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pot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7초

Partial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omato yellow fruit ring virus Isolates from Potato

  • Pourrahim, Reza;Golnaraghi, Alireza;Farzadfar, Shirin;Ohshima, Kazusat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390-400
    • /
    • 2012
  • Eight potato-producing provinces of Iran were surveyed during the growing seasons of 2004-2006 to detect the presence of Tomato yellow fruit ring virus (TYFRV), a tentative species in the genus Tospovirus. A total of 1,957 potato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lants with tospovirus-like symptoms of chlorotic or necrotic spots, chlorosis and necrosis. The samples were tes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TYFRV-specific antibodies. Among those tested, 498 samples (25.4%)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the virus. The virus was detected in 72.4% of the potato fields in all provinces surveyed. Thirteen potato isolates of TYFRV were selected for further bi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Based on their reactions on Nicotiana tabacum plants, the isolate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namely L (local infection) and N (systemic infecti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nucleoprotein (N) genes of the isolat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e homologous sequences in Genbank. No recombination evidence was found in the isolates using different recombination-detecting programs. In the phylogenetic tree, the potato isolates fell into two major groups: IRN-1 and IRN-2 corresponding to the two biologically separated groups. This study shows for the first time the biological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ographically distant TYFRV isolates from potatoes in the mid-Eurasian country of Iran.

한국산 족도리풀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 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1-270
    • /
    • 2008
  • 한국산 족도리풀속 식물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여 7종으로 정리하였다. 이 중 한국 특산종은 Asarum glabrata, A. koreanum, A. maculatum, A. patens, A. versicolor 의 5종이었다. 족도리풀속 식물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은 악통과 악편의 형태, 크기 및 색깔이었으며, 잎 표면의 흰색 반점 유무, 잎의 크기, 색깔 및 두께, 모용의 존재, 주두 돌기의 형태 및 크기, 그리고 악편의 두께 등도 유용한 형질임이 확인되었다. 정확한 종동정을 위해 종검색표와 각 분류군의 기재 및 화부구조의 도해를 제시하였다.

Alternaria yunnanensis sp. nov., a New Alternaria Species Causing Foliage Spot of Rubber Tree in China

  • Cai, Zhi-Ying;Liu, Yi-Xian;Shi, Yu-Ping;Dai, Li-Ming;Li, Lan-Lan;Mu, Hong-Jun;Lv, Mei-Lin;Liu, Xiao-yong
    • Mycobiology
    • /
    • 제47권1호
    • /
    • pp.66-75
    • /
    • 2019
  • A new species of Alternaria causing leaf spots on the rubber tree (Hevea brasiliensis) in Yunnan, China, was isolated, examined, and illustrated. Morphologically, it belongs to the section Porri of Alternaria, which produces relatively large conidia and a simple or branched, filamentous long beak. It is, however, characterized by conidiophores gradually enlarging near the apex into a clavate conidiogenous cell and long ellipsoid to obclavate, smoothwalled conidia with a long filamentous beak.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ITS rDNA, GAPDH, and TEF1-alpha sequences demonstrate that the phytopathogen falls in the clade of the section Porri, being most closely related to A. sidae, A. sennae, A. deseriticola, A. cyamopsidis, A. rostellata, A. nitrimali, A. crassa, and A. thunbergiae.

분화용 무궁화 자색 단심 'Red Bohanjae' 육성 (A New Cultivar Hibiscus syriacus 'Red Bohanjae' with Small Violet-Pink Flowers for a Pot Plant)

  • 하유미;김동엽;심경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92-297
    • /
    • 2015
  • 무궁화 신품종 '레드보한재'는 모본 백단심계 '안동'(H. syriacus 'Andong')과 부본 '삼천리'(H. syriacus 'Samchully')를 교배한 조합에서 선발되었다. 2002년에 교배를 하여 2004년에 실생 개체 '02-RV-17'를 양성하였고, 2005년부터 3년간 생장검정시험 후 생장 및 개화 특성이 분화용으로 우수성이 인정됨으로써 2011년 최종 선발하였고, 2012년 품종보호권을 등록하였다. 신품종 '레드보한재'는 가지의 배열상태가 위로 향하고 수형은 키가 작은 왜성형이다. 잎 길이와 폭은 각각 4.2cm, 2.3cm로 대조품종 '야음'에 비하여 작고 꽃잎의 색이 약간 보라색을 띤 분홍색이다. 또한 꽃의 크기가 9.2cm로 대조 품종에 비해 작고 꽃잎의 모양은 주걱형이다. 개화기는 7월 3일로 대조품종의 7월 10일에 비해 1주일 정도 빠른 여름 개화형이고, 10월 12일 개화가 끝이나 총 개화기간이 101일로 대조품종의 80일에 비해 길다. 신품종 'Red Bohanjae'는 종자산업법 제 55조에 의거 2012년 최종등록(품종보호 : 제 4118호) 되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배나무 바이러스병 (Occurrence of Pome Fruit Viruses on Pear Trees (Pyrus pyrifolia) in Korea)

