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extraction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2초

지정맥 인식을 위한 가상 코어점 검출 및 ROI 추출 (Virtual core point detection and ROI extraction for finger vein recognition)

  • 이주원;이병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5
    • /
    • 2017
  • 지정맥 인식 기술은 손가락에 적외선 광을 조광하여 손가락에 있는 정맥 영상을 획득한 다음, 특징 추출, 매칭 등의 과정을 거쳐 개인을 인증하는 방법이다. 지정맥 인식을 위해 손가락 외각을 검출함에 있어 2차원 마스크(mask)를 기반한 2차원 컨볼루션(2-Dimension convolution) 처리방법은 저가(low cost)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컨트롤러에 적용할 때 많은 연산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마스크와 2차원 컨볼루션을 사용하지 않고 픽셀들 간의 차의 절대 값과 역치(threshold)를 기반을 둔 이동평균필터링, 가상의 코어점 기반한 ROI 추출법 등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600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여 에지 추출속도와 ROI 영역 추출의 정확도 등을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의 처리속도가 기존의 방법보다 최소 2배 이상의 빠른 처리속도를 보였으며, ROI 추출의 정확도는 기존의 방법보다 6%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안된 기법을 저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적용한다면, 빠른 처리속도로 높은 인식률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얼굴 검출을 위한 피부색 추출 과정에서 피부색 손실 영역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kin Loss Area in Skin Color Extraction for Face Detection)

  • 김동인;이강성;한군희;이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피부색 추출과정에서 그림자나 조명에 의해 얼굴 표면이 손실되어 피부색 추출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얼굴 피부색 추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HSV를 이용한 방법은 조명에 의해 얼굴표면이 밝게 비춰지는 경우에 피부색 추출과정에서 피부색 요소가 손실되기 때문에 얼굴표면에 손실 영역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색을 추출한 뒤 손실된 피부 요소 중 HSV 색공간에서 피부색의 H 채널 값 범위에 있는 요소들을 판단하여 손실된 부분의 좌표와 원본 이미지 좌표의 결합을 통해 피부색이 손실되는 부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얼굴 검출 과정으로는 추출한 피부색 이미지에서 질감 특징정보를 나타내는 LBP Cascade Classifier를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RGB와 HSV 피부색 추출과 LBP Cascade Classifier 방법을 이용한 얼굴검출보다 검출률과 정확도는 각각 5.8%, 9.6%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분할과 중첩 기법을 이용한 항공 사진 상의 빌딩 경계 추출 (Extraction of Building Boundary on Aerial Image Using Segmentation and Overlaying Algorithm)

  • 김용민;장안진;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9-58
    • /
    • 2012
  • 도심지의 빌딩들은 시간이 갈수록 형태가 다양해지고, 식생이나 도로와 같은 객체들과 유사한 분광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광학 영상만을 이용하여 추출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공 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 자료와 항공 사진의 융합을 통해 항공 사진상에서의 빌딩과 그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항공 사진에 Adaptive dynamic range linear stretching 방사 강조 기법을 적용하고, 에디슨 에지 디텍터를 이용하여 이진 경계 지도를 생성하였다. 동시에 항공 LiDAR 자료로부터 normalized 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고, 빌딩 영역을 추출하여 이진 경계 지도와의 중첩을 통해 임시 빌딩 영역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항공 LiDAR 자료와 항공 사진 간의 위치 오차를 고려하여 경계 강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최종 빌딩 경계를 추출하였다. 제안 방법의 검증을 위해 두 개의 실험 지역을 선정하여 제안 방법을 적용하였고, 정량적인 정확도평가에서 F-measure, Jaccard coefficient, Yule coefficient, Overall accuracy의 값이 모두 0.85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PSS 상 버퍼층 종류에 따른 GaN 박막 성장 특성 비교 (GaN Film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ison in according to the Type of Buffer Layers on PSS)

