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effect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에 대한 Jigsaw 협동학습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Class on 'Change of Season' Unit of Elementary Students on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에 대한 Jigsaw 협동학습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B시의 G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48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초등과학 6학년 '계절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12주간 실험처치를 하였다. 그리고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사전-사후검사로 과제집착력 검사, 창의적 인성 검사를 하였다. Jigsaw 협동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제집착력 향상과 창의적 인성 함양이 될 수 있도록 연구절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Jigsaw 협동학습은 과제집착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Jigsaw 협동학습은 창의적 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Jigsaw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Jigsaw 협동 학습이 과제집착력과 창의적 인성에 효과가 있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이 사회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deo and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Havruta Style in Social Studies Communication Skills)

  • 신호진;김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25-32
    • /
    • 2016
  • 본 연구는 화상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을 통한 사회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과 협력학교 학생들 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화상 회의 장비 및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화상 온라인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흥미 및 참여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하브루타 토론 방법은 학생들이 상호 질문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습득하고 내면화 시키며, 발표 및 토론 참여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셋째, 화상 온라인 수업을 위해 새로운 수업안의 구안 및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며, 협력 교사간 충분한 준비와 토론과정을 거쳐 수업안을 작성한 후 수업을 전개해야하며, 수업 연구일지 작성 등의 자기 수업 반성의 과정은 화상 온라인 협력 수업의 질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SNS를 활용한 토론 활동은 보조적인 활동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형성평가를 할 때는 두 교사가 각자 자기 교실의 학생들의 성취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화상 협력학습을 할 수 있는 기자재를 확대 보급하여 화상 온라인 협동 학습을 할 수 있는 학교가 많이 생길 필요가 있다. 화상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소인수 학급 학생들과 대도시 학급 학생들이 자유롭게 협력학습을 할 수 있는 서버를 교육청에서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무원 사이버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연구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Cyber Education of Government Officials - Focusing on Local officials -)

  • 김하균;박명주;장창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2-87
    • /
    • 2004
  • This study looks at the influenti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in order to create a cyberspace where the public official can obtain information at a place and time convenient to them. This will provide a chance to activate cyber education eff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influential factors of education effect as follows: - the instruction design and contents factors such as interesting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 and positive instruction, a31 had an important influence. - the learner factors, such as a desire to learn, motivation, and interest in the lesson,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ystematical basis and support, atmosphere, and consideration of others had a large effect on the education effect.

  • PDF

The Effect of Visual and Verbal Scaffoldings on Web-Bas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 RHA, Ilju;PARK, Soyo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2호
    • /
    • pp.1-24
    • /
    • 2010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visual and verbal scaffoldings on web-bas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 quasi-experiment with 143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as administered. Each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score was obtain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ased on the visualization tendency score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ow and high level visualization tendency groups. Then each group was split in half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lessons - one with visual scaffolding and the other with verbal scaffolding. The contents of the two lessons were the same. All students'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an essay assignment for a problem solving at the end of the less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visual scaffolding group outperformed the verbal scaffolding group (F=22.54, p<.01), regardless of each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level. The effect size was 0.81, indicating high prac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modalities and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levels. These findings imply that visual scaffolding is an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student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초등학생의 학급 내 수준별 수업을 통한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 변화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n Mathematical Learning Achievement and Disposition in a Class Using Level Orientated Teaching Method)