  • 조인숙;김대현;김현란;정봉남;조점덕;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6-330
    • /
    • 2010
  • 2009년 가을, 배 주산단지인 나주, 울산, 안성의 3개 지역에서 신고, 원황, 추황 품종을 대상으로 배 바이러스병 발생률을 ELISA와 RT-PCR로 조사한 결과 ELISA 검정은 ACLSV, ASPV, ASGV 3종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35.2%의 발생률을 보였다. RT-PCR 검정은 ELISA 검정 보다는 적은 시료로 검정을 수행하였지만 ACLSV, ASPV, ASGV 3종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86.3%의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ELISA와 RT-PCR 진단 모두 ASGV > ASPV > ACLSV 순으로 ASGV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지만 발생률에는 ELISA 22.1%, RT-PCR 74.2%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배 바이러스 검정은 ELISA 방법 보다 RT-PCR 방법이 바이러스 검출에 적합하다. ASGV가 감염된 신고 잎에서는 부정형의 검은점 증상이 보였으며 ASPV와 ACLSV가 감염된 식물체에서는 별다른 이상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RT-PCR로 증폭된 ACLSV, ASPV, ASGV 유전자는 기존에 보고된 바이러스와 83~94%의 상동을 보였고, 특히, ASPV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이 확인되었다.

한국산 수거머리말(Zostera caulescens Miki.)의 형태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caulescens Miki (Zosteraceae) in Korea)

  • 이상룡;서영배;김상태;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45-357
    • /
    • 2002
  • 한국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에 포함되는 수거머리말(Z. caulescen Miki)의 형태 및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육환경, 외부형태학적 형질, 잎과 종자의 미세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남해연안의 거제 가배리와 진도 죽림리에서만 수거머리말의 실체가 확인되었으며, 생육지의 환경은 파랑의 영향이 적은 내만의 수심 $3.0{\sim}6.5m$의 사니질 또는 니사질의 퇴적환경에서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길이, 잎 너비, 엽맥 수, 잎 표피 세포의 크기와 수, 종피의 늑골 수, 생식지 상에 수관 형성 여부, 잎 가장자리와 중앙의 두께 및 색조의 차이, 종자 표면의 anthocyanin색소 집적에 따른 자주색의 반점,잎 표피세포의 기본모양에서 수거미리 말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남해안 가배와 죽림의 집단에서 생육지에 따른 외부 형태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계의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가배리$(367.3m^{-2},\;725.7g\;dry\;wt\p;m^{-2})$에서 죽림리$(112.5m^{-2},\;392.0\;g\;dry\;wt\;m^{-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생물량은 지하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밀도와 생물량은 생식지의 개체수와 개체 당 생물량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A STUDY 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RICE STRAW IN CHINA

  • Tingxian, X.;Rejun, F.;Zhiliang, T.;Leihua, H.;Huiping,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291-300
    • /
    • 1993
  • The agronomic, morphologic and nutritive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for ten varieties of the early-, medium- and late- maturing rice from five types of soil in south of China. The results are shown that (1) The higher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re (NDF), cellulose (CEL), hemicellulose (HC) and lignin (LIG), but lower crude protein (CP) and neutral detergent solubles (NDS) contents were noted for the whole plant of rice straw during maturation; (2) As far as the feed nutritive value, segments (S) is highest, then leaf blades (LB), leaf sheaths (LS) lowest. However, LB and LS are constituted about 75% of whole plant,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is depended upon the nutritive quality of LB and LS; (3) The dry matter disappearances (DMD) values of different spots of rice straw are different, the eary-maturing highest, then the medium; the late- lowest; (4) The DMD value of different fractions is different, S highest, then LB, LS lowest; (5) The different retention time in rumen, the DMD value of rice straw is different. As time following, the DMD value increased gradually, during 48-72 h, the DMD value achieves close to highest; (6) The grain yield (r = -0.91), plant height (r = -0.87) and full-filling grain percent (r = -0.75) a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DMD value, but the leaf/stem (r = 0.59) and the proportion of stem (r = 0.58) a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DMD value. The relations between chemical compositions and DMD value are: Early-: DMD = 7.372 + 0.055 DM - 0.532 CP - 2.487 NDF + 1.143 ADF + 0.214 CEL + 1.456 HC + 0.718 LIG (r = 0.61). Medium-: DMD = 333.927 + 2.026 DM - 0.224 CP - 4.602 NDF + 4.524 ADF + 0.149 CEL + 2.923 HC + 0.035 LIG (r = 0.79). Late-: DMD = 133.284 + 0.282 DM - 3.455 CP - 22.185 NDF + 24.267 ADF + 0.316 CEL - 23.288 HC + 0.945 LIG (r = 0.79).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on the basis of the agronomic, morphologic measureme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relationship with DMD value.

