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초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 허혜경;신윤희;박소미;임영미;김기연;김기경;송희영;최향옥;최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14-327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58명의 학생이었으며, 연구는 2013년 6월 24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과 교육효과(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실습만족도, 자신감)를 조사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Mann-Whitney U 검정, Kruskal-Wallis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은 수렴자 46.6%, 융합자 34.5%, 적응자 15.5%, 분산자 3.4%이었다.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자신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습유형에 따른 교육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기초로 학습유형과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1학년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특성 (Character of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yles of the First year Students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 노효련;강신욱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3
    • /
    • 2012
  • 목적 : 본 논문은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물리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대학과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일학년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학습양식에서는 융통자가 가장 많았고 확산자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3년제와 4년제에서 학습양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 목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회피 목표에서는 물리치료학과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상호관련성에서는 수행회피 목표가 높을수록 집중자의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의 신입생들의 성취목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학습양식은 학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 가장 많은 학습양식인 숙달목표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각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일반화 및 정당화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rs by Learning Styles)

  • 유미경;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391-410
    • /
    • 2017
  • 본 연구는 학습유형이 상이한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 3명의 학습유형을 판별하고 주어진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행과정을 추적 관찰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지필환경과 함께 지오지브라를 활용한 동적기하환경이 제공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지오지브라의 활동이 기록된 학생의 산물, 두 연구자가 관찰하며 작성한 현장관찰일지, 과제 탐구 후 개별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그에 비해 정당화 수준은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 Study on Learners' Perceptions and Learning styles of Task Research (R&E) conducted by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Dong-Seon Shin;Jong Ke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286-294
    • /
    • 2023
  • We studied learners' perceptions and learning styles of project research activities in the chemical field conducted by 54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 a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s of task research,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internal motivation," "cooperation," "task solving," and "tenacity and immers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directedness," "cooperation," and "tenacity and immersion" by year. The 'lower' group responded most positively in the 'cooperation' category, and the 'higher' group responded most positively in the 'task solving' categor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who conducted the task research,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assimilator, converger, accommodator, and diverger. The assimilator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pproaching the problem. Convergers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bility, are practical, and have experimental-based thinking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well in the results of the learning style performed.

중학생의 수학학습양식 선호유형의 범주화와 학습 특성 비교 (Categoriz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ath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Comparison of Academic Characteristics)

  • 백희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15-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용 수학학습양식 판별도구를 개발하여 선호유형을 범주화하는 것이다. 개발된 수학학습양식 판별도구로 97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6가지의 수학학습양식 유형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고 이를 선행 연구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학습양식의 각 요인에 따른 양식별 남녀 학습자, 학년별 학습자의 분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수학학습양식 판별도구를 통해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학습양식을 파악함으로써 수학학습에 대한 학습자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획일화된 수업형태에서 벗어나 개별화 수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삶의 질과 학습유형의 관계: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Quality of Life Related to Learning Style among Healthy Elderly)

  • 이명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7
    • /
    • 2006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life and learning style of the elderly. Method: 106 elderly persons living in Seoul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arning style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Results: 17%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 low quality of life (QOL). The QOL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gender, current health status, perceived level of current life happiness, and monthly pocket money.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QOL was found in the Assimilator group, and the lowest average score was found in the Diverger group. Conclusions: Among the four categories significantly related to QOL, the case of learning style and current health status are the categories by which nurses can intervene to improve QOL. Thus, nurses should emphasize the relationship to improve the clients' QOL. Since the scores of QOL were high for the Assimilator and Accomodator groups, nurse should identify the learning style of the elderly as soon as possible and then help those who are under-developed, to further develop Assimilator and Accomodator learning styles.

  • PDF

의과대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간의 차이분석 (Assessment of VARK Learning Styles in Medical School and the Influence of Gender Status, Academic Achievement)

  • 유효현;김영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44-152
    • /
    • 2019
  • 학습양식은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며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VARK(Visual Auditory Read Kinesthetic, VARK) 학습양식은 사용하는 감각양식에 따라 시각, 청각, 읽기/쓰기, 운동감각으로 구분된다. 국내 의과대학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강조되지만 학습자의 VARK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VARK 학습양식을 조사하여 각 학습유형과 성별, 학업성취 수준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 C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394명의 학생이다. 학습양식검사는 VARK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Fleming이 개발한 VARK 검사지© 7.0 한국어버전, 총 16문항이다. 학업성취도는 표준화점수(t점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학습유형에 대한 빈도분석과 집단별 비교를 위한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t-test,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선호 양식은 단일형이 87명(22.1%), 다중형이 307명(77.9%)이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4개 연합형인 VARK를 가장 선호하였다. 성별에 따른 전체 학습양식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의학과 1학년은 단일형이 가장 낮고(8.8%), VARK 유형이 가장 높은 반면(47.8%), 의학과 4학년은 단일형이 가장 높고(30.7%), VARK 4개 연합유형(19.8%)과 3개 연합유형(19.8%)이 가장 낮았다. 모든 학습유형에서 학업성취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F=1.09, p=0.37). 의과대학 학생의 학습양식의 선호 결과는 추후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하는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미용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양식, 교수 이미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 안현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78-191
    • /
    • 2012
  • This paper is purposed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the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them. The research methods are survey with 400 persons & statistics analysis such as frequency, facto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14. The results are as belows; 1. Learning styles are divided by (1) shirker, (2) participate, (3) stand-alone, (4) dependent, (5) cooperative, (6) competitive, and professor images are divided by (1) professor ability, (2) professor relationship. 2. There is a relationship in learning styles and professor images. Especially cooperative, participate, dependent valued professor ability, shirker devalued it and cooperative, stand-alone, dependent, competitive valued professor relationship, shirker devalued it. 3. There is a relationship on learning styl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te, stand-alone, dependent achieve in high glades and shirker, cooperative low ones. 4. There is a no valid relationship with professor images an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5. The conclusion are; there ar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So shirker need endless motive giving program, participate pers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dependent creative motivating program, participate class attractive factors, stand-alone learner centered program.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Libraries, Learning Styles, Users' Experience, and Task Complexity

  • Sangari, Mahmood;Zerehsaz, Mohammad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55-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nd users'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ir experience of information systems.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four different factors including learning style, task complexity, and user experience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environments. Sixty participants (30 pairs) were randomly chosen from volunteer graduate students of Kharazmi University (Iran). Participants completed Kolb'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and a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then performed two information seeking tasks (one simple and one difficult) in a lab setting. They coul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ir partners or a librarian using Skype. The sessions were recorded using Camtasia.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an increase in task difficulty,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increased and more interactions with partners and the librarian occurred. The number of executive help-seeking requests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instrumental help-seeking request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learning style is related to the way users interact with the digital library and help seeking. The research showed that in difficult tasks, the differences among users with different learning styles become more evident, and that generally interactions increase in more difficult tasks. Among the learning styles, the accommodating style had the highest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Most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users' prior computer experience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time variable.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문제중심 학습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across Learning Styles in Nursing Students)

  • 이인숙;박창승;박희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58-5671
    • /
    • 2013
  • 본 연구는 PBL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6월까지 일 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2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중 242명의 자료를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유형은 수렴자가 가장 많았으며, 융합자, 적응자, 분산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이 적응자인 경우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수렴자인 경우 자기주도학습이 가장 높았다. 반면, 분산자인 학습유형의 경우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은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PBL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추후 더 많은 연구에서 다른 변인들을 이용하여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