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an's new rol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f the Roles of the Teacher-Librarians as Perceived by Supervisors, Principals,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Korea)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29-259
    • /
    • 1989
  • The school library plays very important and central role for the fullfill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edia specialist known as teacher-libraria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edia center. It is true that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depends greatly on the cooperative coordina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and principal in addition to the strong support and effective supervision of school district authority, specifically, supervisor of school library program. The successful program therefore is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librarian'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role perceived by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istrict supervisor. A standard task model describing both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librarian was proposed after studying the relevant current standards of four countries. Serveral hypotheses were made regarding role perception and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based on this proposed task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and the return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routin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ole percep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district supervisor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for bo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eacher­librarian. The mean score of the teacher-librarian was highest among four groups and the score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tasks were lower than that of management function tasks. 2)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hanging social trends such as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need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3)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view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 PDF

청소년들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일고찰 (A study of reference services for young adult)

  • 손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59-94
    • /
    • 1983
  •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ocial institutions and its programs, and newly added and expanded library reference services. it is founded that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 are prerequisite subject.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specialized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hip. 1. Adequate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YA librarians is needed in order to have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s (physiology, psychology, personality etc.). 2. Because of librarian's unique exposure to human relations and their personal awareness of other people's need, YA librarian should bring a person-centered managerial technique. 3. Librarianship may not have a clinical counseling function but to provide right answer or information, the librarian become counselor inescapably. 4. Librarians are not professionally trained to be experts on counseling in sex education. However, libraria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ducating YA by committing book selection, reader's advisory, referral services, library programming and staff development planning.

  • PDF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 방향 (A Study on Trends of the Librarian's Task in Academic Library 2.0)

  • 이현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7-168
    • /
    • 2007
  • 본 연구는 전통적 업무의 관점에서 웹 2.0이라는 새로운 환경의 대학도서관 사서 업무를 분석하여 전통과 현대를 통합하는 업무개발의 근거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이용자의 참여로 도서관 서비스를 혁신하는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도서관 업무인 $\ulcorner$장서개발과 수서$\lrcorner$$\ulcorner$자원개발$\lrcorner$로, $\ulcorner$분류와 목록$\lrcorner$$\ulcorner$기술개발$\lrcorner$로, $\ulcorner$대출$\lrcorner$$\ulcorner$정보교육$\lrcorner$으로, $\ulcorner$참고봉사$\lrcorner$$\ulcorner$서비스 개발$\lrcorner$로, $\ulcorner$보존$\lrcorner$$\ulcorner$아카이브 구축$\lrcorner$의 개념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사서의 업무는 전반적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ulcorner$전문성 확장$\lrcorner$에 중요한 사항들은 '협력', '교육문화', '기술능력'이었다.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brarian's Identity in Digital Environment)

