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building pla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종합정보센터로서 초등학교도서관 배치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Planning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as General Information Center)

  • 허영환;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25-232
    • /
    • 2007
  • Elementary education is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 phase to cultivate a minimum natural quality for basic people life. Because elementary school is a very important step to be a base of lifelong education, it has to lead students to develop a capability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ear the ability of self-leading study. Accordingly the elementary school library must be made and managed to cope with a new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as well as it must be a appropriate facilities for the contents of the 7th course of study : The aim of the 7th course of study is to rear the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n who lead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It is an ideal that the school library has a separate building for itself as the general information center but it is not easy to do in our conditions. Accordingly when it Is located in a school house, it has to be at the center within easy access of other related rooms such as a classroom and school house. Therefor making a plan and designing a school building, the school library has to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as a main facilities in order to make a school to accept the future.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um-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65-283
    • /
    • 2012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하지만, 각 지자체마다 양적으로 도서관의 관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었지, 내실을 다지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현안 사항과 문제점 및 최근 정부차원의 발전계획 등을 고려하여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 장기 발전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고,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에 대한 SWOT 분석과 중 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셋째, 청주 청원 통합시 공공도서관의 권역별 건립 및 운영 추이를 고찰하였고, 넷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체계 확립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the 2n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27
    • /
    • 2020
  • 국내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각 지자체마다 외부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 현황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청주시는 2011년에 제1차 계획(2012~2016)을, 2016년에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2017~2021)"을 수립하여 시행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청주시의 제2차 계획에 대한 중간 점검 성격으로, 2차 계획의 수립 내용과 현안 등을 분석하여 계획 대비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문화 환경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계획의 추진 전략과 운영 성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청주시 공공도서관 발전의 핵심요소인 조직체계 확충과 전문 인력 충원 및 예산지원 확대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폐교 부지 및 건축물을 이용한 도서관의 대피시설로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the Site and Building of Closed School as Evacuation Facilities for the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8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존에 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피시설의 조건을 갖춘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② 이러한 도서관의 역할과 폐교가 만나서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으며, ③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어떠한지를 제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에 있어서 이용자의 자주적 관리에 의한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alteration by User's Independent Management in Children's Library)

  • 천혜선;이정미;곽동화;임채진;이상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93-101
    • /
    • 2009
  • This study is including the independent project, "building children's library of the town" that is conducted by a local resident. The study object is the contents of the "design workshop for library planning" and the general process during one year since the opening. This study is delivering "information of children's library" through the work-shop and is conduct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space planner by measuring the blueprint. Thus, the study could be conducted with synthetic viewpoint on each library.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there were various space operations and a variety of programs in the case library that is independently managed. This is directing to "the constructive and active space usage" by the users and finally results in positive circulation. Secondly, there is a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execution and operation in the library construction plan. There are needs for the flexible space expansion and adjustment, modifiable furniture layout and design and various keeping areas because there is on-going tendency of corresponding space change. The third, the author could draw more practicable consideration points for space planning by looking at the trend of space change in Transactionist viewpoint. Thus,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erms of planning of sustainable public areas.

국내 대학도서관 정책 성과에 대한 현장 인식 조사 (Field Perception Analysis on Policy Outcomes of Academic Libraries)

  • 이종욱;강우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5-4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9~2023)의 완료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 종합계획의 추진과제에 대한 이행 수준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와 도서관 직원의 인식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 지표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17개 세부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총 36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응답자는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도서관 발전계획이나 시행계획 수립에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세부과제 17개에 대한 IPA 분석 결과, 대학의 유형과 상관없이 시설 개선이나 교수-학습 지원, 학술자원 접근성 확대는 꾸준히 유지되어야 하며, 도서관 정책을 개발하고 인력과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년제 대학은 전문대학에 비해 해외 학술자원의 접근성 확대를 특히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에 비해 기초소양 함양 프로그램이나 포용적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IPA 대각선 모형 적용 결과 모든 세부과제에 대한 수행도가 중요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추후 종합계획 수립 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모색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3-352
    • /
    • 2012
  • 최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표방하며 신축 및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기기 활용공간, 스터디룸 등의 열람공간, 영화감상실 및 전시실 등과 같은 문화적 기능수행 공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휴게공간의 확충 및 제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의 확보 및 제공에 치중하는 것과는 달리 오프라인 서비스와 적절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위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도서관 공간을 구상하고 제공하는데 있어 대학도서관의 학문적 성격을 감안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아닌 '복합학습공간'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용자의 요구, 장서의 활용방안 그리고 사서의 역할 및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고문헌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전망 (The Project and Prospects of Old Documents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 강순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3-112
    • /
    • 1997
  • 본 논문은 고문헌에 적합한 최선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문헌의 개념, 특성과 정리현황, 전산화의 범위와 제도적인 장치, 정보시스템의 구축, 시스템의 사례, 평가와 전망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고문헌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하여 정보전산망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목록정보, 해제, 원은, 검색정보시스템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현재 디지털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고문헌시스템과 자체적으로 DB를 개발하여 공용정보로 활용하고 있는 성균관대학교 고문헌정보시스템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고문헌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도서관에는 전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도서관 정보자원 디지털화 로드맵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Road Map for Digitalizing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 장우권;이명규;나인섭;박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5-285
    • /
    • 2011
  • 이 연구는 도서관 정보자원 디지털화 로드맵 구축을 위해 전국의 941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우편과 전자우편)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도서관 정보자원의 생산과 유통, 구축 및 관리, 공유와 보존 그리고 활용 등의 구체적인 활동내용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들 조사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정보자원 디지털화 로드맵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그 결과는 도서관 정보자원 디지털화 수행시 제시된 모델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서관 정보자원 디지털화 및 로드맵 등의 정책수립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