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attitude

검색결과 1,341건 처리시간 0.028초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cial Skill Enhancement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이대규;변상해;문인숙;정의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1호
    • /
    • pp.113-127
    • /
    • 2010
  • 본 연구는 시설 아동에게 맞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아동선택 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희망하고 시간이 가능한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주 동안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시설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 통제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통제 행동 반응이 증진되어졌음을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시설 현장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회선 신경망을 활용한 자모 단위 한국형 감성 분석 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tter-unit based Korean Sentimental Analysis Model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 성원경;안재영;이중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33
    • /
    • 2020
  • 본 연구는 자모 단위의 임베딩과 회선 신경망을 활용한 한국어 감성 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감성 분석은 텍스트에서 나타난 사람의 태도, 의견, 성향과 같은 주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위한 자연어 처리 기술이다. 최근 한국어 감성 분석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범용 감성 사전을 사용하지 못하고 각 분야에서 자체적인 감성 사전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의 문제는 한국어 특성에 맞지 않게 형태소 분석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성 분석 절차 중 형태소 분석을 배제하고 초성, 중성, 종성을 기반으로 음절 벡터를 생성하여 감성 분석을 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단어 학습 문제와 미등록 단어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모델의 정확도는 88% 나타내었다. 해당 모델은 입력 데이터의 비 정형성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며, 텍스트의 맥락에 따른 극성 분류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국어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본 모델이 한국어 감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는 비전문가에게 보다 쉽게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여성농업인 정보화 시범사업 효과 평가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Women Farmers Information Project)

  • 심미옥;김화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1호
    • /
    • pp.107-119
    • /
    • 2001
  • As the information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and between men and women has been widening,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has initiated the women farmers information project from 2000. The aims of this project are; 1) to facilitate women farmers' computer and information application in agriculture and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and 2) to make them to be leaders to popularize computer application in rural area and agricultural sector. For these, RDA has provided not only PC, software, computer training but also the post support of extension educator to target group. This paper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roject, clarifying the related variables with the effect, and providing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ect. The data were gathered from 310 target women farmers and 166 extension educators in charge of the project all over the country by mailing survey with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omputer application of the target group was improved drastically, 2) As their self-assessment, they could improve psychological fear on the computer, recognition about information, and attitude to seek information, 3) This project was helpful for them in terms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farm(or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management, 4) They tried to disseminate the benefit of computer application to neighbors, so that the neighbors' interest in computer and attendance of computer training were improved, 5) Variables such as the computer training hours, the number of interaction with extension educator, formal schooling and farming histor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ject's effect. To enhance the project's effect the following strategies should be carried out; 1) The period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 should be standardized and the subjects should attend to the computer training course for the standardized period. 2)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 subjects, the extension educator should support them to use computer well and to overcome some difficulties as a beginner. 3) In selecting the subjects,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person who graduated high school at least. 4) The subjects should focus on using management software, gathering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business, and selling their products directly to the consumer. 5) So as to enhance the abilities mentioned above, RDA should strengthen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on-line training and providing educational software, besides of existing off-line training.

  • PDF

치과위생사의 교육훈련,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n Job Involvement in Dental Hygienists)

  • 정다이;장세진;노희진;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65-471
    • /
    • 2015
  •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 직업특성, 교육훈련의 경험, 그리고 심리사회적 특성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등이 직무성과의 대표적 지표인 직무몰입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S, I, G지역의 치과 병 의원에서 1년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여성 치과위생사 41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자기 기입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업특성, 교육훈련(학부 인문사회과목 수강경험, 취업 후 보수교육 등의 참여 경험), 심리사회적 특성(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등과 직무몰입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이나 직업특성보다는 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인문사회과목 수강경험과 심리사회적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였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몰입 향상을 위해 인성강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의 인문사회 교과목 편성의 제도적 보완, 자신의 업무역량을 강화시키고 업무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개발기회의 보장과 조성, 그리고 직장동료나 상사와의 다양한 정보 공유와 도움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직장 내 멘토링 제도 등의 도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일개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과정 타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of Dental Communication Curriculum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 최용금;배수명;신보미;손정희;박덕영;최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6-314
    • /
    • 201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의 타당도는 전문가 3인에게 기재된 타당도 평가지를 제공하여 검토를 의뢰하였다. 주차별 교육내용 및 교육시기에 대한 타당도는 최소 4점, 최대 5점으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평가와 인증평가 기준에도 합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해당학년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으로 구성하되, 1개 학기에 그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단계적, 연계성을 갖고 이론과 실습 학습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향후 치위생(학)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향후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 (Community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 안은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225-248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된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 아동의 발달부분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와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인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를 주요 변수로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발달에 관한 잠재성장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빈곤아동의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또한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은 공동체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에 부정적 영향을,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돕고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빈곤층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치기공과 학생의 수업 방해 요인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 between class distracting factors and class satisfaction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 권순석;이혜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3-27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class distracting factors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and then provide a primary data to help further related studie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with which instructors can efficiently manage their classroom. Methods: For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a survey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May 2017 to the end of Jun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Dental Technology students of D-city, K-city, W-city, se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rated and 437 valid results were chosen for our analysis among 450 distribu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ly, The overall average point of class distracting factors was 2.5 point.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highest point as 2.59 and as for the subcategories tiredness and drowsiness was the highest point as 2.76. Secondly, The overall average point of class satisfaction turned out 3,88 point and compliance with class and attitude factors gained the highest point as 4.06. Of the subcategories strict roll checking was the highest point as 4.17. Thirdly, As for class distracting factors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as follows; 'instructor factor'(p<.01), 'learner factor'(p<.05), 'total class distracting factor'(p<.05) in the area of gender, 'environmental factor'(p<.001), 'total class distracting factor'(p<.01), 'learner factor'(p<.05), 'instructor factor'(p<.05) in the area of gender 'learner factor'(p<.001), 'instructor factor'(p<.001), 'environmental factor'(p<.001), 'total class distracting factor'(p<.01) in the area of class grade, 'environmental factor'(p<.05) in GPA. Fourthly, A statistical significance, a negative correlation (p<.01) were shown between class distracting factors and class satisfaction. Class distracting factor that especially affects the class satisfaction was instructor factor(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urned out 14.7%, which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p<.001).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instructor factor is the key to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So it is crucial that the instructor faithfully prepare for the class to reinforce the students' learning.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should be followed with more subjects and newer perspectives to develop innovative teaching methodology.

