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lettuce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9초

가축분뇨와 폐버섯 퇴비차의 양분 및 미생물적 특성과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Nutrients and Microbial Properties of Animal Manure and Spent Mushroom Compost Tea and the Effect of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9-602
    • /
    • 2011
  •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compost teas on plant growth reponses and yield of leaf lettuce. Compost tea is a liquid extract of compost obtained by mixing compost and water for a defined period of time. The pig manure and spent mushroom compost were made by steeping compost in water. Compost tea was aerated from 24 hours and molasses and kelp were added as supplements. The four types of compost were tested growth of lettuce. EC of animal manure compost tea was higher than that of spent mushroom compost tea. Mineral nutr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compared with spent mushroom compost tea. Compost tea contains nutrient and a ranges of different organisms. The beneficial fungi and actinomycetes were prominent in a spent mushroom compost tea. Compost tea from animal manure had the higher numbers of total bacteria. The actinomycetes densities were high in spent mushroom compost tea. But actinomycetes were not founded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ttuce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spent mushroom compost tea. And also SPAD value in leaf was high in plot treated with animal manure compost tea. The fresh yield of lettuce in animal compost tea was higher by 181% that of control plot. The effect of compost tea on growth of lettuce was largely attributable to mineral nutrient.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 Xin Zao;Song, Kyung-Bin;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89-294
    • /
    • 200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orty two kinds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was evaluated. Methanol extract of freeze-dried vegetable was assay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1,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Fe^{2+}$-catalyz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TBA method. Total phenolics were determined colorimetrically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pressed by perilla leaf, followed by dandelion leaf, red and green leafy lettuce, of which $IC_{50}$ was less than 0.10 mg/mL. Angelica leaf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on for lipid peroxidation with $95\%$, and then dandelion leaf, water spinach, and perilla leaf inhibited over $80\%$. However, lettuce (Iceberg) and young Chinese cabbage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both assay methods.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were observed (p < 0.001).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ad vegetables, especially perilla leaf, leafy lettuce, dandelion or angelica, could be used for easily accessible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상추에 대한 Arbuscular 균근균(AMF) 접종원 처리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Lettuce)

  • 위치도;리준시;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8-505
    • /
    • 2010
  • AMF 접종원 처리가 원예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추 (Lactuca sativa L.)에 파종단계와 이식단계에서 수단그라스를 기주식물로 증식한 g 당 30개의 포자와 AMF가 감염된 뿌리, 균사 및 토양이 혼합된 접종원을 처리한 후 이식 전후에 걸쳐 작물의 생장반응과 수량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AMF 포자밀도와 감염률 및 감염양상을 조사하였고, 작물의 무기양분의 흡수양태를 분석하였다. 상추의 파종단계에서 AMF 접종원을 처리한 후 생육반응을 조사한 결과, 파종 후 3주가 경과한 초기에서 AMF 접종원 처리구의 상추는 대조구보다 엽수는 9%, 엽의 생체중은 59%, 엽면적은 58% 및 엽장과 엽폭은 21-22%가 증가하였으며 엽록소함량은 2%가 향상되었다. 파종 후 9주가 경과하여서는 파종단계와 이식단계에서의 AMF 접종원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엽수는 21%와 18%, 엽의 생체중은 51%와 41%, 근체중은 56%와 47%가 각각 증가하였으며 엽록소함량은 18%와 19%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추 엽의 P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식단계에서 AMF 접종원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217%가 증가된 P 함량을 보임으로서 P의 흡수이용이 증진되었고 상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상추 근권토양의 AMF 포자밀도는 상추의 생육초기에 AMF 접종원 처리구가 대조구의 3배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9주가 경과하였을 때는 276-295%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AMF 감염률 또한 대조구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생육 후기에는 낭상체와 균사가 치밀하게 발달됨으로서 AMF 의존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양액 조성이 식물공장 재배 어린잎채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Hydroponically Grown in Plant Factory as Affected by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 곽유리나;김동섭;전창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1-274
    • /
    • 2015
  • 식물공장에서 양액 종류가 다채, 로메인, 비트, 적무 어린잎채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레탄스펀지에 파종한 후 14일간 광원을 형광등으로 하는 폐쇄형 재배 시스템에서 재배하였다. 재배 시스템 내 광도는 $110{\mu}mol{\cdot}m^{-2}{\cdot}s^{-1}$, 명암주기는 16/8h, 명/암기 기온은 $25/20^{\circ}C$로 유지하였다. 파종 후 7일은 수돗물을, 이후 7일은 수돗물, 한국 원시, 일본 엔시, 상추용 야마자키 양액을 각각 관수하였다. 파종 14일 후 다채의 생체중은 야마자키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비트와 적무의 생체중은 양액 종류 간 유의차가 없었다.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엽색을 비교하기 위하여 양액 종류에 따른 4작물의 Hunter's L과 a값을 측정하였다. 어린잎채소의 녹색과 적색을 Hunter's a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한국 원시와 일본 엔시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는 녹색을, 야마자키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는 적색을 더 띄었다. 다채, 비트, 적무의 총페놀함량은 양액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로메인은 한국 원시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 총페놀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린잎채소의 생육과 품질을 고려해 볼 때, 식물공장 재배 시 로메인은 한국 원시 양액이, 비트와 적무는 야마자키 양액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이한 광질 및 광주기 하에서 UV-A LED 부가 조사가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Contents of Anthocyanins and Ascorbic Acid in Lettuce as Affected by Supplemental UV-A LED Irradiation with Different Light Quality and Photoperiod)

