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hape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6초

Curvularia trifolii에 의한 크리핑벤트그래스 잎마름병 발생 (First Report of Curvularia Leaf Blight Caused by Curvularia trifolii on Creeping Bentgrass in Korea)

  • 성창현;구준학;김정호;윤정호;이정한;심규열;곽연식;장석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01-104
    • /
    • 2016
  •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경상남도 합천 지역의 크리핑벤트그래스(Agrostis stolonifera) 퍼팅 그린에서 Curvularia trifolii에 의한 Curvularia 잎마름병이 관찰되었다. Curvularia 잎마름병은 크리핑벤트그래스 잎몸에서 수침상으로 시작되어 진한 괴사반점으로 변한 다음, 크기가 확대되어 회갈색 또는 밝은 갈색의 동그란 타원형 병반이 되었다. 반점의 둘레는 자주 분홍 또는 진한 갈색의 경계를 갖으며 둥그런 무리(halo)를 보였다. 괴사 반점들은 융합되어 불규칙한 모양이 되었고 잎끝 또는 잎 전체가 말랐다. 마른 잎몸은 회백색이나 황갈색을 나타냈다. 그 균은 균학적 특성과 16S rDNA 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되었다.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크기가 짧았고, 보통 3개의 격막을 가졌으며, 곧거나 자주 휘었는데 양끝 세포는 일반적으로 가운데 세포보다 투명하였다. 3개의 격막을 지닌 분생포자의 배지상 크기는 $26{\sim}28{\times}11{\sim}12{\mu}m$였다. 기주에 대한 균의 인공접종으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C. trifolii가 크리핑벤트그래스에 Curvularia 잎마름병을 일으키는 우리나라 최초의 보고이다.

한국산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6절의 분류 형질에 관한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 subgenus Vigena Nees of Carex L.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조미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7-253
    • /
    • 2003
  • 한국산 사초속(Carex Linn$\acute{e}$)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통보리사초절(sect. Macrocephalae K$\ddot{u}$k.), 나도벌사초절(sect. Gibbae K$\ddot{u}$k.), 겹개구리사초절(sect. Stellulatae Kunth), 충실사초절(sect. Elongatae Kunth)과 타래사초절(sect. Ovales Kunth) 식물 각각 1종과 산사초절(sect. Heleonastes Kunth) 식물 2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총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총포의수,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 정성적 형질(암 수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 줄기의 단면모양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구성요소; 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과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와 털의 유 무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 결과 괭이사초아속에 속하는 6절의 식물 중에는 자웅이주로 암꽃 이삭화서와 수꽃 이삭화서가 다른 개체로 된 통보리사초절과 자웅동주이나 수꽃이 아래부분에 암꽃이 윗부분에 배열되는 양성화 이삭화서로 자웅형이삭(gynecandrus) 형태를 이루는 나도벌사초절, 겹개구리사초절, 충실사초절, 타래사초절, 산사초절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과낭의 가장자리의 날개모양과 부리모양, 과낭 표피의 맥의 유 무,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 무가 괭이사초 아속에 속하는 절과 종을 구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확인 되었다.

규산질 및 석회질 비료가 칼라(Zantedeschia aethiopica)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icate and Lime Fertilizer on Growth of Zantedeschia aethiopica)

  • 구대회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2-227
    • /
    • 2008
  • 석회질 및 규산질비료가 칼라의 생육, 절화품질, 줄기 경도 및 무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석회질비료 처리에서 잎의 생장 및 초장은 기비보다 엽면살포구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CaCl_2$ 0.1% 처리구가 초장 111.7cm, 엽장 32.7cm, 절화장 118.6cm로 무처리 73.3cm, 23.8cm 및 79.6cm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석회질 비료가 줄기 경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비보다 엽면살포구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엽면살포 처리중에서도 0.1% 처리구에서 가장 경도가 강했고 세포 및 조직이 규칙적이었다. 규산질비료처리구에서는 농용규산 $50kg{\cdot}10a^{-1}$ 처리구에서 잎의 생장, 생체중, 경도 및 절화품질 등 모든 변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석회 및 규산질비료 시용과 무름병과의 관계는 엽면살포구보다 기비처리구에서 발병율이 낮았으나 두 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는 다발하여 무름병과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칼라의 생육 및 개회에는 석회질비료가 규산질비료보다 효과적이었고 적정 농도는 0.l%였다.

