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centered instruc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학습자 중심 교수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와 성장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academic str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growth beliefs)

  • 김종백;김준엽;이성원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183-205
    • /
    • 2018
  • 학습자 중심 교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본인의 성장과 성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이런 학습자의 믿음과 신념은 성취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성장신념,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5차 년도(초6~중2)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영향에 주목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모두 긍정적으로 예언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를 더 잘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는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스트레스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신념은 학습자 중심 교수와 동기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가 성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며, 성장신념을 가진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외재적 동기는 성장 가능성을 믿는 학습자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장신념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3요인(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학업스트레스)은 변화에 따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관계가 기존에 연구되던 학습동기가 아닌 성장신념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인식과 믿음이 내재적 동기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임을 유추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방향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 곱셈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s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Reasoning Ability - With Focus on the Area of Multiplication for 2nd Graders -)

  • 정현실;김진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6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능력이 다소 처지는 학생들도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았을 때 이들도 또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성주의자들의 가정을 확인을 하는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과 객관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각 집단은 각 실험처치를 통해 곱셈을 학습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자들의 추론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자들의 연역적 추론 능력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다소 학습능력이 처지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중심 수업보다 실험처치 중 학습하지 않은 수학적 지식의 개념 및 원리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학생의 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분수 및 다각형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ner-Centered Mathematical Instructions on Students' Reasoning Ability and Achievement)

  • 차소정;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43-6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실험처치 중 학습한 내용에 대한 재생능력과 실험처치 중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생성능력)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4학년 분수단원과 다각형 단원을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에 적합한 수업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특히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은 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거듭 할수록 학생들의 추론 능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학생들의 추론능력의 함양과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과 수행평가 (The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 김진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8
    • /
    • 2008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교사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이라고 본다. 이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입되면서 평가에서도 기존의 표준화 검사에서 수행평가를 강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 및 교육 정책가들은 현재 지금 이 시점에서 수행평가가 실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 검사로 회귀하자는 주장을 한다. 본 글은 이런 주장에 대한 반박을 하기 위해서 작성 되었다. 수행 평가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진행되었을 때 가능한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시하는 중에 실시되는 평가로서의 수행평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A Teacher's Cognizance Chang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ho Implement it)

  • 김진호;이소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105-121
    • /
    • 2008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기본정신으로 하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선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수업은 전통적인 교사중심 수업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수업에 익숙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충실하게 실천한다는 것은 대단한 도전이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천하면서 자신이 형성하고 있던 아동관, 교과서관, 교사관 등에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진술하고 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위한 수업자료의 몇 가지 특징 (On Som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189-199
    • /
    • 2012
  •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수학교과서에 제공되어 있는 수업자료로 수업을 할 때 학습자 중심 수업의 진면목이 들어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실천에 옮기기에 적합한 수업자료가 지녀야 하는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 개발시에 본 고에서 논의한 특징들이 반영된 수업자료가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곱셈단원을 중심으로- (Achievement of Students who hav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r Multiplication Units)

  • 김진호;이소민;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5-151
    • /
    • 2010
  •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을 반영하여 개발한 곱셈단원 수업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수업을 초등학교 2학년 학습자에게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성취도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 곱셈단원을 학습한 집단과 초등 수학교과서를 토대로 교사 중심 수업으로 곱셈단원을 학습한 집단의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먼저, 추론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추론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업을 실시한 후, 2학년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곱셈지식을 측정한 재생검사는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학년 학생들이 배우지 않은 3학년 이상의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곱셈지식을 측정한 생성검사I과 생성검사II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초등수학교과서로 교사 중심 수업 보다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수업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습자의 지식이 전이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강의형태에 따른 학습매체 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medium according to learner attitude and lecture mod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심선주;홍수민;하정은;박정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41-84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medium according to learner attitude and lecture mod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web-bas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cted by 155 dental hygiene students in Cheonan from May 26 to June 5,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chool adaptation, interest to learn, effort to learn, faculty centered lecture, learner centered lecture, self-directed learning, motivation to learn,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satisfaction with lecture mode. The study was approv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by Baekseok University.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to medium of instruction according to explanation factors. Results: The lecture mode, opportunity and motivation to learn, interest to learn and effort to learn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o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medium.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djusted odds ratio was 6.28 for the opportunity to learn and 4.87 for the interesting to learn.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mediu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cides the lecture mode and learner attitude including opportunity to learn and concern to learn.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 초등학교 4학년 분수 영역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 Lessons Based on Constructivism Ideas on Learners' Achievements - With Focus on The Area of Fractions for 4th Graders -)

  • 김태향;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67-84
    • /
    • 2010
  •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반영한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질통제집단 설계를 통한 준실험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은 학습한 내용에 대한 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학업성취도에서도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 능력이 처지는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여 촉진하기 -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구성을 돕는 과학 전담 교사의 실천적 지식 - (Facilitating Participation - A Science Subjec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for Helping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

  • 한문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44-2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ractical knowledge used by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 during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can promote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Using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the researchers collected students' interest diaries, post interviews with students, video recordings in science classes, and students' personal diaries and analyzed them by means of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this way,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held by the teacher and explained how it was applied in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to promote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Three images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emerged and can be categorized under the following headings: 1) 'From science classroom to science $caf{\acute{e}}$', 2) 'Pleasant experiment class for all students and the teacher', and 3) 'A science class for students who were marginalized'. These images were backed up by principles and rules, and the teacher came to embody these images as he implemented these rules.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the impact of a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s can be interpreted as promoting positive outcomes rather than negative sanctions, meeting students' expectation from lab activities, and meeting the specific needs of marginalized students in a scienc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