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blad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2초

컨투어기반 잎맥 패턴의 절차적 모델링 (Contour-based Procedural Modeling of Leaf Venation Patterns)

  • 김진모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7-106
    • /
    • 2014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꽃, 나무 등의 디지털 식물 표현에 필요한 다수의 다양한 잎들을 쉽고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절차적 방법은 잎을 크게 잎몸과 잎맥으로 구분하여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컨투어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잎맥을 절차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잎을 생성한다. 우선 복잡한 잎맥 구조를 주잎맥, 곁 잎맥 그리고 3차 잎맥으로 나누며 모든 잎맥은 시작 옥신(auxin)으로부터 목적 옥신으로 향하며 절차적으로 성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성장에 필요한 목적 옥신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근사화된 컨투어를 찾아 이를 기반으로 후보목적 옥신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쳐 맵 합성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디지털 잎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다양한 잎의 생성이 가능하고, 효율적인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질소비료수준과 재식밀도가 벼 품종의 엽형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 이현도;빈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9-335
    • /
    • 1988
  • 본 연구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권인 경남 통영에서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물질생산과 수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25kg ha$^{-1}$, 150 kg ha$^{-1}$ 두 질소수준을 주구, 삼강벼와 동양벼 두 품종을 세구 30cm $\times$ 15cm, 30cm $\times$ 12cm, 30cm $\times$ 9cm 등 세 재식밀도를 세세구로 Strip split plot design으로 3반복 처리하여 엽위별 형태적 특성과 건물중, 생육후기 잔존 생엽수와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동진벼의 엽장은 질소수준에 관계 없이 4, 3, 2, 1엽의 순으로 삼강벼는 질소수준 150 kg ha$^{-1}$구에서는 3, 4, 2, 1엽, 225 kg $^{ha-1}$ 구에서는 4, 3, 2, 1엽의 순으로 길었다. 나. 150 kg ha$^{-1}$. N. 구에서 삼강벼의 제 1엽장은 동진벼에 비해 길었으나 2, 3, 4엽장은 짧았으며 225 kg ha$^{-1}$. N. 구에서는 1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엽은 길고 3, 4엽은 짧았다. 다. 동진벼의 엽폭은 150 kg ha$^{-1}$. N. 구에서는 1, 2, 3, 4엽의 순으로 225 kg ha$^{-1}$구에서는 1, 2, 4, 3엽의 순으로 넓었으며 삼강벼는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상위엽폭이 넓었고,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라. 동진벼의 엽초장은 1, 4, 3, 2엽초, 삼강벼는 1, 2 ,3, 4엽초의 순으로 길었고,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한국산 부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Allium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혁재;장창기;이유미;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308
    • /
    • 2007
  • 한국산 부추속 16종 5변종의 총 21분류군에 대하여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및 형태, 지상부의 생자양상, 엽신과 화경의 모양 및 내부구조, 화피, 화사 및 암술의 형태 등의 외부형태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분류형질의 특수화 및 진화경향성을 고찰하였고, 분류군들간의 유연관계와 계통을 추론하였다. 진화경향성이 있는 형질은 근경과 인경을 포함한 지하부, 잎, 화경, 화서, 화사 및 자방의 모양 등이었다. 근경의 형태는 비후형에서 미세형으로 발달하였고, 인경의 외피는 얇은 막질에서 그물상 섬유질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막질의 초상엽은 달래에서만 관찰된 파생형질이였으며, 엽신은 단면이 둥글고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하는 것에서 각진 형태를 거쳐 단면이 납작하고 넓어지면서 유관속이 1열로 배열하는 것으로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화경의 개화 전 생장은 직립하는 것이, 그리고 화사는 치편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원시적이며 자방은 실 당 2개의 배주를 가지는 것에서 1개씩 가지는 것으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막질의 초상엽의 존재유무 및 잎의 내부구조는 아속 수준에서, 지하경 및 인경의 형태, 잎의 모양, 화경 및 소화경의 모양은 아속 내 절 수준에서 분류체계를 결정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화피와 화사의 모양 및 배열은 자방 및 주두의 모양과 함께 종을 구분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배추조직의 형태학적 특성과 세포벽 다당류의 조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Baechu))

  • 김순동;박홍덕;김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01-309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baechu). First of all, the variety of scientific name and naming of parts of baechu in the literatures of kimchi showed, which will unify marks. So, we propose not so much mid-rib and leaf blade of baechu leaf as white part and green par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orms of vessel elements of white part in baechu consist in ring, sclariform and reticulate thickeni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aechu h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s cultivars. The cell wall pectin from baechu exhibited four peals with molecular weights of 2,000,000, about 100,000 and less than 10,000 by gel filteration chromatography and hemicellulose did two peaks with molecular weights of 2,000,000 and 10,000.