  • 이경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7-174
    • /
    • 2008
  • 도서관전산화와 인터넷은 사서들의 업무를 편리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웃소싱 및 직업감축으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도서관 방문자 수를 급감시켰다. 하지만 많은 도서관의 사서들은 기존 업무에 매달려 있고 변화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역할을 찾지 못하여 그들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직업에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면 그 직업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현재까지 사서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논한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문헌들이 제시한 것과 현직 사서들이 느끼는 것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사서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는 현직에 20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서베이 (Survey)를 하였다 질문은 개방형 질문지로 하여 가급적이면 경험이 많은 사서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들은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민서비스에서 직업적인 보람을 느끼고 있지만 환경의 변화로 전문직으로서 서비스할 기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이나 독서지도 및 각종 프로그램 지도와 같은 분야에서 전문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들이 보인다. 교육은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정보교육과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매체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인 평생학습사회에서 정보와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사서들은 정보교육과 매체교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이 훌륭한 지식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윤은하;장윤금;전경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209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광장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광장 의미와 목적, 새로운 도서관 환경에서의 역할, 도서관의 본질과 발전 방향, 그리고 정보광장 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28명을 인터뷰한 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은 1) 정보광장의 전통적인 학술 연구 기능만을 강조하여 이를 학술연구 시설로만 이해하는 유형, 2) 정보광장을 학술연구를 위한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하면서 아울러 문화융복합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형, 3) 정보광장을 창조적 기능이 강조된 학술문화 복합시설로 이해하는 유형의 3가지로 대별되었다. 이는 정보광장 이용자 이용행태에 대한 평가와 도서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3-352
    • /
    • 2012
  • 최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표방하며 신축 및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기기 활용공간, 스터디룸 등의 열람공간, 영화감상실 및 전시실 등과 같은 문화적 기능수행 공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휴게공간의 확충 및 제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의 확보 및 제공에 치중하는 것과는 달리 오프라인 서비스와 적절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위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도서관 공간을 구상하고 제공하는데 있어 대학도서관의 학문적 성격을 감안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아닌 '복합학습공간'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용자의 요구, 장서의 활용방안 그리고 사서의 역할 및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1-292
    • /
    • 2011
  • 정보활용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이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11년에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로 발행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과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새로운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정보활용교육 방법과 교수매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고,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와 인정심사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약 6년의 기간을 거처 개발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 교육과정, 내용체제, 적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지방자치와 사서직 공무원 연수 (Local Autonomy and Training of public Librarians)

  • 이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11-330
    • /
    • 2002
  • 사서직은 본질적으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연마하기 위하여 장기적이고 계속적인 훈련과 연찬이 필요한 직종이다. 적절한 재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 그리고 기술을 습득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가 바로 연수제도이다. 기존의 연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본 바, 교육훈련방향은 중앙집중식을 지양하며 각 지방의 교육훈련계획에 따라 실시되어야 하고, 교육방법에서는 각 지방에 있는 이론과 실제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며, 교육평가에서는 선택전문교육의 학점제 및 공통전문교육의 수료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끝으로, 사이버교육의 활성화와 도서관협회의 역할 제고 등도 연수제도에 도입되어 사서의 전문성 능력배양에 일조해야 할 것이다.

정보기술분야에서의 정보전문직의 역할 및 요구조건 (The New Roles and Requirements of Information Specialist in the Area of IT)

  • 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7-182
    • /
    • 2002
  • 급격한 정보기술, 저작도구의 발전 및 새로운 형태의 자료에 대한 요구 등은 정보전문직인 사서의 업무와 역할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인쇄형태의 정보를 주로 처리하고 관리하였으나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정보형식의 변화는 새로운 형식의 정보에 대한 유통과 관리 및 이용을 위한 전자도서관을 출현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전자도서관의 출현은 정보처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고 있으며 다량의 정보 속에서 이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가져오고 있다. 이렇게 정보와 관련된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회적인 새로운 요구들은 이들 정보의 처리와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전문가, 즉 사서를 양성하는 문헌정보학분야에 새로운 도전의 영역을 제공하는 한편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영역을 침범 당할 수 있는 양면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흐름과 함께, 정보전문직으로서 문헌정보학전공자들은 자신들의 위치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현재에도 많은 정보관련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재 문헌정보학전공자들이 전통적인 영역인 도서관이 아닌 새로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현황, 역할 및 지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정보전문직으로 확고히 자리매김을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자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원자력지식경영과 IAEA/INIS 활동 (Nuclear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Activities of IAEA/INIS)

  • 이지호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4호
    • /
    • pp.105-124
    • /
    • 2006
  • 원자력지식경영은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IAEA에서도 INIS사무국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회원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식경영은 사서의 업무영역으로, 전통적인 도서관 업무영역의 축소에 따른 블루오션 성격의 유망 대체업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INIS는 원자력을 평화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국가 간의 협력에 의해 IAEA가 중심이 되어 설립된 국제적인 정보유통시스템이다. INIS는 270만 건이 넘는 원자력 관련 분야의 DB를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국내의 INIS 활동은 INIS 입력량(세계 5위) 및 INIS2 호스트사이트 운영 등으로 IAEA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