  • 김용현;이재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96-606
    • /
    • 2016
  • 본 연구의 공시품종은 적치마 상추(Lactuca sativa L., cv. 'Jeokchima')로서 파종 후 본엽이 4매일 때 식물공장 내에 설치된 DFT 재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크파장이 각각 450nm, 660nm, 365nm인 청색 LED, 적색 LED, UV-A LED를 이용하여 청색 LED (B), 적색 LED (R), 청색+UV-A LED (BUV), 적색+UV-A LED (RUV) 등 4개의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대조구로서 3파장 백색형광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광주기(명기/암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3수준(12/12h, 16/8h, 20/4h)의 광주기를 설정하였다. 식물공장 내 환경 조건은 기온(명기/암기) $22/18^{\circ}C$, 상대습도 70%, $CO_2$ 농도 $800{\mu}mol{\cdot}mol^{-1}$로 조절하였다. 한편 광합성유효광양자속과 UV-A LED의 조사강도는 각각 $230{\pm}11{\mu}mol{\cdot}m^{-2}{\cdot}s^{-1}$, $80{\pm}3mW{\cdot}m^{-2}$이었다. 정식 후 28일째에 측정된 상추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광질 및 광주기에 따라 유의차가 인정될 만큼 다르게 나타났다. 명기가 증가할수록 R 처리구에서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한편 B 처리구에서는 잎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증가하였다. UV-A의 부가 조사로 인하여 엽장, 엽폭, 엽면적 및 지상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상추 잎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 하에서 많이 증가하였으며, 명기가 짧아질수록 높게 축적되었다. 한편 UV-A의 부가 조사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의 증가 효과는 R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추 잎의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광주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청색 또는 적색 LED에서 UV-A LED의 부가 조사에 따라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20-30%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UV-A LED의 조사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향후 폐쇄형 시스템에서 엽채류의 영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UV-A LED의 운용 조건을 제시하고자 할 때 본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식물공장내 광도와 배양액농도가 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Nutrient Level on Growth and Quality of Leaf Lettuce in a Plant Factory)

  • Park, Mi-Hee;Lee, Yong-Beo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8-114
    • /
    • 1999
  • 식물공장에 있어서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최적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식물공장 시스템 하에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가 잎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광이 높아짐에 따라 증산량과 광합성량이 높았으며, 광도 200$\mu$mol $m^{-2}$ $s^{-1}$과 300$\mu$mol $m^{-2}$ $s^{-1}$ 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내 잎상추의 최적 광도는 200 $\mu$mol $m^{-2}$ $s^{-1}$ 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환경요인들과의 지하부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간의 관계가 잎상추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저광도에서는 배양액농도가 높은 편인 2.4 mS cm-1에서 고광도에서는 1.8 mS cm-1 수준에서 생육량이 많게 나타났다.

  • PDF

녹색잎 채소류의 ${\beta}$-Carotene과 Lutein 함량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Green Leafy Vegetables)

  • 이화숙;김영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5-180
    • /
    • 1997
  •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7 different green leafy vegetables(perilla leaf, mugwort, chwi, lettuce, spinach, leek, and crown daisy) were analyzed by HPLC. The isocratic separation was performed on a ${\mu}-Bondapak$ $C_{18}$ column with a solvent system of acetonitrile : dichloromethane : methanol = 70:20:10.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 applied, precision and recovery tests were performed. Perilla leaf showed the highest ${\beta}-carotene$ content(12,570 ${\mu}g$ / 100 g), followed by mugwort and chwi, all of those have ${\le}10,000\{\mu}g\{\beta}-carotene$ per 100 g vegetables. Green lettuce, spinach, leek, crown daisy and reddish brown lettuce contained 9,869, 6,689, 5,664, 3,601 and 3,299 ${\mu}g\{\beta}-carotene/100 g$, respectively, Lu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perilla leaf($13,718{\mu}g/100 g$) followed by chwi($11,989{\mu}g/100 g$), mugwort($11,522{\mu}g/100 g$), green lettuce($10,307{\mu}g/100 g$) and spinach($10,115{\mu}g/100 g$). ${\beta}-carotene$ contents in perilla leaf, mugwort, chwi and green lettuce were 47.8~49.6% of total carotenoids, and ${\beta}-carotene$ contents in the other green leafy vegetables analyzed were 37.7~41.4% Vitamin A contents of green leafy vegetables analyzed by HPLC were 2~6 times higher than the vitamin A values shown in food composition tables except crown daisy.

