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brown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의 골프코스에서 Typhula spp.에 의해 발생하는 설부병의 동정 및 방제 (Identification and Chemical Control of Gray Snow Molds Caused by Typhula spp. on Golf Course in Korea)

  • 김정호;심규열;이혜민;문효선;김영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54
    • /
    • 2007
  • 2004년 3월에 전라북도에 위치한 한 골프장의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에 설부병이 발병되었다. 감염된 잔디잎들은 서로 엉켜저 매트화 되고, 흰색에서 회백색의 균사체들로 덮여있었다. 균핵들은 잔디의 엽신, 엽초 및 관부 위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병 잎으로부터 분리된 곰팡이는 직경이 1.4 mm 미만의 밝은 핑크에서 갈색의 불규칙한 모양의 균핵과 꺽쇠연결체, 흰색의 균사체 등을 형성하여 Typhula incarnata와 같은 특징을 보였다. 분리된 T. incarnata의 균사생육 적온은 $5{\sim}15^{\circ}C$이었다. 원인균의 ribosomal RNA IST1의 부분 염기서열은 GeneBank database에 등록된 T. incarnata의 부분 염기서열과 91%로의 상동성을 보여 T. incarnata로 동정되었다. 실내 약제방제 시험결과 14개 살균제 중 iprodione, tebuconazole, polyoxin D, flutolanil, hexaconazole, tolclofos-methyl, fosetyl-Al, mepronil, pencycuron+ tebuconazole 및 fenarimol 살균제들은 추천농도에서 완전하게 균생장을 억제하였다. 포장시험에서, 이들 살균제와 thifluzamide와 thiram과 같은 살균제들은 다소 방제효능의 정도 차이는 있지만 효과적으로 잔디 설부병을 방제하였다.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의 자연 종간잡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notatus and R. ocellatus)

  • 윤봉한;성무성;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7-166
    • /
    • 2021
  •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 간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는 3개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 곡교천의 지류인 온양천 일대에서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부모종을 명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연 잡종 3개체의 체색은 등 쪽이 연한 녹갈색으로 떡납줄갱이의 연한 갈색과 흰줄납줄개의 진한 녹갈색의 중간 색상이었고, 등지느러미 앞쪽 상단 및 뒷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면적은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중간 크기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모종 간의 중간형질을 나타냈다. 계측 및 계수형질의 경우, 자연 잡종은 체장에 대한 가슴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와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 양안 간격의 비, 미병장의 비, 미병고의 비 그리고 종렬비늘수 등에서 이들의 고유한 형질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 DNA의 rag1 유전자 영역에서 자연 잡종 3개체는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도에서는 떡납줄갱이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연 잡종 추정 개체들은 암컷 떡납줄갱이와 수컷 흰줄납줄개 간의 종간 잡종으로 판별되었다.

단경 내병 다수성 땅콩 품종 "풍산" (A New Short Stem, Disease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Peanut "Pungsan")

  • 배석복;정영근;박장환;이명희;황정동;심강보;정찬식;강철환;박금룡;박충범;최규환;이재철;김인재;김제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3-177
    • /
    • 2008
  •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인 '사토노카' 와 대립인 '예천종'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풍산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산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단경 다분지성이다. 2. 풍산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비율 100립중등이 높은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95 g 인 대립품종이다. 3. 도복에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4. 풍산은 단백질이 28.1 %, 기름함량이 48.5%이고 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서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5. 풍산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4.45MT/ha로 16% 증수되었다. 6. 풍산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Dinophyceae)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강병준;윤주연;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31-41
    • /
    • 2019
  • 남해안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형태,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한 온도 및 염분에 반응하는 성장 조건을 파악하였다. G. catenatum의 세포는 세로로 길거나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유사한 오각형이었다. 세포의 길이는 $38.1{\sim}77.4{\mu}m$, 폭은 $26.1{\sim}40.8{\mu}m$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간에 위치하였고, 상추구는 말굽의 편자 모양이었고, 이는 국내외 배양주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결과 였다. 계통분석 결과도 염기유사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에 보고된 배양주와 100% 일치하여 이 종은 단일 계통으로 판단되었다. 온도와 염분에 대한 성장실험에서 G. catenatum은 $1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염분 15 psu를 제외한 모든 염분구간에서 성장을 보였으며, 고온인 $30^{\circ}C$에서는 성장을 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5^{\circ}C$, 염분 35 psu에서 $0.37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0^{\circ}C$, 염분 25에서 $1,073cells\;mL^{-1}$였다. 이 결과는 G. catenatum이 한국 남해안에서 여름철 및 가을철, 특히 평균 수온이 $20^{\circ}C$ 이상인 여름철에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국 북제(北齊) 채회유도(彩繪釉陶) 시론 (The Research on the Painted Lead Glaze Pottery in the Northern Qi Dynasty in China)

