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theory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 on Book Selection Preferences)

  • 최영임;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 유형에 따른 도서 선호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업 성취 수준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인문계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업 성취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각각 50명을 표본으로 학생 개개인의 다중지능에 따른 도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자료로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 연구논문의 이론체계 현황분석 연구 (Analyzing the status of theoretical framework by subfiel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rticles)

  • 김성진;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37
    • /
    • 2006
  • 학문의 지식체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일련과정으로 밀접하게 상호연관된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논문의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사례의 양적/질적 측면을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세부주제영역에 따른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연구의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 형성에 기여한 세부주제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03년에 출판된 1,66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세부주제영역 중에서 정보이용탐색, 정보검색, 도서관경영, 학술커뮤니케이션 영역이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의 모든 측면에 가장 큰 기여를 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제영역별로 생산된 논문 수에 따른 이론적 연구의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계량정보학과 전문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매우 이론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 외에 각 세부주제영역별로 사용된 이론을 분석하였을 때, 일부 세부주제영역 간에 유사한 이론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53-74
    • /
    • 1994
  • Creative thinking in education is a common assumption to be accomplish in this information age. Information education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The Author explored how information education conduces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hat i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and competent study for students themselves. The writer also expressed the integrated education makes students think synthetically and synthetic educational experience derives creative thinking. She based her arguments upon the theory of the psychology of memory and the Piaget's cognitive structure. To increas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curriculums and learning method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and those of other areas of learning, i,e., languages, literatures, social sciences, sciences, mathematics, etc. Here, author asserted that the teaching of information skill within classroom curriculums for all subject areas can make the integrated effects on various classroom curriculum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 recommended that every school needs to prepare enough books and other media for the students to drill information skill. Consequently, to buil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He students, librarians, classroom teachers and school principals who have influence on the information education, have to cooperate to initiate integrated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

  • PDF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 제안 (Proposal of a Conceptual Model for Research Data Cura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 한나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67-190
    • /
    • 2023
  •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한 문헌 연구로, 활동이론에서 사용하는 활동의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여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서관계에서 논의가 필요한 현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5개의 디지털 큐레이션 생애주기모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산발적으로 제시되는 활동요인들을 분석하여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새로운 모델로 통합하여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 및 리포지토리에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6가지의 현안들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은 총 10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활동의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문제와 모순을 포함하고 있다.

상호대차(相互貸償) 제도의 이론(理論)과 응용 (Theory and practice of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

  • 전명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3권
    • /
    • pp.39-71
    • /
    • 1986
  • Interlibrary loan has been a very common library service in the developed countries but it is yet to be actualized formerly in Korea. As Korea is moving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where all the individual user's request in the library should be met, we need to understand, in detail,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rlibrary loan service. As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the libraries, the libraries became the open system. Thus, the libraries become more cooperative, form networks, and make interlibrary loan service available.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hypothesis formulated from the systems theory. 1. If libraries cooperate each other and form some kind of networks by mail, computers or telecommunications, they become the open system. 2. If a library develops as the open system, interlibrary loan becomes available in the library. 3. If the interlibrary loan system works, the role of the librarians will be chang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the various studies about interlibrary loan service and by examining the interlibrary loan systerns presently working in the U.S.. The conclusions are reached deductively from the data. Some of the terminology used are defined as follows: System: a network of interrelated procedures that are joined together to perform an activity or to accomplish a specific objective. It is, in effect, all the ingredient which make up the whole. Cooperation: Working together to benefit participant libraries. Network: a much more structured type of cooperation in which definite regions or areas are connected by electronic or other means to promote interlibrary loaning of materials, in-service traing & other sharing of resources. Interlibrary loan: the lending of books between libraries. The model of cooperation or networks was used to be (1) a star type, (2) a hieranchical type, (3) a distributed type or (4) the combination of aforementioned thre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s enables all kinds of libraires cooperate together. Interlibrary loan service starts with the needs of user'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have to be logically accessed through bibliographies, computers, electronic mails and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the logical access requires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libraries become cooperative. The physical access to the information follows next but only traditional method of mail and some commercial service are currently available for this purpose. Therefore,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this physical access. If the libraries form networks, the microaspect of library changes accordingly as the macroaspect changes. If the libraries . cooperate to become one large world library, the librarians plan, organize, control library operations and report the results. And the librarians work inside and outside of the library to cooperate with other libraries. Only the cooperation of the libraries will enhance interlibrary loan and the Korean librarians have to be prepared to accept the new role of librarianship for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