  • PDF

Effect of Bacillus subtilis S37-2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 Heo, Jae-Young;Kim, Dae-Ho;Choi, Yong-Jo;Lee, Sang-Dae;Seuk, Su-Won;Song, Jae-Kyeong;Kwon, Jang-Sik;Kim, Min-K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21-626
    • /
    • 2016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variations in soil microbial population of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used for lettuce (Lactuca sativa) cultivation by their fatty acid methyl ester and chemical properties. We utilized four treatment groups, no treatment (NT), culture medium (CM), Bacillus subtilis S37-2 (KACC 91281P) ${\times}10^6CFU\;mL^{-1}$ (BS1), and Bacillus subtilis $S37-2{\times}10^7CFU\;mL^{-1}$ (BS2) and analyzed these variations throughout the before treatment and harvesting stage. Th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soils before treatment and harvesting st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otal numbers of bacteria and microbial biomass C in soil treated with BS1 were larger than those of NT, CM, and BS2, whereas total number of fungi at the harvesting st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S1 soil than in the NT and CM soils (P < 0.05). On basis of leaf length, leaf width, leaf number and leaf weight, the growth characteristics lettuce on the soil treated with BS1 and BS2 was faster than those of NT and CM soils. Yield of lettuce with treated BS1 and BS2 were 35% and 29% more than that of NT, respectively.

Genetic Diversity of Phenotypic Traits and Biochemical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Germplasm

  • On-Sook Hur;Ho-Cheol Ko;Na-Young Ro;Awaris Derbie Assefa;Aejin Hwang;Bichsaem Kim;Seong-Hoon Kim;Youn Jeong Lee;Hee-Jong Woo;Jung-Yoon Yi;Bum-Soo Hah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73
    • /
    • 2022
  • Lettuce (Lactuca sativa L., Family Asteraceae) is highly ranked in production and economic value and is consumed either fresh or in salad mixes because of its important dietary source of bioactive phytochemicals. The world collection of Lactuca spp. leafy crops, maintained in NAC, includes 2,464 accessions from 71 countries around the world, of which 2,411 belong to L. sativa species, nineteen to L. saligna, and fifteen to L. serriola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lettuce germplasm with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and provide new material for breeding. The lettuce crop comprises seven main groups of cultivars (including oilseed lettuce) differing phenotypically. Agricultural characteristc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ime to bolting, time to flowering, seed color, flower color, leaf attitude, leaf color, leaf anthocyanin coloration, type of incision of margin, depth of incisions of margins, and leaf venation. Screening of the health beneficial metabolites like anthocyanin and 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lactucin and lactucopicrin) was also conducted. The range of anthocyanin and SLs were 0~563.78 mg/100g D.W. and 3.74~3311.66 ug/g D.W., respectively. The investigation of the degree of variation regarding phenotypic traits and biochemical revealed adaptive stable and highly variable use of trait collection.

  • PDF

LED 처리가 상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s Treatment on Growth and Quality of Lettuce (Lactuca sativa L. 'Oak Leaf'))

  • 신용습;이문중;이은숙;안준형;김민기;이지은;도한우;정종도;박종욱;엄영철;박소득;채장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8-153
    • /
    • 2014
  • 식물공장 내 적색광, 청색광, 적청 혼합광, 자외선, 적외선, 형광등의 광원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를 검토하였다. 잎의 형태는 Red 파장에서 초장 및 하배축의 길이신장이 촉진되어 도장하였고 Far red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였으나 Red+Blue의 혼합광원에서는 초장이 짧고 엽수가 많고 생체중이 증가하여 상추의 형태 및 발달 차원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 광질에 따른 어린잎 상추의 색차 및 상대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Red+Blue 혼합광 및 형광등에서 높았고 적색광 및 자외선에서는 낮게 나타났는데 상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도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상대엽록소 함량은 형광등의 23.3에 비해 혼합광에서 1.4배 향상된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광원별 상추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pH 및 K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N, Ca, Mg, Fe, Ascorbic acid 함량은 LED 처리구에서 많았고 P 함량은 형광등 처리구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색광에 비하여 Red+Blue 혼합광에서 상추의 생육이 우수하고 무기물 함량이 증대되어 식물공장 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혼합광 조절로 상품성 있는 고품질의 상추 생산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