한국산 원지속(Polygala) 약용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Medicinal Plants of Genus Polygala)

  • 오병운;노재섭;이경순;김재길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6-322
    • /
    • 1996
  • Three medicinal species of the genus Polygala were examined by comparative morphology, anatomy and TLC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and distinct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is study. Group I is composed of P. japonica, P. sibirica and Group II P. tenuifolia. Consider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groups by the differences of leaf shape, adnated part of petal, flower colour, fruit shape etc., Group II may have been independently evolved from the common ancestor by having one raw of palisadelike chlorenchyma under the stem epidermis through the different pathway.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taxa of Group II appear to b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Group I.

  • PDF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형태 특징 추출 기법 (A Technique for Shape Features Extraction Us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 김경수;이영신;김용국;이윤배;김판구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357-136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형태특징추출 알고리즘의 조건인 기하학적 변환에 불변하도록 모멘트 알고리즘을 이용한 간단한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고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적용하여 물체의 형태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검색영상 수를 줄이기 위해 인식객체의 이심률(eccentricity)과 원형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원형도(circularity)를 검색필터로 사용하였다. 다양한 식물잎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특징추출방법이 기존의 푸리에 서술자(Fourier Descriptor)나 모멘트(Moment) 알고리즘을 적용했을 때 보다 인식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PDF

조선중기 공포형식 간의 장식요소 상호영향과 그 의미 (The Mutual Effect and Meanings of the Decoration Elements between Bracket Styles in the Mid-Joseon Period)

  • 홍병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6호
    • /
    • pp.27-34
    • /
    • 2016
  • There were lots of changes of the wooden structur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the time of replacement from Jusimpo (simple bracket system) to Ikgong (wing-like bracket system) and each bracket had shown mutual variation as well as itself. The aspects of change were discovered that the decorative elements of Ikgong and Dapo (multi-bracket system) had accepted from each other. It was clearly shown that not only the Ungung (carved cloud-shape) and Chotgaji (shape of the acuminate leaf) of Ikgong had affected to Dapo, but also Gaang (pseudo-pointing cantilever) of Dapo had affected to Ikgong. It was mostly found in the Buddhist architecture because there was the conservatization of ruling hierarchy as well as the active growth of Buddhist society.

늦서리 피해 뽕나무 품종별 회복정도 (Recovery of Several Mulberry Varieties from Late Frost Damage)

  • 김종한;김동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3-117
    • /
    • 1990
  • 충북 청주 일원에 1990년 4월 24-27일, 4일간에 걸쳐 조상최저온도가 -5.7--8.2$^{\circ}C$로 급강하하여 연구 및 개엽상태에 있는 뽕나무에 심한 늦서리 피해를 주었다. 본 조사에서는 품종별로 피해와 회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량뽕, 청일뽕, 잠상 21호 및 22호 등 4개 품종에 대하여 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예년의 기상과 비교해 보면, 4월 하순은 기온이, 5월 상하순에는 일조가, 5월 하순에는 기온 및 강우량이, 6월 상순에는 다시 강우량이 모두 떨어져 4월하순부터 6월상순까지 계속 뽕나무의 회복에 불량한 환경을 보였다. 2. 서리가 내린 당시 잠상 21호는 2-3개엽으로 가장 빨랐으며, 개량뽕과 잠상 22호는 1-2개엽, 청일뽕은 연구-1개엽으로 가장 늦었다. 3. 서리가 내린 15일 후인 5월 12일 1개엽을 보여서, 예년보다 19일 늦었으며, 이런 차는 수확때인 6개엽까지 계속되었다. 4. 신소장은 전년대비 50-58%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0%였고, 잠상21호는 58%로 가장 높았다. 5. 엽수는 전년대비 52-67%였으며, 개량뽕은 가장 낮아서 52%였고 잠상 21호는 67%로 가장 높았으며, 앞의 길이와 폭은 전년대비 80%내외였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5%이내였다. 6. 신소량은 전년대비 44-63%, 정엽량은 39-61%이었으며, 개량뽕이 가장 낮은 품종이었고 잠상 21호가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청일뽕은 개량뽕과 비슷하였고, 잠상 22호는 21호와 비슷하였다. 7. 조상량에 대한 신초엽량 비는 예년의 75%에서 55-61%로 떨어졌고, 신소엽량에 대한 정엽량은 예년의 72-76%로 5-10%로 떨어졌다. 8. 수엽량은 전년 대비 잠상 22호가 57%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개량뽕 61%, 잠상 21호 64%, 청일뽕 72%이었고, 절대수량은 개량뽕이 827kg/10a으로 가장 적었으며, 다른 품종은 1,000-1,050kg/10a 정도였다.