  • 이창민;강병훈;김대식;변동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645-651
    • /
    • 2014
  • GaN is most commonly used to make LED elements. But, due to differences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lattice mismatch with sapphire, dislocations have occurred at about $109{\sim}1010/cm^2$. Generally, a low temperature GaN buffer layer is used between the GaN layer and the sapphire substrate in order to reduce the dislocation density and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 film, and thu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ED. Further, patterned sapphire substrate (PSS) are applied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is experiment, using an AlN buffer layer on PSS in place of the GaN buffer layer that is used mainly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GaN film,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overall properties of the thin film are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 AlN buffer layer was deposited by using a sputter and the AlN buffer layer thickness was determined to be 25 nm through XRD analysis after growing the GaN film at $1070^{\circ}C$ on the AlN buffer CPSS (C-plane Patterned Sapphire Substrate, AlN buffer 25 nm, 100 nm, 200 nm, 300 nm). The GaN film layer formed by applying a 2 step epitaxial lateral overgrowth (ELOG) process, and by changing temperatures ($1020{\sim}1070^{\circ}C$) and pressures (85~300 Torr). To confirm the surface morphology, we used SEM, AFM, and optical microscopy. To analyze the properties (dislocation density and crystallinity) of a thin film, we used HR-XRD and Cathodoluminescence.

센서를 이용한 수면환경 개선 (Enhanc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 신성윤;신광성;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485-24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면을 이루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채취하고 얻은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것을 기초로, 모의실험 모델을 추출하여 개인별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시스템의 실험은 온/습도 센서와 조도 센서로 구성된 H-MOTE2420 센서를 이용하였다. 수면 중 뒤척임의 추출을 위하여 비디오에서 움직임을 추출하는 차영상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수면에 영향을 끼칠만한 가중치의 정보로 피로한 정도, 음주의 정도, 공복의 정도 등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실험 결과 최적의 수면환경을 추출할 수 있었다. 향후, 수면의 특수한 상황뿐만 아니라 식사나 출근과 같은 유기적인 생활환경의 한 부분에도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실내 환경 변화를 제공해 주어서 좀더 쾌적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도록 개선하려 할 것이다.

MMS LiDAR 자료를 이용한 도로 주변 3차원 객체 추출 (Extraction of 3D Objects Around Roads Using MMS LiDAR Data)

  • 정윤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161
    • /
    • 2017
  • 모바일 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MMS)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정밀지도의 구축은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필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은 MMS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점군자료를 이용하여 도로주변의 3차원 객체 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MMS LiDAR 점군자료 이용하여 수치표면모형(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고, 생성된 DSM을 기반으로 경사도 지도를 제작하였다. 추출된 경사도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의 3차원 객체를 식별하였고, 모폴로지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도로주변의 3차원 객체 중 총 97%의 객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MMS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공간정보자료를 기반으로 도로 주변의 3차원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율주행기술의 활용성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liminary pharmacognostical and phytochemical evaluation of Stachys tibetica Vatke

  • Kumar, Dinesh;Bhat, Zulfiqar Ali;Kumar, Vijender;Chashoo, Ishtaq Ahmad;Khan, Nisar Ahmad;Ara, Irfat;Shah, Mohammad Yassin
    • 셀메드
    • /
    • 제2권1호
    • /
    • pp.11.1-11.7
    • /
    • 2012
  • Stachys tibetica Vatke (Lamiaceae)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in the folk medicine of Ladakh, India and Tibet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mental disorders. Infusion and decoction of the whole plant is used as a cup of tea for a severe fever, headaches and to relieve tension. The recent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preliminary pharmacognostical and phytochemical nature of Stachys tibetica Vatke. The whole plant material was subjected to successive soxhlet extraction with petroleum ether (40 - $60^{\circ}C$),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anol and finally decocted with water to get the respective extracts.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ed materials were analysed under ultraviolet light and ordinary light. Different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sh value, extractive value, foaming index, pH values, loss on drying and determination of foreign matter were carried out as per WHO guidelines. The total fat, flavonoid, saponin and volatile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Macroscopical studies revealed the authentication of the plant drug. Physicochemical parameters helped to standardize the plant material while preliminary qualitative chemical tests of different extracts showed the presence of Glycosides, Carbohydrates, Phytosterols/triterpenoids, Saponins, Fixed oils, Fats and phenols/tannins. Quantification of the total flavonoids and saponins and contents were determined as $54.66{\pm}0.58mg/g$ and $75.42{\pm}0.48mg/kg$ respectively, while the volatile and fat contents were 6.5% and 0.7% respectively. Results may lay the founda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drug and discovery of new molecules from S. tibetica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유역경계 추출을 위한 DEM별 전처리 방법과 격자크기 분석 (Preprocessing Methods and Analysis of Grid Size for Watershed Extraction)

