to four transmit antennas and suggest several schemes to decrease the interference component and allow the attainment of the open-loop capacity. This paper shows the performance of ZF and MM-SE schemes comparing with ideal case on 4xl sy-stem over BER and 10% outage capacity.

  • PDF

GLR approach to failure diagnosis in a linear system with decentralized estimators

  • Kumamaru, Kousuke;Sagara, Setsuo;Sakae, Kouzo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1055-1058
    • /
    • 1988
  • A systematic way of failure diagnosis in a linear system with decentralized estimators is developed. The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G.L.R) approach to failur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s used for designing a diagnosis system in each subsystem based on the innovation analysis. For the simplicity of the theoretical formulation, a design scheme of failure diagnosis is developed for the system decomposed into two subsystem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several simulation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a third-order linear system which is constructed of a second-order damped oscillator and a first-order lag.

  • PDF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애추 분포 가능지역 추출 -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중심으로 - (Extraction of the Talus Distribution Potential Area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Weight of Evidence Model -)

  • 유재진;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47
    • /
    • 2014
  • 애추와 같이 인간의 접근이 쉽지 않은 지형의 현장조사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실제 현장조사 전에 대상 지형자원의 범위를 줄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형자원의 현장조사 범위를 줄이기 위해 기존 지형의 위치와 기타 GIS 정보 사이의 관계를 확률로 표현하는 자료유도형(target-driven) 공간통계기법인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였다.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애추와 관련된 지형요소를 선정한 후 지형요소와 GIS 정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우도비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주제도에 대한 경우의 수를 산정한 후, SRC 및 AUC 방법을 이용하여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조합을 찾았다.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주제도의 조합은 사면향도와 지질도, 경사도,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배수도의 조합으로, 애추 분포 가능지 면적비가 74.47%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Via Sequential Detection: A Method to Reduce the Sensing Time

  • Thanh, Truc Tran;Kong, Hyung-Yu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96-202
    • /
    • 2012
  • Spectrum sen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in cognitive radio systems. In this paper, we focus on reducing the sensing time in a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paradigm. In the proposed scheme, a sequential detection technique is employed to provide a robust and quick detection system. Each of the secondary users measures the log-likelihood probability of the received signals and then sequentially reports to the base station. Here, the maximum ratio combining (MRC) technique is employed to reduce the average sample number (ASN) in order to reduce the sensing time. This proposed scheme is analyzed and simulated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iven methods. Analysis and simulation are provid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Fuzzy Training Based on Segmentation Using Spatial Region Growing

  • Lee Sa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3-359
    • /
    • 2004
  •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unsupervisedly estimate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parameters of defining the classes in order to train the classifier. In the proposed method, the image is segmented using a spatial region growing based on hierarchical clustering, and fuzzy training is then employed to find the sample classes that well represent the ground truth. For cluster validation, this approach iteratively estimates the class-parameters in the fuzzy training for the sample classes and continuously computes the log-likelihood ratio of two consecutive class-numbers. The maximum ratio rule i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class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scheme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select the reg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existed on the scene of observed image as an alternative of field survey that is so expensive.

통계적 비선형 차원축소기법에 기반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구간검출 (Voice Activity Detection in Noisy Environment based on Statistical Nonlinear Dimension Reduction Techniques)

  • 한학용;이광석;고시영;허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86-994
    • /
    • 2005
  • 본 논문은 잡음 환경하에서 적응 가능한 음성구간검출를 구축하기 위하여 우도기반의 음성 특징 파라미터의 비선형 차원축소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차원축소 방법은 음성/비음성 클래스에 대한 가우시아 확률 밀도 함수의 비선형적 우도값을 새로운 특징으로 취하는 방법이다. 음성구간검출기의 음성/비음성 결정은 우도비 검증(LRT)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며, 선형판별분석(LDA)에 의한 차원축소 결과와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차원 축소 방법으로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2차원으로 축소한 결과가 원래 특징백터의 차원에서의 결과와 대등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Order-Restricted Inference with Linear Rank Statistics in Microarray Data

  • Kang, Moon-Su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37-143
    • /
    • 2011
  •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with unknown distribution in a small sample size often involves order-restricted constraints in multivariate parameter setups. Those problems make the optimality of a conventional likelihood ratio based statistical inferences not feasible. Fortunately, Roy (1953) introduced union-intersection principle(UIP) which provides an alternative avenue. Multivariate linear rank statistics along with that principle, yield a considerably appropriate robust testing procedure. Furthermore, conditionally distribution-free test based upon exact permutation theory is used to generate p-values, even in a small sample. Applications of this method are illustrated in a real microarray data example (Lobenhofer et al., 2002).

공간자료의 기하학적 비등방성 연구 (On the Geometric Anisotropy Inherent In Spatial Data)

  • 고혜지;박만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5호
    • /
    • pp.755-771
    • /
    • 2014
  • 등방성(isotropy)은 공분산 모형(covariance model)에 기반으로 공간 예측(spatial prediction)이라 불리우는 크리깅(kriging) 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주요 가정 중의 하나로 알려져있다. 공간 과정에서 등방성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신뢰성 예측을 생성하기 위해 비등방성 공분산 모형(covariance model)과 관련된 모수들(각도 및 비율)를 추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방향의 기하학적 비등방성 모형(geometrically anisotropic covariance models)의 가중 평균으로 표현되는 확장된 형태의 기하학적 비등방성(geometrically extended anisotropic) 공분산모형을 제안한다. 연구에 관심이 되는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을 이용하였다. 제안한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등방성 공분산모형과 기하학적 비등방성 모형을 고려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확장된 기하학적 비등방성 모형을 적용한 미세먼지 농도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