  • PDF

남북한 전통의상에 사용된 장식문양에 관한 비교 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corative Pattern for the Traditional Costume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 on Women Dress Since in the Middle 1990s -)

  • 정혜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27-633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kinds, expression, techniques and arrangement of patterns for the traditional women's costume from 1995 to 2002 in Nor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outh Korean. Conclusions are as follows : In the kinds of patterns the natural plant patterns were much more frequently used in North Korea. These tendency was same to South Korea. And the geometric pattern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frequency in the expression of patterns, it was the realistic, geometric, stylized shape in North Korea. To the contrary it was the stylized, geometric, realistic shape in South Korea. In terms of decorative techniques, not only the traditional embroidery, gold leaf, multicolored stripes, but also modern collages, painting, beads, applique, flounce, ruffle were used in North Korea. Modern techniques were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North Korea, traditional techniques were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South Korea. In terms of arrangement of patterns, the modern arrangement was much more frequently used. And localized type of modern arrangement was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traditional beauty was generally expressed by natural patterns, realistic shape and modern beauty was generally expressed by modern techniques and arrangement of patterns in North Korea.

히어리속 식물의 조경 소재 이용을 위한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Species for Landscape Uses)

  • 심경구;하유미;이선아;박장혁;김동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94-103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flower and winter bud of Corylopsis species such as C. coreana, C. spicata, C. sinensis, C. willmottiae, C. willmottiae 'Spring Purple', C. wilsonii, C. spicata 'Yellow Spring', C. gotoana, and C. vechiana. In the Corylopsis species, C. coreana, C. willmottiae, and C. vetchiana had larger flowers, longer flower cluster, and more flowers than other species. C. sinensis and C. veitchiana had fragrant flowers. In addition, species with beautiful leaf color were C. spicata 'Yellow spring' with yellow color and C. willmottiae 'Spring purple' with purple color, which eventually changed to green. The winter bud of C. sinensis, C. willmottiae, C. willmottiae 'Spring Purple', and C. vechiana were oval and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pecies. Comparis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C. coreana, C. spicata, and C. sinensis, C. coreana showed they had earlier flowering dates and brighter yellow flowers than those of other species. Flower cluster of C. sinensis was shortest, but it had most number of flowers and fragrance. In addition, the winter buds of C. coreana and C. spicata with elliptical shape were different from that of C. sinensis with oval shape. Therefo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Corylopsis species were found to be promising as woody landscape plants: C. coreana, C. sinensis, C. willmottiae 'Spring Purple', C. spicata 'Yellow Spring', and C. vechiana.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검은별고사리(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관중과) (Unrecorded fern species from Korean flora: Thelypteris interrupta (Thelypteridaceae) and Dryopteris subexaltata (Dryopteridaceae))

  • 문명옥;김찬수;강영제;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1-489
    • /
    • 2002
  • 제주도의 수악계곡과 김녕리에 생육하는 검은별고사리[Thelypteris interrupta (Willd.) K. Iwats.] [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관중과]를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검은별고사리는 별고사리[T. acuminata (Houtt.) C. V. Morton]와 유사하지만 지하 줄기와 엽병 기부 및 포자의 색깔, 잎 이면의 선모의 유무, 포자낭군의 배열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계곡고사리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D. sparsa (D. Don) Kuntze, D. sabaei (Franch. & Sav.) C. Chr., D. yakusilvicola Sa. Kurata와 유사하지만 엽병 기부의 무성아의 유무, 우편의 선단부 모양, 포자낭군의 분포, 포막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