  • 김동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0
    • /
    • 2008
  • 최근 지형정보 취득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의 개발로 수치지도,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의 Digital Elevation Model(DEM) 자료원이 다양해졌다. 이러한 DEM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 수문지형 특성인자 추출에 필요한 주요 자료원이다. 특히 DEM을 이용한 유역 추출은 최근의 오염총량관리 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당해 지역의 수계환경자료조사, 오염원조사, 오 폐수량 및 오염부하량 산정, 수질모델링 등의 공간적 경계를 구분 짓는 매우 중요한 공간자료이다. 지금까지의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연구가 격자크기나 전처리 방법에 따른 인자추출이 주를 이뤘으나, 이 연구에서는 LiDAR와 수치지도를 통해 작성한 DEM별 격자크기와 전처리방법에 따른 유역 추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2m 격자의 LiDAR DEM을 Agree burn으로 전처리한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슘 원자 증기 기반 광 증폭기의 온도와 빔 크기에 따른 광 증폭 특성 연구 (Study of the Variation of Opt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with Incident Beam Size and Temperature of a Cesium-vapor-based Optical Amplifier)

  • 류시헌;정유재;염동일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06-313
    • /
    • 2021
  • 버퍼가스와 세슘 증기가 혼합된 광 증폭 시스템을 구성하고 세슘 용기의 온도 및 빔 직경의 변화에 따른 광 증폭 특성을 조사하였다. 광 증폭인자 및 추출 효율 등 광 증폭기 특성이 세슘 용기의 온도 및 빔 직경에 따라 크게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90 ℃의 세슘 용기온도에서 200 ㎛ 직경을 가진 펌프(500 mW) 및 씨앗 광(10 mW)이 입사하였을 때 최대 56%의 광 추출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전산 모사를 통하여 계산한 광 증폭 특성이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와 합리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nticancer Activity of Acanthopanax trifoliatus (L) Merr Extracts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NF-κB Activity and Decreased Erk1/2 and Akt Phosphorylation

  • Wang, Hua-Qian;Li, Dong-Li;Lu, Yu-Jing;Cui, Xiao-Xing;Zhou, Xiao-Fen;Lin, Wei-Ping;Conney, Allan H.;Zhang, Kun;Du, Zhi-Yun;Zheng, X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341-9346
    • /
    • 2014
  • Acanthopanax trifoliatus (L) Merr (AT) is commonly used as an herbal medicine and edible plant in some areas of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AT is thought to have anticancer effects, but potential mechanisms remain unknown. To assess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AT, we exposed prostate cancer cells to AT extracts and assessed cell proliferation and signaling pathways. An ethanol extract of AT was suspended in water followed by sequential extraction with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and n-butanol. PC-3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ach extract an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MTT and trypan blue exclusion assays.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had a stronger inhibitory effect on growth and a stronger stimulatory effect on apoptosis than any of the other extracts. Mechanistic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ethyl acetate extract suppress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appa}B$, increased the level of caspase-3, and decreased the levels of phospho-Erk1/2 and phospho-Ak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AT in cultured human prostate cancer cells. The results suggest that AT can provide a plant-based medicin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prostate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