  • 김지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4호
    • /
    • pp.20-37
    • /
    • 2017
  • 북제시기 유도 중에는 흰색 혹은 옅은 황색 유약 바탕에 녹색, 갈색, 황색 등으로 채색한 것이 있는데, 이는 "채회유도(彩繪釉陶)"로 통칭된다. 1971년 하남성(河南省) 안양시(安陽市) 홍하둔촌(洪河屯村)에 소재한 범수묘(範粹墓)에서 백유녹채삼계관(白釉綠彩三系罐)과 백유녹채장경병(白釉綠彩長頸甁)이 출토되었으나,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한 채 공반 출토된 백유기(白釉器)만이 중국에서 기년 자료가 확실한 가장 이른 백자의 증거로 제시되어 끊임없는 논쟁이 이루어졌다. 필자는 이 채회유도에 주목하여, 지금까지 무덤과 가마터에서 발견된 자료들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식특징과 제작 기술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이 부장된 무덤의 연대를 통한 출현 상한시점 및 피장자의 신분을 특정하여 채회유도의 사회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북제시기 채회유도는 이전 시기와 구별되는 제작특징이 확인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자토(瓷土)를 이용한 태토, 2차 소성, 유상회채(釉上繪彩) 기법이 새로 채용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이미 북위(北魏) 시기 유도에서 일부 나타난 변화로, 이것이 북제까지 이어져 백유 채회유도의 출현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채회유도의 기형은 동시기 남방지역 자기 기형과 북위시기 이래 생산된 채회의 속성이 결합되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입자크기 및 열처리가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Particle Size on the Crystalline Properties of Wood Cellulose)

  • Kim, Ah-ran;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99-3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목분입자 크기 및 열처리가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특성, 셀룰로오스 결정특성, 화학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분의 색은 열처리 온도가 $100^{\circ}C$에서 $200^{\circ}C$로 높아짐에 따라, 진한 황색에서 진한 갈색을 보였다. 열처리 목재셀룰로오스의 상대결정화도는 목재?에서 200 mesh로 목재의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낮은 값을 보였으며, 결정폭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온도가 $100^{\circ}C$에서 $2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목재의 상대결정화도가 증가하였고, 결정 폭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FT-IR분석 결과,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OH 신축에서 피크가 점차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1425cm^{-1}$의 리그닌 C-H 굽힘과, $1370cm^{-1}$의 헤미셀룰로오스 C-H 굽힘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어려웠다. $1235cm^{-1}$의 OH-phenolic 신축의 특성 피크와 $1031cm^{-1}$ 부근의 탄수화물의 C-C 신축이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목재의 입자크기 및 열처리는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천연 염료와 매염제의 응용에 의한 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염색 조건 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Dyeing Condition System for Lithospermum erythrorhizon by Applying Natural Dye and Mordants)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3-38
    • /
    • 2020
  • 2007년에 천연 염료 관련 자원, 색상, 염색 원단 등 천연 염색 정보를 쉽게 제공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연 염색과 IoT의 연관성, 응용 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만큼 다양성 천연 염색에 의한 염색 패턴 변화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료, 예를 들어 Lithospermum erythrorhizon가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온 실크에 대하여 염색 정보를 구축하고자 했다. L. erythrorhizon에서 염료의 추출은 pH4에서 수행되었다. L. erythrorhizon의 건조 된 뿌리는 짙은 갈색을 띤 자주색을 보였다. 매염제가 없는 실크 직물은 일반적으로 보라색 염색 패턴을 보였다. 타르타르산 나트륨과 구연산으로 염색 한 실크 직물은 투명한 갈색으로 염색되었다. 흥미롭게도 황산 철 (II)의 매염제 인 실크 직물은 검은 색이 아닌 밝은 회색으로 염색되었다.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의 매염제를 L. erythrorhizon 추출 염료로 처리 한 결과 매염제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거의 동일했다. 염색도를 수치로 평가 한 결과, 중크롬산 칼륨의 매염제의 처리는 약 50% 어둡고, 황산 철 (II)에 의한 염색은 약 75% 어두웠다. 이러한 결과는 L. erythrorhizon을 이용한 다양한 염색 색 적용 연구에 도움이되며, 염색 정도와 pH 농도, 색도변화라는 염색변수에 의한 염색 컨트롤러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에관한 정보를 제공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Standardization, TLC and HPTLC Fingerprinting of a Polyherbal Unani Formulation