  • 정상태;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210
    • /
    • 2009
  •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학교교육도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교실 내에서도 획일적인 수업이 아니라 학생의 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요구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급 내 기존의 수업방법에서 탈피하고, 개정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실험집단을 상, 하 집단으로 편성하여 각 집단에 맞는 수준별 수업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후,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개정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적을 사전에 적용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교실에서 수준별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ssue-Centered Discussion in Home Economics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 이영옥;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7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중학교 제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교과 중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을 근거로 쟁점요소를 추출한다. 2) 중학교 가정과 수업에 적용 가능한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 모형을 구안한 후 교수$.$학습 과정 안을 개발한다. 3)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쟁점중심 수업모형을 중학교 가정과에 적용하기 위한 쟁점선정의 기준으로 학생의 관심도, 성숙도, 이해 수준. 사회적 의미. 논쟁적 성격, 효과적인 탐구 가능성. 비판적 사고 요구 등 7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제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 과목의 내용 중 가정영역을 분석하여 각 영역별 쟁점요소 및 쟁점토론 주제를 추출한 다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완성하였다. 둘째 이렇게 추출한 쟁점토론주제를 적용하기 위한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 모형을 $\boxDr$문제 제기 \$\longrightarrow$ 가치문제 확인 \$\longrightarrow$ 용어의 정의 \$\longrightarrow$ 잠정적 대안 선택 \$\longrightarrow$ 자료 수집 \$\longrightarrow$ 쟁점토론 및 비판적 접근 \$\longrightarrow$ 선택과 결론$\boxUl$의 단계로 구안하였고, 이에 기초한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 교수$.$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K중학교 3학년 2개 학급(75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 안을 5주 동안 8차시에 걸쳐 실험에 적용하여 수업의 효과 즉.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정도를 알아보았다. 비판적 사고력 검사도구로는 WGCTA(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를 사용하였고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결과에 대하여T-test를 실시하였다. 검증한 결과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P<.05).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논증의 평가(P<.05)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후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업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개선점으로는 토론의 과정을 평가하여 토론의 질을 높이자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을 현장에 정착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모색 가정과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효과적인 토론수업 방안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문제 장면의 모델화를 통한 수업이 곱셈적 사고력과 곱셈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Multiplicative thinking and Multiplicative ability by the Instruction of Modeling Problem Situations)

  • 남승인;서찬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1호
    • /
    • pp.33-50
    • /
    • 2004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thinking and multiplicative ability by teaching repeated addition, rate, comparison, area-array, and combination problems.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of multiplicative think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the modeling of problem situation lear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ulcorner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of multiplicative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ulcorner The treatment proc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s based on modeling problem situations for nine lesson period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chi-square analysis was used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d the t-test was used for the second on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ultiplicative thinking be1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multiplicative ability.

  • PDF

중학교 과학 '해양' 단원의 개념도 활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Apply Concept Maps for 'Ocean' Units in Middle School Science)

  • 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10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inquiry skill that apply concept maps for 'Ocean' units in middle school sc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four classes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concept map teaching and the other is the ordinary teaching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 First, the use of concept map teaching improved the active meaningful process and improv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science lesson using concept map is effective for science inquiry skil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using concept map teaching created a positive reaction to make the formulation of ideas.

헬리콥터 비행교육 과정에서 비행훈련과 모의비행훈련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between Flight Training and Flight Simulator Trainingin Helicopter Flight Training Course)

  • 나유찬;조영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3
    • /
    • 2022
  • As the demand for simulated flight training and interest in new technology training increase,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flight simulator training and actual flight training subjects to confirm efficient flight simulator training curriculu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flight simulator trai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flight training performance and in particular had a relatively large effect on the air maneuver, traffic pattern, cross country flight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oretical major classes that affect flight simulator training to verify the correlation, found that principle of air navigation, air traffic service, and helicopter flight theory were affected in ord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iculum and ground lesson that should be focused on effectively performing flight simulator training in the helicopter private pilot course.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 고정화;김태은;노원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135-156
    • /
    • 2015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는 단순한 학년 변화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 시기는 상당수 학생들이 수학 교과를 포기하게 되는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수학 교과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학 교과 관련 발달 전망에 희비가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기에 학생들이 수학 교수학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러한 변화가 필연적인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수학 교실 수업장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이 겪게 되는 교수학습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그 연계를 강화하여 중학교에 수월하게 연착륙하도록 돕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