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Decorative Pattern for the Traditional Costume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 on Women Dress Since in the Middle 1990s -

남북한 전통의상에 사용된 장식문양에 관한 비교 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여성 한복을 중심으로 -

  • 정혜경 (경남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06.04.18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kinds, expression, techniques and arrangement of patterns for the traditional women's costume from 1995 to 2002 in Nor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outh Korean. Conclusions are as follows : In the kinds of patterns the natural plant patterns were much more frequently used in North Korea. These tendency was same to South Korea. And the geometric pattern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frequency in the expression of patterns, it was the realistic, geometric, stylized shape in North Korea. To the contrary it was the stylized, geometric, realistic shape in South Korea. In terms of decorative techniques, not only the traditional embroidery, gold leaf, multicolored stripes, but also modern collages, painting, beads, applique, flounce, ruffle were used in North Korea. Modern techniques were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North Korea, traditional techniques were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South Korea. In terms of arrangement of patterns, the modern arrangement was much more frequently used. And localized type of modern arrangement was found comparatively a lot in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traditional beauty was generally expressed by natural patterns, realistic shape and modern beauty was generally expressed by modern techniques and arrangement of patterns in North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정 . 송경자 (1999) 한국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 -'97년도 를 중심으로-. 복식, 43, 31-39
  2. 김사걸 (2000) 방직도안의 형상수단으로서의 무늬. 과학의 세계, 5, 50-51
  3. 김여경 (2001) 북한 전통복식문화 연구 -조선옷의 전통계승과 현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옥녀, 정희수. 리관옥. 김복순, 신영옥. 김병실. 김수경, 문진숙 (2002) '옷본보기'. 경공업상 피복연구소, 평양
  5. 남인숙 (1990) 북한의 가정생활실태: 의식주생활과 여성. 북한연구, 1(1), 141-155
  6. 리유미 (1995) '조선민족의상'. 평양종합인쇄공장, 평양
  7. 리유미 (1999) '.아름다운 조선옷'. 공업종합출판사, 평양
  8. 리유미 . 김정란. 홍성희 (2001) '. 옷도안과 설계'. 2.16 예술교육출판사, 평양
  9. 신영옥 . 김명실 . 리설희 . 김효식 . 홍애련 (2002) '민족옷'. 경공업 성 피복연구소, 평양
  10. 이선재 (1993) 북한주민의 복식에 관한 고찰. 북한문화연구, 1, 129- 159
  11. 이은영 (2003) '복식디자인론'. 교문사, 서울, pp.216-219
  12. 이종석 (2000) '새로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서울, p.123
  13. 이주영, 정현주, 도주연, 장정아 (2004) 보문(寶紋)의 유형과 조형 성 연구. 복식, 54(2), 11-23
  14. 장수경 (1994) 한국전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 283-295
  15. 장현주 . 하종경 (2005) 조선시대 직불에 나타난 동물문양의 유형과 특성. 복식, 55(5), 65-77
  16. 정성임 (2000) 북한의 여성정책과 여성인식의 구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서울
  17. 정혜경 . 박영희 (2004) 한복에 사용된 장식문양을 통하여 본 전통- 현대화 작업에 대한 분석. 복식, 54(1), 11-21
  18. 조규화 (1992) '복식미학'. 수학사, 서울, p.155
  19. 최경순 . 김수경 (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의상에 사용한 문 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5), 140-151
  20. 최세완 .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1 ), 103-117
  21. 하덕순 (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홍애련 (1995) '조선민족옷'.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 평양
  23. 長崎 巌(1993) '小袖'. ニュカラ 寫眞印刷株式會社. 京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