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users

검색결과 1,458건 처리시간 0.029초

전자도서의 수서 및 유통에 있어서 인식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thinking of Acquisitions & Services of e-Books)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3-130
    • /
    • 2003
  • 우리나라의 도서관들은 전자도서(e-Book)를 하나의 새로운 도서관자료의 유형으로 수용하여 이용자에게 정보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도서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과 전자도서의 가격결정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서 주장하는 전자도서 관련 기술 통합의 오류를 (1)판독기 및 저작권인증관리기술 통합 논의의 오해, (2)산업 구조상 유통기술 통합에 대한 잘못된 인식, (3)전자도서 관련 기술들의 본질에 대한 분석, (4)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이용자의 불편 해소라는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 결과들을 근거로 전자도서의 공동구매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아울러 바람직한 전자도서의 수서 및 유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Librarian's Job Satisfaction in Public Libraries)

  • 김미진;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66
    • /
    • 2015
  •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강화라고 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도서관 내부인적자원의 능력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10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LibQUAL+^{TM}$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 중 직무자체 요인과 조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구도서관 장서의 양적 질적 평가에 관한 분석적 고찰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233-2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most reasonable and feasible evaluation methods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in Korea. At the very outset, writer tried to define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described a collection evaluation is to gain the data for decision making on selection policy, weeding and storage project, and explained it is one of the procedures of a collection development system operation of being explained as repeated three procedures through a collection development plan, an implimentation of the set plan(selection process) and a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also pointed out the fact many libraries in Korea are apt to by pass or overlook this important process. Writer then defined the criteria of a collection evaluation as the measurement of the proportion of library holding's capability to meet users' demands and that of the degree of total collection's utilization. Writer introduced and analysed seven existing colle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cluded the method by a survey of users' needs and opinion and the method by a circulation survey are the most feasible and reasonabl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Writer also added that using above two evaluation methods together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 evaluation.

  • PDF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 안인자;노동조;노영희;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33-549
    • /
    • 2008
  •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관한 깊이 있는 직무분석은 직업정의, 교육과정개발 훈련기준설정, 채용기준, 기관 및 개인적 목표 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7개의 책무(duties)와 58개의 작업(tasks)을 추출하였으며, 7개의 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개발, B. 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관리, C. 도서관 주제별 연구지원 서비스, D. 도서관 이용자 리에종 활동, E.도서관 주제별 이용자교육, F. 도서관 운영관리. G.주제별 능력개발.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Engagement in Virtual Library Services as Learning Support System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

  • Alenzuela, Reysa;Kamilova, Yelizavet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45-64
    • /
    • 2018
  • The global information economy is transforming the way people connect with each other, learn new things, and contribute to the knowledge society. With the online platform, library services have also expanded beyond face to face interaction. Although studies of virtual reference services have been mad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 case study discussing various forms of online reference engagement in Kazakhstan has not been written. While most of the theories on connectivism emphasize the context of instruction, the researchers of this paper discussed the tenets as they relate to online engagement. Applying the theory of connectivism, this paper explores through a mixed method the use of various online platforms to enhance engagement connecting library users to information. Findings revealed that differences in patterns of interactions as to platforms, types of queries, and users reveal that students, faculty, and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served by the library have various preferences for communication. The case study further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not maximized the use of VLS but interest in using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vices is clear. Finding connections between sources of information, creating useful information patterns, is essential in learning. Amplifying awareness on the use of VLS giving emphasis to the unique features of each service is useful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see how this platform facilitates learning.

A Study on Public Library Book Loc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AI Vision Sensor

  • Soyoung Kim;Hees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3호
    • /
    • pp.253-261
    • /
    • 2024
  • The role of the library is as a public institution that provides academic information to a variety of people, including students, the general public, and researchers. These days, as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emphasized, libraries are evolving beyond simply storing and lending materials to complex cultural spaces that sha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ultural events. One of the problems library user's faces is locating books to borrow. This problem occurs because of errors in the location of borrowed books due to delays in updating library databases related to borrowed books, incorrect labeling, and books temporarily located in different location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it takes a long time for users to search for the books they want to borrow.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visually displays the location of books in real time using an AI vision sensor and LED. The AI vision sensor-based book location guidance system generates a QR code containing the call number of the borrowed book. When the AI vision sensor recognizes this QR code, the exact location of the book is visually displayed through LED to guide users to find it easily. We believe that the AI vision sensor-based book location guidance system dramatically improves book search and management efficiency, and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have great potential for use not only in libraries and bookstores but also in a variety of other fields.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brary Cultural Program: Focused on Eco Generation)

  • 이경아;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1
    • /
    • 2018
  • 본 연구는 에코 세대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및 인식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코 세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및 그 분석을 통해 문화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기저에서 드러나는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이 타 기관의 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성 높은 원인으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의 결여가 지목되었다. 따라서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 강화를 위한 향후 연구,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협력, 지역 내 문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정책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고령 이용자에 대한 연구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75-396
    • /
    • 2007
  •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공공도서관 이용에서의 특성 및 공공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공공도서관 이용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조사 결과, 여성 고령자에 비해 남성 고령자가 공공도서관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고령 이용자들의 특성은 60대의 건강하며, 학력이 높고, 생활수준이 중 이상인 것이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을 자주, 고정적으로 이용하며, 장시간 머무는 것으로, 도서관직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고령 이용자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공공도서관 이용률이 적은 잠재적 이용자, 즉 70대 이상으로서 건강이 좋지 않고 학력과 생활수준이 낮은 고령자, 그리고 여성 고령자가 공공도서관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과제로 밝혀졌다.

  • PDF

하이브리드 대학도서관 환경에서의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Users' Intention to Use in a Hybrid Environment of Academic Library)

  • 한지연;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29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이용자가 전통적인 형태의 물리적 도서관과 온라인 정보이용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도서관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 즉, 도서관 이용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 그룹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행동-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통합모형을 제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인식과 이용의도를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으로 나누어 각각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미래 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으로 하여금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균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지, 주목,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

캠퍼스 상호대차서비스 전산화에 따른 성과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ampus Inter-library Loan on Library Automation)

  • 이혜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4호
    • /
    • pp.73-92
    • /
    • 2009
  • 많은 도서관은 한정된 자원을 극복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호대차서비스를 활용한다. 상호대차서비스는 도서관 서비스의 소유 소장의 개념에서 공유 접근의 개념으로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상호대차서비스 평가 및 그 필요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K대학은 단행본 중심의 캠퍼스 상호대차서비스는 오랫동안 제공하였는데, 2003년부터 온라인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상호대차서비스의 전산화가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9년간의 서비스운영 실적을 비교분석하였다.시스템 발전 단계에 따라 상호대차 신청과 도서 대출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서울캠퍼스 소속 이용자의 상호대차신청건수가 2001년 전체 도서신청건수 중 12%이었던 것이 2008년 무려 75%까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호대차 처리시간도 2004년의 17%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많은 개선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