  • Naaz, Arjumand;Viquar, Uzma;Naikodi, Mohammad Abdul Rasheed;Siddiqui, Javed Inam;Zakir, Mohammad;Kazmi, Munawwar Husain;Minhajuddin, Ahmed
    • 셀메드
    • /
    • 제11권4호
    • /
    • pp.21.1-21.9
    • /
    • 2021
  • Background: Unani System of Medicine (USM) has its origin to Greece. To ensure and develop the quality, authenticity of Unani drugs, standardization on modern analytical parameter is essential requirement for drugs. Objectives: The aimed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profile of "Qurṣ-e-Mafasil" by systematic study through authenticated ingredients, pharmacognostic identification followed by physicochemical, TLC, HPTLC fingerprinting analysis as per standard protocol.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three batches of "Qurṣ-e-Mafasil" QM were prepared by standard method as per UPI had been followed by organoleptic properties of formulation such as appearance, color, odor, taste. Powder Microscopy and physic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such as Uniformity of weight, Friability, Disintegration time, hardness, LOD, ash vales and extractive values in like aqueous, alcohol & hexane. Further qualitative tests such as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d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HPTLC)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to develop fingerprint pattern of the alcoholic solvent extract of QM. Phytochemical screening was carried out in different solvent extracts such as alcoholic, aqueous and chloroform extracts to detect the presence phytoconstituents in the formulation QM. Heavy metals, Microbial Load Contamination and pesticidal residues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Qurṣ-e-Mafasil showed tablet-like appearance, light brown colour, mild pungent odour and acrid taste. Uniformity of weight (mg), friability (rpm), and hardness (kg/cm) and disintegration time was ranged between (500 to 503), (0.0340 to 0.038), (8.40 to 8.67) and (4-5 minutes) respectively for the three batches. Loss in weight on drying at 105℃ was ranged between (8.3425 to 8.7346). Extracted values were calculated in distilled water ranged between (30.9091 to 31.4358), hexane (1.1419 to 1.4281), and alcohol (3.3352 to 3.3962). The ash values recorded were ranged between (3.7336 to 3.8378), and acid insoluble ash (0.5859 to 0.6112).

소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과 배발생에 황체의 형태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teal Morphology of Donors on the Matur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in Vitro of Bovine Immature Oocytes)

  • Kim, B. K.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5-383
    • /
    • 2000
  • 본 연구는 공여난소의 황체 형태가 소 미성숙난자의 체외 성숙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감수분열과 수정란 생산을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공여난소를 황체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 group 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 최근에 배란한 흔적으로 보이는 혈포가 있는 난소. Group 2 ; 황체는 적색 또는 갈색이며, 혈관이 황체의 가장자리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는 난소. Group 3 ; 황체는 오렌지 또는 황갈색이며, 혈관이 황체의 정상부 까지 분포한 난소. Group 4 ; 황체는 잃은 황색 또는 백색이며, 황체 정상부의 혈관분포가 사라진 난소.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과 배발생을 위하여 각각 TCM 199과 TLP-PVA을 기본배지로 사용하였다. 각 group에서 채취한 미성숙 난자를 4, 14, 24시간 체외성숙시켰을 때 metaphase I과 metaphase II에 도달한 난자의 비율은 각 group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각 group 에서 metaphaseII난자는 체외성숙 후 14시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성숙이 종료하였다. 체외 배발생 후 2세포기와 8세포기까지의 발생에는 공여난소 황체의 형태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실배와 배반포로 발생한 수정란의 비율은 group 1과 3에서 채취한 난자에서 group 2와 4에서 채란한 난자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이러한 결과는 공여난소의 번식상태가 체외 수정란생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암시하고 있다.

  • PDF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