인공산성(人工酸性)비 후(後) 일반(一般)비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작물생육(作物生育)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 (Crop Performanc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ffected by Amounts of Normal Water after Simulated Acid Rain)

  • 김복진;박선도;이석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1-347
    • /
    • 1996
  • 인공산성비 다음에 처리된 일반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공산성비(pH 2.7)를 5mm, 10mm를 살포한 후 일반비를 각각 0, 5, 10mm 씩 살포하는 처리를 3일 간격으로 배추와 무는 20회, 콩은 42회 실시하여 작물의 가시적 피해증상,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과 관련된 특성, 식물체 및 토양의 무기 양분 함량 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무, 콩의 가시적 피해정도는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심한 편이었고, 일반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감소되었다. 피해증상은 잎이 담갈색, 연록색으로 변하고, 황백색의 괴사 반점이 생기면서 잎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배추, 무, 콩 모두 인공산성비 5mm보다 10mm 처리에서 높았고, 인공산성비 처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3. 배추, 무, 콩 등의 수량은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또 인공산성비 살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4. 식물체중 무기양분 함량은 일반비 처리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무와 콩의 황 함량은 인공산성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5.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배추, 무, 콩 모두 토양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질소와 황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인산, 치환성 칼슘, 마그네슘 및 칼리 함량 등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주요 오이 품종의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to Downy Mildew among Major Commercial Cucumber Varieties)

  • 이중섭;한경숙;이성찬;소재우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188-195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수집 및 아시아채소개발센터 보유 품종인 오이 22종을 이용하여 노균병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 정도를 구명하고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자 대만 타이난소재 아시아 채소연구 개발 센터에서 수행하였다. 수집 품종에 대한 노균병 병원균 접종은 모든 수집 품종의 생장 단계 중 유엽이 5-6엽 전개되는 유묘 초기에 병원균을 접종하여 검정하였다. 이때 노균병 발병에 최적 발병조건 유지를 위해 온도 조절이 가능한 항온기 내에서 처리 후 일정기간 유지하였다. 노균병균의 접종농도는 $1{\times}10^5$ spores/ml의 포자 현탁액을 오이 잎에 1회 분무 접종 후 잎에 발생한 병반수를 6, 9, 12, 15일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15^{\circ}C$$25^{\circ}C$ 챔버에서는 병반 형성이 매우 낮았으나 $20^{\circ}C$ 처리에서는 처리 품종당 평균 병반수 20-30개(5엽 기준)를 나타내어 병반 형성이 비교적 높았다. 처리 품종별 병반수는 'C-19' 품종에서 0.90(10-20% 미만)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비교적 병반수가 낮아 노균병에 대한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기타 품종에서는 병반수가 다량 형성되어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이 낮았으며 처리 후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더욱 증가되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에 의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Blight of Sesam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

  • 이승돈;이정희;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6-151
    • /
    • 2005
  • 2000년 수원, 홍천, 연천 지역의 참깨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 수침상의 작은 점무늬를 형성하다가 점점 커져 괴사가 일어나고 주위로 황화되었다. 심하게 감염된 경우는 병든 잎은 떨어졌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 하였을 때 Xanthomonas 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cfu/ml$로 현탁한 후 3주 동안 자란 참깨 잎에 분무 접종하였을 때 처음과 같은 증상이 재현되었다. 분리된 세균은 대조균주 X. campestris pv. sesami LMG865와 지방산 조성 및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100\%$의 가능성으로 X. campestris pv. sesami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병원균은 $18\~36^{\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27^{\circ}C$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 보고는 국내에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최초 보고이며, P. syringae pv. sesami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과 외부적인 병징으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