  • PDF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유형 (Increasing Sense of Self-Control over Pregnancy: Information Seeking Patterns of Pregnant Women's)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25-152
    • /
    • 2013
  •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정보추구의 독특함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정보추구의 실체이론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산전진료에 참여하고 있는 16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임신기의 정보추구의 맥락, 구조, 과정의 분석 결과,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을 통합하는 핵심범주는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로 도출하였다. 즉, 임신의 과정동안 임신부들의 의도적이고 일상적인 정보추구행위는 합맥락적이고 합리적으로 임신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의 경험 유형은 '필사적 추구형', '적극적 추구형', '무관심 추구형', '체념적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결과의 특징 및 선행 정보추구 모형과의 비교 및 임신부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을 논하였다.

공공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사서역할 모델설계 및 사례분석 (Role of Librarian in Child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y: Model Building and Assessment through Case Analysis)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1-68
    • /
    • 2011
  •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이 자료보존과 자료제공 기능에서 교육적 기능과 지역공동체형성의 기능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의 역할에서 사회 교육적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의 흥미를 제고시키고 주체적 학습자가 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점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교육자모델을 설계하였다. 교육자의 역할은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스케폴딩(scaffolding)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모델에 기초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5개의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 사례를 관찰 조사하였다. 이들 사례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 공공도서관의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A Study on Behavioral Trai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in South India

  • Baskaran, S.;Babu, B. Ramesha;Gopalakrishnan, S.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1호
    • /
    • pp.54-68
    • /
    • 2013
  • Human behaviour normally depends on the environment of the incident and the time of its occurrence. The behaviour of people depends on many factors and these behaviour traits are an important aspec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field. Hence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xamine the behaviour traits of LIS students in South India. Out of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67 have responded and the response rate is 91.75%. In this survey three aspects comprising student behaviour have been analysed such as Work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case of Work Environment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as Workaholic, Impatience, Achievement oriented, Rash nature, and Punctuality. Further, in respect to Natural environment, the respondents are grouped as Complacent, Patience, Easygoing, and Relaxed. Last,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 the Social Environment as Balancing nature, Magnanimity, Naturalistic, Assertive nature, Dependency, Lucrative, Lonely nature, and Time Based personality. Finally the authors conclude that LIS students need to possess these qualities and behaviours to work in different environments.

통합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교과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Library Based Instruction of Subject Teachers Applying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3-148
    • /
    • 2020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개인이 수용하여 활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변인 간의 관계를 표현한 통합정보기술수용 모형을 바탕으로 교과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도서관활용수업의 교수-학습 방법을 수용하는 변인과 각 변인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초,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과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은 수업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들의 행위의도는 사용 행위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사회적 영향이 행위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인지된 위험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의 측면에서 도서관활용수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Model for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under EduTech)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5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교육은 학습 경계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디퍼러닝을 위한 새로운 수업 환경과 학습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이론에 기반을 둔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분석 단계, 사전 학습 및 개발 단계, 수업 운영 단계, 협동수업 평가 단계'로 구성된 4단계 교수 설계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플립러닝과 백워드 교수 설계 요소 및 탐구기반학습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 맞춤형 자료 개발과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범위를 사전 학습, 대면 학습, 추가 학습으로 확대하여, 협동수업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에듀테크 환경에서 학교도서관활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사서교사의 전문성, 학교도서관 공간, 예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