  • PDF

THE USE OF MULTIVARIATE STATISTICS TO EVALUATE THE RESPONSE OF RICE STRAW VARIETIES TO CHEMICAL TREATMENT

  • Vadiveloo,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83-89
    • /
    • 1996
  • Multivariate statistical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se data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four varienties of rice straw after treatment with 4% NaOH solution, 4% urea solution or distilled water (control) for 48 hours. For each treatment,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identified the variables which maximized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and the eigenvectors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quantified the contribution of these criterion variables to varietal differences. The overall response of varieties to chemical treatment was demonstrated qualitatively, by cluster analysis, and quantitatively, from the magnitude of the principal component scor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urea and control treatments elicited the same response whereas NaOH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oorest straw variety. Similar analyses conducted on the botanical fractions of the varieties showed that the relative response of the inflorescence, stem, leaf blade and leaf sheath fractions was not altered by chemical treatment.

산마늘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학적 연구 (External Morphology and Numerical Taxonomy among Habita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0-216
    • /
    • 1998
  • Taxonomic studies in external morpholog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traspecific relationship among three habitats (Jirisan, Odaesan and Ulleungdo) of allium vo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ernal morphology such as bulb color, leaf blade length and width, petiole length, total leaf length, peduncle length, perianth lobe length and width, length of anther and filament were useful characters for identification of poplations in three habitats. Th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Pc) analysis of treated 72 OTUs(included out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C 1 ,2,3 and the sums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were 84.1%(PC1 51.0%, PC2 24.9% and PC3 8.2%, respectively). In cluster analysis by the UPGMA and Ward's methods , there was similarities in the compostion of clustered taxa, and only Ulleungdo population was distinctly identified from population of other two habitats.

  • PDF

일반관행 농법과 유기농법 배추, 무의 가식부위내 $NO-3^-$ (Differences on the Nitrate Accumulation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cultivated by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Method)

  • 손상목;오경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7-97
    • /
    • 1994
  • In the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the NO-3 accumulation was higher in the outer leaves than in the inner leaves and it was higher in the leaf midrib than in the leaf blade. In Radish, it was higher in the aerial part of the root than in the underground part of root. NO-3 accumulation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of organic farming fertilized with compost 8t/10a was about 4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farming with recommended mineral nitrogen; and was similar to those of conventional farming fertilized with twice the mineral nitrogen rate. But, NO-3 accumulation in radish of organic farming with 8t/10a compost was low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farming with recommended mineral nitrogen. It showed NO-3 content in the edible parts of vegetables should be considered one of several parpmeters to judge a real safety vegetable to be certified by government.

  • PDF

Effect of UV Radiation on Early Growth of Korean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Choi, Kwan-Sam;In, Jun-Gyo;Kang, Si-Yong;Bae, Chang-Hyu;Lee, Hy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6-301
    • /
    • 1999
  • The concerns on the crop damage by ultraviolet (UV) radiations is increasing owing to the decrease of their absorbing stratospheric ozone in the tropospheric. Cultivar differences on early growth of UV radiation among five Korean rice cultivars, four japonica types and one Tongil type (indica-japonica cross hybrid), were studied. Pot-seeded rice plants were grown under four different radiation conditions, i.e., visible radiation only, visible radiation with supplemented with high or low dose of UV-B (280~320 nm in wavelength) and UV-C (less than 280 nm in wavelength). The inhibitory degree on plant height, shoot and root weight and length of leaf blade and leaf sheath were determined at 40 days after seeding. UV-C showed the most severe inhibitory effect on the degree of biomass gain and leaf growth in most cultivars examined, followed by high UV-B and low UV-B. Among the cultivars used, the Kuemobyeo was the most sensitive cultivar and had not repair or showed resistance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However, Janganbyeo and Jaekeon showed different responses that the elongation of leaf blades was promoted on 2nd and 3rd leaves and inhibited on 4th and 5th leaves but this inhibitory degree was reduced on 6 th and 7th leaves. Such tendency on leaf growth means that both cultivars had low sensitivity and most resistant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While Tongil showed different response to enhanced UV radiation, ie., low UV-B promoted leaf growth but the inhibitory was severely increased by continued irradiation of high UV-B and UV-C, which means that Tongil had high threshold of UV radiation for response as an inhibitory light of plant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on sensitivity or resistant to the effects of UV radiation were existed among Korean rice cultivars.

  • PDF

국내에서 수집된 버뮤다그래스의 입자환경 및 형태적 특성 (Site Environment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Bermudagrass (Cynodon spp.) Ecotypes in Korea)

  • 배은지;이광수;박남창;이상명;신현철;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버뮤다그래스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입지환경에 따른 형태적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들 입지환경, 토양의 화학성과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생지에 따라 초장, 엽폭, 엽장, 잎털, 포복경 및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여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엽과 세엽 특성의 버뮤다그래스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광엽형의 버뮤다그래스의 경우 열악한 환경에서의 적응성이 매우 높아 중 저관리의 잔디면에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입지 환경과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자원들은 앞으로 유전자원으로서 보존 가치가 높으며, 유용유전자를 보존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등숙시기를 달리한 경우 Japonica 품종과 Indica ${\times}$ Japonica 품종의 광합성능력과 등숙과의 관계 - 실험 I. 수량구성요소와 엽신의 광합성능력 변화 -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ynthetic Ability and Grain Filling of Japonica and Indica ${\times}$ Japonica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Ripening Climates. Experiment I. Changes in Photosynthetic Ability of Leaf blade and Yield Components)

  • 이석영;권용웅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6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22-23
    • /
    • 1986
  • PDF