‘남자한복바지만들기’에 VTR을 활용한 가정과 교수.학습의 효과 (The Effect on Method of the Teaching & Learning Home Economics by the use of VTR on Making Korean Man’s Slacks)

  • 이정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we can get over the difficulties of practical drill under experimentation concerning the units of making clothes in the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The import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the field of the making Korean cloth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materials by the use of VTR, is one of the most insufficient. On the one hand, the teaching procedure here a VTR, running 34 minutes or so, was made up with the process of making Korean men’s slacks, and was led by the researcher’s own. The contents of the lesson are as follows: the shape of Korean clothes, the name of each part, the process of drawing, cutting and sewing, and the items of evaluation and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two comparative groups were made to compare one with the other: One group was taught by help of VTR media, and the other by the model performance and explanation of the instructor’s own. All of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SPSS/PC, and t-verification was made, to mak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fter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domains. The consequences of the test research are shown as below: 1.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was obviously made in considering that the group made a bett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one in understanding to process of making Korean clothes. 2. The difference of skill was highly made in considering that the group made a bett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one in the practical drill of making Korean clothes. 3. The difference of interests was evidentally made in considering that the group made a bett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one in the stage of making Koran clothes. Such means that the motivation and attitude of the learners was made stimulate by the Audio-Visual material than by the traditional cramming method. 4. The difference of frequency was fairly made in considering that the experimeatal group made a bett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one in the frequency of individual teaching. 5. The difference of the efficiency of time-consumption was clearly made in consider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bett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one.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bove, the medium of VTR proved to more effective to the achievement of schoolwork and the strategies of teaching. Therefore, more use of VTR media will help the instructors with the difficulties of practical drill in the whole process of making Korean clothes; Widely use of VTR media in teaching will be surely more fruitfull to the unit of making Korean clothes than teaching by explanation.

  • PDF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성교육이 중학생의 건강한 성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 기술.가정 교과 '청소년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sex education on sound sexual value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

  • 강소정;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36
    • /
    • 2013
  • 본 연구는 이성교제, 성과 사랑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성적 의사결정과 성가치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성교육이 청소년의 성가치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강릉시 K여자 중학교 1학년 4학급 134명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배려하는 성, 안전한 성, 책임있는 성 측면에서의 성가치관 수업 5차시의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2011년 8월 29일부터 9월 15일까지 수업을 적용하였다. 134부의 설문지는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성가치관 차이를 검증하고 수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스토리텔링 활동을 적용한 학습활동지 38부를 성가치관 영역별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성가치관 수업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배려하는 성에서는 이성교제 장점 인식정도가 높아졌고 운동, 그림 그리기 등의 건강한 성적 욕구 해소방법의 사용 정도가 증가하였다. 안전한 성 가치관에서는 임신을 예방하는 안전한 피임방법의 선택 등에서 점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책임있는 성에서도 10대 임신에 대한 책임의식이 높아졌고 낙태 허용에 대한 의식도 낮아졌다. 스토리텔링 활동인 이성교제 연상어 적기에서 애정표현, 기념일, 휴대폰 요금에 대한 내용이 많았으며, 이성교제의 장점은 친밀감형성이 가장 많았고, 단점으로 데이트 비용이 가장 많았다. 성적 자기결정권 만화로 표현하기에서는 상대방의 스킨쉽에 대해 싫다는 단어를 사용하여 거절하는 표현이 가장 많았고, 자신이 원하는 만남의 형태를 표현하기도 있었다. 낙태는 생명을 죽이는 것이라는 이유로 대부분의 학생이 반대하였고, 표어 포스터그리기는 생명이 소중함과 모체에게 있어 낙태의 부정적 영향과 안전한 피임방법의 실천을 많이 표현하였다. 5차시 수업 후 학생들은 성에 대해 사랑과 책임이 중심이 되는 성으로 변화하였고, 앞으로의 이성교제에 대해서는 건전하고 배려하는 만남을 하며 성적 자기결정권을 분명하게 표현하겠다고 말하였다. 낙태를 절대 하지 않고 안전한 피임방법을 알아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해 실천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하였고, 10대 임신에 관련해서 사랑에는 책임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생명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을 때 이성과의 성관계를 하겠다고 이야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